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Sampling Method : ESM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초

상황 인지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모니터링 및 수집 시스템의 디자인 (Design of an Experience Monitoring and Sampling System for Context-aware Mobile Applications)

  • 서정석;이승환;김호진;이기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34-840
    • /
    • 2009
  • 본 논문은 휴대 단말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경험 모니터링과 평가 시스템의 디자인과 그 과정을 소개한다. 실생활에서의 검증, 상황 인지기반 설문, 관리와 확장성을 고려하여 초기 디자인을 하였고, 초기 디자인을 가지고 세 가지 응용프로그램의 검증을 행하였다. 초기 디자인을 구현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 가지 응용프로그램을 검증하고 사용자들의 몇몇 단말 이용 행태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첫 실험에서 설문의 한계와, 자료 분석의 어려움을 발견하고 시스템을 확장하여 두 번째의 실험을 행하였다. 확장된 두 번째 시스템은 설문 연기와 일지 작성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실험 참여 현황을 관찰할 수 있는 시스템과 자료 분석 도구를 준비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번의 실험 경험을 통해 발견한 이슈를 바탕으로 차기 시스템이 지향할 점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 PDF

ESM기반 보육교사 정서 연구를 위한 데이터 표집기술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bile Data Sampling Method based on ESM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 김수정;이윤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99-206
    • /
    • 2017
  • 경험표집연구법(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은 연구 참여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통해 실제 생활에서 경험하는 즉각적인 실제의 정서 경험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방법이다. 경험표집연구법은 최근 보육교사관련 연구 중 특히, 보육교사의 정서 및 행복감을 연구하고자 할 때 적용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는 연구방법으로서 기존의 교사의 회상 및 설문을 기반으로 한 연구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육교사의 증가되는 스트레스 및 부정적인 정서 경험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과, 이를 연구할 수 있는 적합한 대안적인 연구방법이 될 것이라는 기대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경험표집 연구법은 연구 참여자로 하여금 하루 일과 중 반복적으로 무선 호출기가 울릴 때마다 설문지 및 필기구를 휴대하도록 해야 한다는 제한점을 동반한다.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을 통해 수집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database화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제한점이 보고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정서경험 연구에 있어 경험표집연구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설문참여, 자료전달 등이 매우 불편한 아날로그 방식의 경험표집 방식을 개인용 무선 통신기기를 활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설문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설문응답에 활용하는 방안을 고안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초적 연구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시스템구성과 프로토타입 제작에 관한 내용을 주로 다루며 이를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평가하였다.

생활시간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의 비교 : 경험표집법과 시간일지 (A Systematic Comparison of Time Use Instruments: Time Diary and Experience Sampling Method)

  • 정재기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1호
    • /
    • pp.43-68
    • /
    • 2008
  • 이 연구는 생활시간 연구를 위한 두 도구를 비교한다. 시간일지와 경험표집법, 이전의 연구들이 이 두 도구가 집합적 측정치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 왔지만, 각 도구의 개별기록의 일치율을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이 두 도구에 모두 응답한, 시카고 대학의 알프레드 슬로안 센터에서 행해진 500가족 스터디의 일부 표본을 통하여, 이 연구는 두 도구를 비교하고 상대적 장단점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시간일지가 보다 덜 편향된 행동시간 측정치를 제공하는 데 반해, 경험표집법이 일상생활에 대해 보다 구체화된 서술을 가능하게 함을 시사하고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통화 상대 추천 알고리즘 디자인 및 ESM을 통한 평가 (A Call Recommendation Algorithm Design and Verification with ESM)

  • 이승환;서정석;이기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357-362
    • /
    • 2009
  • 휴대 전화를 이용해 전화를 거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사용자의 통화 내역을 바탕으로 시간적인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가장 통화할만한 상대를 추천해주는 방식은 이용되고 있지 않다. 사용자가 휴대전화로 언제 누구에게 전화를 걸었는지 알려주는 통화내역은 휴대전화가 알아낼 수 있는 다양한 상황 정보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통화 스타일이나 패턴을 알려줄 수 있는 유용한 데이터로써 상황에 맞는 적절한 통화의 추천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제 통화 기록을 바탕으로 한 통화 추천 방법의 디자인 과정과 추천 알고리즘 검증 과정,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그 추천 목록을 테스트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Daily Life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s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 Yoo, Hyo Hyun;Jun, Soo-Koung;Kim, Seong Yong;Park, Kwi 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4호
    • /
    • pp.16-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and to explore gender differences in these experiences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as the method. The instrument, the Experience Sampling Form (ESF), consisted of questions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035 ESFs by 91 students (male=52, female=39) at three medical schools for one week.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tests of the t-test and ${\chi}^2$ test. Activity pla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chi}^2=16.576$, p=.001). Males spent more time in learning places such as schools, libraries, etc., whereas females spent their time in personal places, including their homes, dormitories, etc. Males undertook more learning activities than did females, and females undertook more social/leisure activities and basic life activities than did male students (${\chi}^2=18.753$, p=.001). They were in a learning place and performing learning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bout their flow levels, competency levels, and difficulty levels, based on the activity type. These results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daily lives of medical students and can be useful in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s.

