• 제목/요약/키워드: Explanatory model

검색결과 931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 최대 전력량 예측을 위한 통계모형 (Statistical Modeling for Forecasting Maximum Electricity Demand in Korea)

  • 윤상후;이영생;박정수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1호
    • /
    • pp.127-135
    • /
    • 2009
  • 한국의 경제규모가 꾸준히 커감에 따라 가정, 건물, 공장 등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력공급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최대전력량보다 전력공급능력이 높아야 한다. 월별 최대전력량을 잘 설명할 수 있는 통계모형을 찾기 위해 Winters 모형, 분해 시계열모형, ARMA 모형, 설명 변수를 통해 추세성분과 계절성분을 교정한 모형을 살펴보았다. 모형의 예측력 비교 기준으로 모형적합으로부터 구한 RMSE와 MAPE가 사용되었다. 여름철 최대전력량을 예측하기 위해 평균기온과 열대야 일수를 설명 변수로 갖는 시계열 모형이 가장 우수하였다. 아울러 외부요인을 갖는 극단분포 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Do Industry 4.0 & Technology Affect Carbon Emission: Analyse with the STIRPAT Model?

  • Asha SHARMA
    • 4차산업연구
    • /
    • 제3권2호
    • /
    • pp.1-10
    • /
    • 2023
  • Purpose -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variables affecting carbon emissions in different nations around the worl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measure its impact on carbon emissions, secondary data has data of the top 50 Countries have been taken. The stochastic Impacts by Regression on Population, Affluence, and Technology (STIRPAT) model have been used to qua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carbon emissions. A modified version using Industry 4.0 and region in fundamental STIRPAT model has been applied with the ordinary least square approach. The outcome has been measured using both the basic and extended STIRPAT models. Result - Technology found a positive determinant as well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alpha level of 0.001models indicating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helps reduce carbon emissions. In total, 4 models have been derived to test the best fit and find the highest explaining capacity of variance. Model 3 is found best fit in explanatory power with the highest adjusted R2 (97.95%). Conclusion -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lected explanatory variables population and Industry 4.0 are found important indicators and causal factors for carbon emission and found constant with all four models for total CO2 and Co2 per capita.

Assessing Factors Linked with Ozone Exceedances in Seoul, Korea through a Decision Tree Algorithm

  • Park, Sun-Kyou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1-216
    • /
    • 2016
  • Since prolonged exposure to elevated ozone ($O_3$) concentrations is known to be harmful to human health, appropriate control strategies for ozone are needed for the non-attainment area such as Seoul, Korea.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factors linked with the 1-hour ozone exceedance through a decision tree model. Since ozone is a secondary pollutant, lag times between ozone and explanatory variables for ozone formation are taken into account in the model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hile ozone concentrations of the previous day and $NO_2$ concentrations in the morning are major drivers for ozone exceedances in the early afternoon, meteorology plays more important role for ozone exceedances in the late afternoon. Results also show that a selection of lag times between ozone and explanatory variables affect the accuracy of predicting 1-hour ozone exceedances. The result analyz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developing control strategies of ozone in Seoul, Korea.

임상실습 스트레스 요인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in clinical practice and stress)

  • 이혜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827-833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in clinical practice and stress in dental hygiene majoring students. Methods : Subjects were 250 dental hygiene majoring students in J area from March 20 to April 20, 2012.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for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practice and major stress factors(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actices, satisfaction, and self-expectations(p<0.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9%(p<0.05). The combination of self-leadership, activity, interpersonal factors were very important factor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8%(p<0.001). Conclusions : Self-leadership is able to decrease stress. Self-leadership is very important in clinical practice in dental hygiene majoring students.

朱熹 「理一分殊」 的 <西銘> 詮釋模式再考察 (The Re-inspection on The Explanatory Model ofXi Ming of Chu Hsi'sThought of "Li Yi Fen Shu")

