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Game

검색결과 574건 처리시간 0.022초

미디어 콘텐츠 생산자로서 웹소설 작가의 정체성 연구: 심층 인터뷰와 자기기술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eb Novel Writer's Identity as a Media Content Producer: An In-Depth Interview and Self-description)

  • 김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658-675
    • /
    • 2022
  • OTT 플랫폼의 등장으로 전 세계가 하나의 문화권으로 묶여 같은 미디어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반응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 연구는 '오징어 게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 우리나라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상황에서 원천 스토리의 IP(지식재산권)을 가지고 웹툰, 드라마, 영화로 확장하고 있는 웹소설 시장의 생산자인 웹소설 작가에 대한 생산자 연구를 시도한다. 이 연구에서는 웹소설 작가를 단순한 '소설가'가 아니라 상업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하는 생산자로 보고 그들의 정체성과 노동과정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웹소설 작가들은 부업이나 겸업으로 웹소설을 쓰기 시작했으며, 진입 장벽이 없고 따로 자본이나 시설비용이 들어가지 않으면서 혼자서도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을 웹소설의 매력으로 꼽았다. 진입 장벽은 없지만, 작가 대부분이 첫 작품에서 혹독한 실패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작가'라는 단어가 어떤 장르에서든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쓰는 사람'이라는 오해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웹소설의 경우는 달라서, 웹소설을 써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작가들이 철저하게 수용자 입장이 되어 독자들이 원하는 트렌드와 코드에 맞춰 써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을 거친다. 웹소설 작가들은 스스로 '이야기 판매자'나 '이야기 생산자' 또는 '혼자서 IP를 생산할 수 있는 사람',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판타지를 충족시켜 주는 사람' 등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표현했는데, 공통적으로는 이야기를 제공하고 수익 또는 매출을 올리는 사람이라는 의식이 강했다. 엄청난 분량의 웹소설을 연재하는 부담감에 대해서는 수입이 많은 작가들은 '노력에 비해 수입이 많다'는 관대한 입장을 보였지만 평범한 작가들은 '끊임없이 써야 하는 글쓰기 막노동을 하는 것 같다'며 란 고된 노동을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민담 <외쪽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The Interpretation of a Korean Folk Tale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김지연
    • 심성연구
    • /
    • 제32권2호
    • /
    • pp.122-168
    • /
    • 2017
  • 한국 민담 <외쪽이>를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외쪽이> 민담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인도와 아프리카에 유화가 있다. 대상 민담을 보면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수태 음식 두 개 반을 먹고 온전한 아들 두 명과 팔도 하나, 다리도 하나, 눈도 하나인 반쪽 아들을 낳았다. 형들은 과거 보러갈 때 외쪽이가 따라오는 것을 싫어해서 바위와 나무에 묶어 놓지만, 외쪽이는 힘이 세서 쑥 뽑아서 집의 뜰에 가져다 놓았다. 형들은 외쪽이를 칡으로 묶어서 호랑이 앞에 던져 놓지만 외쪽이는 호랑이와 칡 끊기 내기에서 이겨 호랑이 가죽을 벗겨 돌아온다. 호랑이 가죽을 탐낸 숙소 주인과 장기 내기에서 이겨 주인의 딸을 데려오기로 하고 노끈과 북, 벼룩, 빈대를 가지고 가서 주인집 사람들을 곯려주고 처녀를 데려와서 잘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이 부처에게 비는 제시부는 창조성이 고갈된 의식의 한계 상황에서 의식의 자아가 무의식에 겸허한 태도를 취하며 정신의 자발적 활동을 기다리는 태도이다. 하얀 영감이 와서 고기 세 마리를 주는데 고양이가 와서 반 마리를 먹어서 부인은 고기를 두 마리와 반 마리만 먹고 온전한 아들 둘과 막내 아들 외쪽이를 낳는다. 노현자 상으로 나타난 정신(Geist)과 고양이로 나타난 동물적 본성이 작용하여 무의식에서 낯설고 새로운 형상을 지닌 정신적 내용이 생성되었다. 반쪽 존재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원형상으로 많은 문화에서 신과 정령이 반쪽만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창조 신화에서 반쪽 존재는 생식 능력이 없지만, 죽지 않고 불멸한다고 전해진다. 인도네시아와 아프리카의 설화에서는 반쪽으로 태어난 소년이 하늘나라에 가서 자신의 반쪽을 만나 합쳐져서 온전한 몸이 된다. 반쪽 정령이 인간에게 해로운 경우도 있지만, 반쪽만 있는 새, 닭, 정령이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이야기도 있다. 반쪽 존재는 하늘에서 곡식을 훔쳐 오거나 대나무를 다루는 방법을 배워 오는 문화영웅이다. 반쪽 존재가 나중에 온전한 몸이 되는 이야기도 있지만, 대상 민담과 대부분의 유화에서는 이야기의 결말까지 반쪽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외쪽이는 무의식에서 태어난 정신적 체험의 상징이다. 형들이 외쪽이를 싫어하는 것에서 보이듯이 무의식의 내용은 처음에는 이상하고 기괴하게 보일 수 있으며 집단적 의식은 무의식의 내용을 받아들이지 않으려 하지만 새로운 정신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의식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외쪽이는 호랑이를 퇴치하고 호랑이 가죽을 벗겨 오는데 호랑이는 집어 삼키려는 무의식이며 집단적 무의식의 부정적 모성 원형으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괴물이다. 숙소 주인의 딸을 데려올 때 외쪽이는 떨어져 있는 것을 연결해 주는 끈과 음악과 무속에 쓰이는 악기, 하찮아 보이는 벌레를 들고 가서 점잖은 척 하는 사람들을 놀려주는 동시에 활기와 창조성을 가져다준다. 외쪽이는 트릭스터로서 유교적 신분 사회였던 우리 사회의 집단적 의식을 보상하는 역할을 했다고 보여진다. 외쪽이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세상 혹은 존재와 연결되어 있고, 어려움이 있을 때 도움을 주며 그전에 없던 것을 가져다 주는 문화 영웅이기도 한 정신적 내용으로 집단적 무의식에 존재하며 점차 드러날 심성이다.

