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device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31초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및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를 적용한 개방형 IPTV 플랫폼 (Open IPTV Platform using Overlay Multicast and Content Delivery Network)

  • 정승문;강임철;전진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528-536
    • /
    • 2009
  • 일정 수준의 서비스 품질, 보안, 양방향성, 신뢰성 등을 제공하는 관리된 I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주로 수행하는 IPTV 서비스는 최근 상용화 서비스 제공으로 인해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IPTV 서비스 사업자들의 주요 서비스들이 폐쇄형 플랫폼에 의존하고 있어 개인형, 개방형 서비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어떤 디바이스 환경에서도 콘텐츠를 생산하고 동시에 소비하는 IPTV 서비스의 본래 취지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IPTV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여 개인이나 소규모 사업자가 쉽게 콘텐츠를 생산하고 기존의 IPTV 망에 종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였다. 제안된 플랫폼은 제한적인 네트워크 및 프로세스 자원에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전송 방법과 콘텐츠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와 유사한 전송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였다. 제안 IPTV 플랫폼은 성능 시험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의 품질, 콘텐츠 전송량 및 채널 Zapping Time에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선을 통해 개방형 IPTV 플랫폼을 이용한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정압주입시험을 이용한 지하수유동차원 해석 (Flow Dimensional Analysis for Constant Pressure Injection Test)

  • 이은용
    • 지질공학
    • /
    • 제3권2호
    • /
    • pp.149-165
    • /
    • 1993
  • 지하매질의 유동특성을 알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은 아직도 현장수리시험에 의존하고 있다. 열극암반에서 유동모델의 개념정립을 위하여는 열극체계분포와 특히, 수리시험해석결과가 중요시되고 있다.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수리시험은 조사공구간별에 따른 수리전도도를 방사상의 정상류로 가정하여 결과를 해석하고 있다. 또한 시험대상 매질을 균질한 대수층 또는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의 매질로 간주하며 구간별 투수량계수는 시험구간을 가로지르는 각 열극의 투수량계수의 합과 같다고 가정한다. 국내 기존의 수리시험 및 해석방법으로는 수리학적 경계면의 영향(boundary effects)이나 유동로의 기하학적 형태(flow geometry)에 대한 자료를 얻기가 힘들며, 일정한 조사공 주변을 벗어나면 투수성열극의 연결성에 대한 정보를 구할 수 없다. 열극특성을 고려한 지하수유동 해석을 위하여 단일공 정압주입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비정상류해석방법을 통하여 유동차원(flow dimension)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시추시에는 단일패커시험을 일정구간별로 시행하였으며, 조사공의 시추후에는 이중패커에 의한 구간별 시험을 실시하였다. 비정상류해석으로 구한 수리전도도값은 정상류해석의 결과와 큰 차이(10배 이내)는 없었으나, 정압하에서 도출된 유동량변화곡선에서 유동차원분석이 가능하였다. 상부구간(<10m 깊이)의 단일 및 이중패커시험결과는 모두 정상류의 유동차원이 나타났으며, 이는 영향반경의 경계면이 open system임을 알 수 있다. 15m 깊이에서 도출된 유동량변화곡선은 1차원 유동상태에서 3차원(구상유동)으로 변화하였다. 하부구간(25m 깊이)의 시험결과는 closed system 특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조사구간에서 연결된 열극이 수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장수리시험으로부터 보다 많은 자료를 도출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수리시험장비의 보완이 필요하다. 특히 조사구간을 완벽하게 분리할 수 있는 패커장비와 미세한 유동량변화를 계측할 수 있는 유량계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조사구간의 압력변화를 자동기록할 수 있는 계측기기가 필요하였다.

  • PDF

한국의 노인환자에 대한 섬망 및 졸음 유발 약물의 사용평가 (Evaluation of Drug Use Causing Delirium and Drowsiness in Elderly Patients of Korea)