초등학생 학교부적응 증상의 일상생활 경험적 특성 (Daily Manifestations of School Mal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미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9-34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ime use patterns and psychological states across daily activity contexts and interpersonal contexts, depending on the levels of school mal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107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daily time use patterns and psychological states across daily contexts were measured six times a day over a period of 4 days. Using the school maladjustment scale, an internal problem based school maladjusted group and an external problem based school maladjusted group were identified and selected. The daily time use patterns and psychological states of both school maladjusted group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adjusted groups. The princip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maladjusted group students' daily time use patterns across daily activity contexts or interpersonal contexts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the students from the school adjusted group. Second, the school maladjusted group students experienced more negative emotions, lower concentration levels, and lower motivation levels across daily contexts than the school adjusted group students. These differences in motivation between the external problem school maladjusted group and adjusted group, however, were greater in the schoolwork context compared to the other daily activity context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the daily experiences of child school maladjustment.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공간/대인맥락과 정서경험에서의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Emotional Experience of Korean Urban Elderly in Everyday Live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한경혜;손정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159-118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표집법을 이용하여 도시노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을 활동의 공간과 대인맥락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노인들의 순간 정서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노인의 일상생활의 구성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경험은 노인이 처한 사회구조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개인의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맥락 중 하나인 젠더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 76명, 여성 72명의 도시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의 외적, 내적 경험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이 평소에 어디서, 누구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매 순간마다 어떠한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각 개인이 반복적으로 작성한 응답수를 분석의 단위로 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증, t 검증, 그리고 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일상생활의 활동 공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은 집이고, 일상의 시간을 가장 많이 공유하는 사람은 배우자였다. (2)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 정서경험 수준이 높았다. (3) 활동의 공간 및 대인맥락과 정서경험 수준 간 관련성이 젠더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러한 주요 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정서경험의 의미와 이와 관련되는 일상의 맥락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경험표집법(ESM)을 통해 본 음악영재의 삶의 질 (A Study for Quality of Life in Musically Talented Student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

  • 이현주;최인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57-8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영재들이 경험하는 일상을 통해 그들이 실제 인지하는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삶의 질에 대해 측정하기 위해 일상 경험을 2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하나는 외적 경험으로, 주된 활동, 함께한 사람에 대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내적 경험으로, flow, 정서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음악영재들의 삶(일상)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에서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시간과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고, 그 시간에 재능 발현을 위한 준비를 하면서 긍정적인 내적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음악영재는 일상에서 일반청소년에 비해 긍정적인 내적 경험을 보고하고 있었다. 셋째, 다른 활동을 할 때보다 자신의 재능과 관련된 음악활동을 하면서 더 깊이 flow에 빠지고,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고 있었다. 넷째, 음악활동을 하면서 깊은 flow를 경험하고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행복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이는 행복감이라는 것이 flow 경험과 동시에 오지 않는 특징을 가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새로운 연구방법, 즉 경험표집법(ESM)의 사용으로 일상에 대한 풍부하고 심도 깊은 자료를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통해 음악영재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상담이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경험표집법을 이용한 고등학생들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주된 활동과, 활동 공간, 및 플로우를 중심으로 (An Experiential Study of a Week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What They Do, Where They Go, and How They Feel Flow)

  • 최인수;김순옥;황선진;이수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213-22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weekly lif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focused on their activities, locations, and flow.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6 high school students by the Experiential Sampling Method, employing a cellular-phone as a signaling device. Students reported, in response to the 6964 random signals, that 43.4% of their time was spent for social/leisure activities. An additional 31% percent of time was used for productive activities and the rest of times belonged to maintenance activities. When engaged in productive activities, they usually reported anxiety, while they felt bored for social/leisure activities and flow for maintenance activities. The most pervasive context of their lives was school (42.8%), followed by home (33.3%), public space (24.6%), and educational institutes (9.2%). In general, they experienced flow for the most of the locations, except educational settings in which they felt anxiety. The flow for productive activities varied by gender, pending on where they had productive activities, while oth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ity flow by locations.

과학 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과 창의성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Flow' and Creativity as Observed in the Daily Lives of Science-Gifted Students)

  • 이남주;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7-153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유형과 창의성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들의 몰입 경험과 주된 활동을 2개월 동안 경험표집법(Experience Sample Method:ESM)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창의성과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채널 상태 중 몰입이 40.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일상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몰입 경험을 많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몰입이 많이 나타나는 주된 활동은 생산활동, 사회활동, 여가활동, 기초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술과 도전이 낮은 무관심은 반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몰입경험과 창의성은 유의수준 .01에서 정적 상관을 가져 일상에서 몰입 경험이 많이 나타날수록 창의성도 높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증가를 위해서는 몰입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과학프로그램 개발이나 삶 속에서 몰입경험 빈도가 높은 생산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불안을 줄이고 인내심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가지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