  • 임악창
    • 철학연구
    • /
    • 제141권
    • /
    • pp.167-185
    • /
    • 2017
  • 주희(朱熹)는 정이가 제기한 '리일분수(理一分殊)'의 명제를 계승하여 십 수년의 노력을 기울인 후에 최종적으로 "서명해(西銘解)"를 지었다. 이로부터 '리일분수(理一分殊)'의 사상은 "서명(西銘)"을 해석하는 모델이 되었으며, "서명(西銘)"의 기조(基調)를 확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리일분수론(理一分殊論)'은 처음에는 "서명(西銘)"의 윤리학적 의의를 표현하는 명제였다. 그런데 주희(朱熹)의 일생을 통해 볼 때 '리일분수론(理一分殊論)'은 단순히 "서명(西銘)"의 윤리학적 의의에 국한되지 않고, 보편적인 철학적 의의를 포함하며, 사물의 일반과 특수의 관계를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전자는 협의의 '리일분수론(理一分殊論)'이고, 후자는 광의의 '리일분수론(理一分殊論)'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광의적인 리일분수론(理一分殊論)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고, 주희(朱熹)가 확립한 "서명(西銘)"을 해석하는 모델로서의 협의의 리일분수론(理一分殊論)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학술계의 선행연구 중에서 어떤 학자들은 '리일분수(理一分殊)'의 명제가 "서명(西銘)"의 의미와 일치한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어떤 학자들은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두 종류의 사고방식은 확연히 상반되는 입장이다. 이 글에서는 리일분수(理一分殊) 사상에 의한 주희(朱熹)의 "서명(西銘)" 해석이 어떤 부분에서는 "서명(西銘)" 본래의 뜻과 일치하기도 하지만, 또다른 어떤 부분에서는 서로 부합하지 않는 곳도 있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달리 말하면, 주희(朱熹)가 리일분수론(理一分殊論)으로 "서명(西銘)"을 해석할 때, '공헌(貢獻)'과 '제한('制限)'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는 것이다. 즉, 리일분수론(理一分殊論)에 의한 주희(朱熹)의 "서명(西銘)" 해석은 그 의미를 확장시킨 부분도 있지만, "서명(西銘)" 본래의 목표로부터 멀어진 부분도 있다는 의미이다.

공간 통계 활용에 따른 소지역 추정법의 평가 (Evaluations of Small Area Estimations with/without Spatial Terms)

  • 신기일;최봉호;이상은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2호
    • /
    • pp.229-244
    • /
    • 2007
  • 국내외에서 소지역 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보조 자료가 충분히 있는 경우 모형기반 추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중에서 계층적 베이지안(Hierarchical Bayesian: HB) 추정법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보조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모형 기반 추정법의 사용은 제한적이다. 최근 충분한 보조 자료가 없는 경우 공간 정보를 보조 자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통계량과 베이즈 접근방법을 활용한 모형기반의 소지역 통계량들을 모형 검진방법(Diagnostic method)들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05년도 경제활동인구 조사이며 소지역(시,군,구)통계를 추정하여 비교하였다.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병원행정직 간호사의 소진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Job Resources on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f Hospital Nurse Administrators)

  • 차우정;김숙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2-27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job demand, job resources, burnou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dministrative nurses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Further, it seeks to confirm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nurse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8 administrative nurses working at hospitals (one tertiary hospital and six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BM SPSS Statistics 23.0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influential factors of burnout were role conflict (β=.50), job demand (β=.18), job position (β=-.17, team leaders and above), and social support (β=-.15). The regression model had an explanatory power of 59%. The influential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ppropriate rewards (β=.59), job position (β=.15, team leader or above), working department (β=.14, referral center and health screening administration department), and social support (β=.18). The regression model had an explanatory power of 59.5%.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nd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decrease job demand and provide sufficient job resources.

엑셀 VBA를 이용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 교육도구 개발 (An educational tool for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Excel VBA)

  • 박철용;최현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2호
    • /
    • pp.403-410
    • /
    • 2014
  •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양적 혹은 질적 설명변수를 이용해서 이분형 반응변수를 설명하는 하나의 통계적인 기법이다. 이 모형에서는 반응변수가 1이 될 확률을 설명변수들의 선형결합의 변환(혹은 함수)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 개념에 대한 이해가 비통계학자들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넘어야 할 커다란 장벽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필요성을 엑셀 VBA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교육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반응변수가 1이 될 확률을 설명변수의 선형함수로 모형화 할 때의 문제점과 선형결합에 대한 변환을 통해 이 문제점이 어떻게 해소되는지 보여준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모델의 평가와 수정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화학교사의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 보일 법칙을 중심으로 (Changes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Cognition of the Nature of Model in the Evaluation and Modification Process of Models Using Technology: Focusing on Boyle's Law)

  • 정나진;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2호
    • /
    • pp.107-116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모델의 평가와 수정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화학교사들의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는 선행연구에서 예비화학교사들에게 부족하다고 판단된 표상적 측면의 함축화와 간단화, 설명적 측면의 해석, 추론, 설명, 정량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에 있는 사범대학의 3학년 예비화학교사 19명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개발한 보일 법칙 관련 모델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을 수정하여 최종 평가하도록 요구하였다. 연구 결과, 표상적 측면의 간단화, 설명적 측면의 해석, 설명, 정량화에 대한 예비화학교사들의 인식이 모델의 평가와 수정 과정을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평가와 수정 과정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표상적 측면의 함축화와 설명적 측면의 추론에 대한 인식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인식은 다른 요소들의 인식보다 변화하기 어려운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을 위한 보다 정교한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

Constant Error Variance Assumption in Random Effects Linear Model

  • Ahn, Chul-Hwa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권2호
    • /
    • pp.296-302
    • /
    • 1995
  • When heteroscedasticity occurs in random effects linear model, the error variance may depend on the values of one or more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or on other relevant quantities such as time or spatial ordering. In this paper we derive a score test as a diagnostic tool for detecting non-constant error variance in random effefts linear model based on the model expansion on error variance. This score test is compared to loglikelihood ratio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