  • 조하나;이옥상;임성실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0-40
    • /
    • 2012
  • In Korea, elderly population aged 65 and older are about 5.0% and 10.7% in 1990 and 2009, respectively. Since elderly people may experience physiologic changes with aging and their pharmacodynamic and pharmcokinetic parameters also have been undergone changes, several adverse drug reactions can occur more frequently than young people. Especially, neuropsychiatric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delirium and drowsiness endanger elderly patients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patient prescriptions using drug causing delirium and drowsiness in elderly patients aged 65 and older.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rescriptions for elderly patients collected from four community pharmacies from January 2nd to February 1st, 2010. One pharmacy was located closed to a general hospital, and others were located closed to a internal medicine or an ENT clinic. The each number of the collected prescriptions was followings; Group A (n=496) from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Group B (n=44) from ENT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 Group C (n=144) from internal medicine clinic; Group D (n=110) from ENT clinic. In result, in Group A, the average number of prescribed drugs causing delirium or drowsiness per Rx was 2.38 In Group B, the average number of prescribed drugs causing delirium or drowsiness per Rx was 2.09 In Group C, the average number of prescribed drugs causing delirium or drowsiness per Rx was 2.51. In Group D, the average number of prescribed drugs causing delirium or drowsiness per Rx was 2.72. Especially, in Group D, the percentage of prescription that drugs causing delirium or drowsiness per Rx prescribed more than 3 is 52.73% In all the 4 groups, over the 60% of drugs causing delirium and/or drowsiness per prescription of elderly patients were prescribed. It means elderly patients take 2 drugs causing delirium and/or drowsiness among 3 drugs, which is very serious. Frequently prescribed drugs causing delirium and/or drowsiness were followings; GI agents, antitussives & expectorants, histamine H1 antagonist, analgesics, antibiotics. Among these drugs, GI agents was high raking in all the 4 groups, and pharmacists should caution elderly patients when counseling. In the internal medicine groups (Group A,C), drugs concerning chronic diseases were prescribed frequently. In conclusion, pharmacist's role is important. Pharmacists are well informed of the drugs causing delirium or drowsiness and it is important to explain about ADRs slowly and easily to the elderly patients that receive drugs causing delirium or drowsiness. And institutional device is needed. For example, when doctors prescribe drugs for the elderly patients, message is needed that supply some informations about drugs causing delirium or drowsiness.

비표면적 순회평가 결과 (Results of round robin test for specific surface area)

  • 최병일;김종철;우상봉
    • 분석과학
    • /
    • 제24권6호
    • /
    • pp.503-509
    • /
    • 2011
  • 비표면적은 기능성 나노소재의 특성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하지만 비표면적 측정은 측정방법 및 해석 방법에 따라 결과에 많은 차이가 있어왔다. 국내에 보급된 비표면적 측정장치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21개 산학연 기관을 대상으로 순회평가(RRT)를 수행하였다. 순회평가 분석 결과 많은 기관에서는 비표면적 측정장비의 흡착량 측정 성능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 하였으며, 이는 인증기준물질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BET 분석방법이 분석자의 주관에 의해 많이 좌우됨을 확인 하였다. 즉 BET 분석구간의 선택영역에 따라 CRM I의 경우 16% 까지 차이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적정한 BET 구간의 선택을 위한 BET 매개변수 C 값과 fitting 상관계수 R 값에 대한 기준이 필요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순회평가의 경험과 검증된 비표면적 인증물질 및 표준 절차서의 보급은 산업계에 신뢰성 있는 비표면적 측정결과를 주게 됨으로서, 일관성 있는 공정운용에 의한 품질관리, 생산성 향상, 안정성 판단 및 신제품 개발 등에 기여할 것이다.

견관절 Superoinferior axial 검사 시 Tiltable standing detector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Study of the Usefulness of Tiltable standing detector in Testing Shoulder Joint Superoinferior axial)

  • 이동희;김병기;김기정;김민현;이민우;김순배;김경수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7-33
    • /
    • 2009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lteration of test positions according to various test equipments when testing shoulder joint superoinferior axial to estim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iltable standing detector. Our objectives were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Among them we chose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to get a shoulder axial test, again we selected 30 patients whose abduction is more than 90 degree.(2008. Nov.$\sim$2009 Jan.) With the patients cooperation, we used CR(Agfa, Belgium), fixed-detector(Canon, japan), Tiltable-detector(Philips, Netherlands). Tested with only one equipment(tiltable detector), and posed with the other two. We surveyed 5 inspectors and 30 patients, asking them to rate the convenience of test position. Also, we checked how long it takes to have the image appear on screen after testing with the equipment We provided a standard for an assessment of the image to an expert in bone radiology, an orthopedist and a radiologist with 5 years experience. When the patients were asked about the convenience of the equipments, 15 people(50%) answered CR is convenient and 14 people(46.7%) answered the Tilting detector is convenient, showing not much difference. However, when the inspectors were asked the same question, 4people(80%) out of 5 answered that the Tilting detector is more convenient The time test showed that CR takes 2 minutes and 50 seconds, the Fixed detector 1minute and 48 seconds andor had no distortion showing the shoulder joint space. However, even though the Fixed detector showed ac the Tilting detector takes 1 minute and 43 seconds to bring the image to the screen after the position. The results of the value of image taken by each equipment, CR and the Tilting detectromion, coracoid process, due to the unstable pose, they were quite distorted and scored poor in observing glenoid fossa. By this study, we can see that testing the shoulder joint superoinferior axial projection with a detector that has a tilting device would be more convenient than testing it with a CR.