우리나라 농촌(農村)의 모자보건(母子保健)의 문제점(問題點)과 개선방안(改善方案) (Problems in the field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and its improvement in rural Korea)

  • 이성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권1호
    • /
    • pp.29-36
    • /
    • 1976
  • Introduction Recently, changes in the patterns and concepts of maternity care, in both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accelerating. An outstanding development in this field is the number of deliveries taking place in hospitals or maternity centers. In Korea, however, more than 90% of deliveries are carried out at home with the help of untrained relatives or even without helpers. It is estimated that less than 10% of deliveries are assisted by professional persons such as a physician or a midwife. Taking into account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person i11 rural Korea, it is difficult to expect widespread prenatal, postnatal, and delivery care by professional persons in the near future, It is unrealistic, therefore, to expect rapid development of MCH care by professional persons in rural Korea due to economic and sociological reasons. Given these conditions. it is reasonable that an educated village women could used as a "maternity aid", serving simple and technically easy roles in the MCH field, if we could give such a women incentive to do so. The midwife and physician are assigned difficult problems in the MCH field which could not be solved by the village worker. However, with the application of the village worker system, we could expect to improve maternal and child hoalth through the replacement of untrained relatives as birth attendants with educated and trained maternity aides. We hope that this system will be a way of improving MCH care, which is only one part of the general health services offered at the local health centre level. Problems of MCH in rural Korea The field of MCH is not only the weakest point in the medical field in our country hut it has also dropped behi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Regarding the knowledge about pregnancy and delivery, a large proportion of our respondents reported having only a little knowledge, while 29% reported that they had "sufficient" knowledge. The average number of pregnancies among women residing in rural areas was 4.3 while the rate of women with 5 or more pregnancies among general women and women who terminated childbearing were 43 and 80% respectively. The rate of unwanted pregnancy among general women was 19.7%. The total rate for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y was 15.4%, toxemia being the major complication. The rate of pregnant women with chronic disease was 7%. Regarding the interval of pregnancy, the rates of pregnancy within 12 months and within 36 months after last delivery were 9 and 49% respectively. Induced abortion has been increasing in rural areas, being as high as 30-50% in some locations. The maternal death rate was shown 10 times higher than in developed countries (35/10,000 live births). Prenatal care Most women had no consultation with a physician during the prenatal period. Of those women who did have prenatal care, the majority (63%) received such care only 1 or 2 time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pregnancy. Also, in 80% of these women the first visit Game after 4 months of gestation. Delivery conditions This field is lagging behind other public health problems in our country. Namely, more than 95% of the women deliveried their baby at home, and delivery attendance by a professional person occurred only 11% of the time. Attendance rate by laymen was 78% while those receiving no care at all was 16%. For instruments used to cut the umbilical corn, sterilized scissors were used by 19%, non-sterilized scissors by 63% and 16% used sickles. Regarding delivery sheets, the rate of use of clean sheets was only 10%, unclean sheets, vinyl and papers 72%, and without sheets, 18%. The main reason for not using a hospital as a place of delivery was that the women felt they did not need it as they had previously experience easy deliveries outside hospitals. Difficult delivery composed about 5% of the total. Child health The main food for infants (95%) was breast milk. Regarding weaning time, the rates within one year, up to one and half, two, three and more than three years were 28,43,60,81 and 91% respectively, and even after the next pregnancy still continued lactation. The vaccination of children is the only service for child health in rural Korea. As shown in the Table, the rates of all kinds of vaccination were very low and insufficient. Infant death rate was 42 per 1,000 live births. Most of the deaths were caused by preventable diseases. Death of infants within the neonatal period was 83% meaning that deaths from communicable diseases decreased remarkably after that time. Infant deaths which occurred without medical care was 52%. Methods of improvement in the MCH field 1. Through the activities of village health workers (VHW) to detect pregnant women by home visiting and. after registration. visiting once a month to observe any abnormalities in pregnant women. If they find warning signs of abnormalities. they refer them to the public health nurse or midwife. Sterilized delivery kits were distributed to the expected mother 2 weeks prior to expected date of delivery by the VHW. If a delivery was expected to be difficult, then the VHW took the mother to a physician or call a physician to help after birth, the VHW visits the mother and baby to confirm health and to recommend the baby be given proper vaccination. 2. Through the midwife or public health nurse (aid nurse) Examination of pregnant women who are referred by the VHW to confirm abnormalities and to treat them. If the midwife or aid nurse could not solve the problems, they refer the pregnant women to the OB-GY specialist. The midwife and PHN will attend in the cases of normal deliveries and they help in the birth. The PHN will conduct vaccination for all infants and children under 5, years old. 3. The Physician will help only in those cases referred to him by the PHN or VHW. However, the physician should examine all pregnant women at least three times during their pregnancy. First, the physician will identify the pregnancy and conduct general physical examination to confirm any chronic disease that might disturb the continuity of the pregnancy. Second, if the pregnant woman shows any abnormalities the physician must examine and treat. Third, at 9 or 10 months of gestation (after sitting of the baby) the physician should examine the position of the fetus and measure the pelvis to recommend institutional delivery of those who are expected to have a difficult delivery. And of course. the medical care of both the mother and the infants are responsible of the physician. Overall, large areas of the field of MCH would be served by the VHW, PHN, or midwife so the physician is needed only as a parttime worker.