  • PDF

국내 대학 e-러닝의 운영 특징 및 수강자 요구 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Strategies for Revitalizing E-Learning Through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and the Needs of Distance Learners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in Korea)

  • 민경배;신명희;류태호;곽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0-39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e-러닝 운영 특징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수강자의 평가 및 요구사항은 어떠한지를 조사하여 대학 e-러닝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영주체차원의 조사로 10개 일반대학 및 17개 사이버대학의 홈페이지와 언론보도를 분석하여 e-러닝 중점사업을 조사하였으며, 이용자차원의 조사로 Q&A게시판 내용분석 및 수강생 대상 일대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대학은 모바일 스마트 캠퍼스 구축, 강의콘텐츠 다양화, 상호작용 시스템 강화, e-러닝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e-러닝 수강자들은 모바일에서의 e-러닝 환경이 학사행정에 있어서는 편리하나 과목수강과 관련해서는 불안정하거나 기능이 미흡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강의콘텐츠는 아직도 특정 형태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며, 강의내용에 따라 차별화된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운영자 및 시스템의 상호작용보다 수강자 상호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라고 있었으며, 일반적인 스마트미디어활용교육이 아닌 강의 및 학습과 관련하여 활용할 수 있는 소셜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교육을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 대학의 e-러닝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정중심적 사업추진이 아닌 교육중심적 e-러닝 환경구축을 목표로 한 실효성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의학 융합 연구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 동향 고찰 (Study on the Tren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about Convergence in Korean Medicine)

  • 박혜림;홍미나;조재현;최준용;김남권;박재민;박진수;이동우;백규환;이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13-32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about convergence in Korean medicine (KM) and to find plans to facilitate further convergence. Articles published from 1995 to 2015 were searched on domestic database, NDSL and international database, PUBMED using the keyword concerning to five subjects (device, treatment, education, drug, effect and mechanism). Two authors checked independently searched articles to decide inclusion on the analysis and the stage of convergence, and made a conclusion through discussion. 58 and 27 articles were includ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spectively on five subjects mentioned above. Articles in treatment and effect and mechanism were the most in domestic (62%) and international research (37%) individually. On the stage of convergence (It is divided by the degree of mixing between resource, experience, and theory of KM and other fields of study), most of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 in domestic (62%) and international research (85%) respectively.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on the main subjects as well as the stage of convergence. It is needed that more active research and realistic application to facilitate further convergence.

균형 훈련 플레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생체역학적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ROM and EMG to Balance Training in Unstable Plate System: Primary Study)

  • 전성철;임희철;이창형;김태호;정덕영;전경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35-23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stable plate system for the advanced balance ability. 7 male volunteers (age $33.7{\pm}1.2$ years, height $174.7{\pm}3.8cm$, weight $86.0{\pm}3.6kg$, BMI $28.2{\pm}2.0kg/m^2$) performed the partial squat motion on the shape of CAP type(${\cap}$) and BOWL type(${\cup}$) plate system. The range of motion (ROM) and muscle activation were acquired by the motion analysis system and the EMG system. Results of ROMs of the CAP type plate system were shown the widely range of the deviation in the ankle joint on the sagittal plane (sagittal plane - hip joint $10.7^{\circ}$ > $5.4^{\circ}$, knee joint $16.3^{\circ}$ > $6.4^{\circ}$, ankle joint $18.8^{\circ}$ > $6.3^{\circ}$ ; transverse plane - hip joint $3.5^{\circ}$ > $1.8^{\circ}$, knee joint $5.3^{\circ}$ > $3.4^{\circ}$, ankle joint $11.3^{\circ}$ > $5.3^{\circ}$ ; frontal plane - hip joint $0.9^{\circ}$ > $0.5^{\circ}$, knee joint $0.8^{\circ}$ > $0.6^{\circ}$, ankle joint $4.8^{\circ}$ > $3.7^{\circ}$). Muscle activation results of the CAP type plate system were indicated higher in major muscles for balance performance than the BOWL type plate system (vastus lateralis 0.90 > 0.62, peroneus longus 0.49 > 0.21, biceps femoris 0.38 > 0.14, gastrocnemius 0.11 > 0.05). These findings may indicate that the CAP type plate system would expect better effectiveness in perform the balance training. This paper is primary study for developing balance skills enhancement training device.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를 위한 사용자 경험 기반 동작 인식 기술 (Human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Based on User Experience for Multimedia Contents Control)

  • 김윤식;박상윤;옥수열;이석환;이응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1196-120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의 제어 및 인터랙션을 위하여 별도의 입력장치 없이 사용자의 경험기반의 동작 인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 경험 기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를 위한 휴먼 동작 인식 방법은 먼저,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조명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YCbCr컬러 영역으로 변환하여 피부색 추출과 모폴로지에 의한 잡음제거, Boundary Energy 및 Depth 영상을 이용하여 손 영역을 검출하였다. 검출된 손 영상에서 PC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손 모양을 인식하고 차영상 및 모멘트 이론을 이용하여 손의 중심점 검출 및 궤적을 획득한 후, 손의 궤적을 시간을 기준으로 8분할하여 8방향 체인코드를 이용하여 심볼화하였다. 심볼화된 정보로 부터 HM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손동작을 인식,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실험에 적용한 결과 손 영역 검출은 94.25%, 손 모양 인식은 92.6%, 손 동작 인식은 85.86%, 얼굴 검출은 89.58%의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컴퓨터 환경에서 생성 구축된 영상, 음성, 동영상, MP3, e-book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들을 동작인식만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앱북(App Book)으로의 매체 전환을 위한 퍼놀로지(Funology)에 관한 연구: '무, 바, 라라라!(Moo, Baa, La La La!)' 앱북(App Book)을 중심으로 (A Study Funology for Reformatting to App Book: Focused on 'Moo, Baa, La La La!' of App Book)

  • 권지은;김보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0호
    • /
    • pp.221-243
    • /
    • 2013
  • 전통적인 인쇄매체의 종이책이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기기에서도 전자책이라는 매체로도 확장 되고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의 콘텐츠로 제공되는 앱북(App Book)은 책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정보제공과 교육, 감성전달 목적 이외에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재미 요소를 부가하여 몰입도를 배가 시키고 체험적 효과를 증가시키고 있다. 기존에 이미 검증받은 고퀄리티 콘텐츠를 애플리케이션 매체로 전환하는데 있어서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앱북으로의 매체 전환에 있어서 디지털 기술과 재미 요소가 융합된 퍼놀로지(Funology)가 어떻게 활용되고 사용자에게 어떠한 효과를 제공하는지에 대해 사례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앱북 콘텐츠 개발에 가이드를 제공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퍼놀로지에 대한 개념과 요소들을 살펴보고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의 토대를 마련한다. 둘째, 원작 '무, 바, 라라라!(Moo, Baa, La La La!)' 그림책을 아이패드(iPad)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한 앱북을 선정하여 퍼놀로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한 요소들이 실제로 인쇄매체의 종이책과 비교하여 퍼놀로지의 활용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심층인터뷰인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사운드를 활용한 감각적 퍼놀로지에 대한 감성적 효과가 높았으며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모션과 변화에 따른 인터랙션에 의한 퍼놀로지 요소를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오리지널 책에서 강조되던 유희 자체를 위한 퍼놀로지 요소는 다른 관점에서의 즐거운 감성으로 유도하고 있어 책의 콘텐츠 내용과 정보 보다는 게임적 성향의 인터랙션 자체에 더욱 치중되어 체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과 인터뷰 결과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앱북 개발에 있어서 본래 책이라는 매체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의 장점을 살리면서 애플리케이션의 퍼놀로지 요소의 특징을 부각시킬 수 있는 매체전환 방법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