  • PDF

구인구직사이트의 구인정보 기반 지능형 직무분류체계의 구축 (Development of Intelligent Job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Job Posting on Job Sites)

  • 이정승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4호
    • /
    • pp.123-139
    • /
    • 2019
  •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의 직무분류체계가 사이트마다 상이하고 SW분야에서 제안한 'SQF(Sectoral Qualifications Framework)'의 직무분류체계와도 달라 SW산업에서 SW기업, SW구직자, 구인구직사이트가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새로운 직무분류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의 구인정보와 'NCS(National Competaency Standars)'에 기반을 둔 SQF를 분석하여 시장 수요를 반영한 표준 직무분류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의 직종 간 연관분석과 SQF와 직종 간 연관분석을 실시하여 직종 간 연관규칙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관규칙을 이용하여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의 직무분류체계를 맵핑하고 SQF와 직무 분류체계를 맵핑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직무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주요 구인구직사이트인 '워크넷,' '잡코리아,' '사람인'에서 3만여 건의 구인정보를 open API를 이용하여 XML 형태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했다. 이 중 복수의 구인구직사이트에 동시 게시된 구인정보 900여 건을 필터링한 후 빈발 패턴 마이닝(frequent pattern mining)인 Aprior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800여 개의 연관규칙을 도출하였다. 800여 개의 연관규칙을 바탕으로 워크넷, 잡코리아, 사람인의 직무분류체계와 SQF의 직무분류체계를 맵핑하여 1~4차로 분류하되 분류의 단계가 유연한 표준 직무분류체계를 새롭게 구축했다. 본 연구는 일부 전문가의 직관이 아닌 직종 간 연관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종 간 맵핑을 시도함으로써 시장 수요를 반영하는 새로운 직무분류체계를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 시점이 일시적이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시장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계절적 요인과 주요 공채 시기 등 시간에 따라 시장의 요구하는 변해갈 것이기에 더욱 정확한 매칭을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데이터 모니터링과 반복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SW산업 분야에서 SQF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고, SW산업 분야에서 성공을 경험삼아 타 산업으로 확장 이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