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otic fish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3초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소상 실험 및 평가 (Experiment and Assessment of Ascending Capability for Management of Exotic Fish Species)

  • 강준구;김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65-2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서식하는 외래어종인 배스와 블루길을 대상으로 소상능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대상 어류의 크기에 따라 4개 그룹으로 구분한 후 각 그룹별 4단계 유속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유속에 따라 기준선을 통과하는 개체 수를 영상촬영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어류의 유영 및 소상 가능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고유속 급류로 인해 5분 내 하류로 내려오면 기준선 통과 개체 수에서 제외하였으며 유속은 좌안, 우안, 중앙에서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어종 및 개체 크기에 상관없이 유속이 빠를수록 소상하는 외래어종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종별 비교 결과 배스의 소상능력이 블루길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개체 크기를 고려하면 차이는 크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상 후 급류로 인해 하류로 밀려 내려오는 경우를 제외하고 실험오차를 고려하면 외래어종이 소상 가능한 한계속도는 1.11 m/s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결과는 고유속 흐름을 이용한 어류 차단과 외래어종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향후 고유속에서 기준선을 통과하는 어류가 돌발속도에 의한 것인지 순항속도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실험과 검증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외력에 의한 반응 및 유량에 의한 압력 차이 등을 고려한 어류의 반응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icient Data Acquisition and CNN Design for Fish Species Classification in Inland Waters

  • Park, Jin-Hyun;Choi, Young-Kiu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2호
    • /
    • pp.106-114
    • /
    • 2020
  • We propose appropriate criteria for obtaining fish species data and number of learning data, as well as for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to efficiently classify exotic invasive fish species for their extermination. The acquisition of large amounts of fish species data for CNN learning is subject to several constraints. To solve these problems, we acquired a large number of fish images for various fish species in a laboratory environment, rather than a natural environment. We then converted the obtained fish images into fish images acquired in different natural environments through simple image synthesis to obtain the image data of the fish species. We used the images of largemouth bass and bluegill captured at a pond as test data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n addition, to classify the exotic invasive fish species accurately, we evaluated the trained CNNs in terms of classification performance, processing time, and the number of data; consequently, we proposed a method to select the most effective CNN.

Potential risky exotic fish species, their ecological impacts and potential reasons for invasion in Korean aquatic ecosystems

  • Atique, Usman;An, Kwang-G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41-53
    • /
    • 2022
  • Background: Due to the rapidly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South Korea faces the grand challenge of exotic species. With the increasing human movement, the influx of alien species to novel regions is prevalent across the globe. The latest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easy to prevent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alien species rather than controlling their spread and eradication. Like other countries,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released a list (in 2018) of 45 potential risky exotic fish species considered likely to be invasive candidate fish species if they ever succeed in entering the Korean aquatic ecosystems. Results: The investigation into the invasion suitability traits showed that potential risky fish species could utilize those features in becoming invasive once they arrive in the Korean aquatic ecosystems. If the novel species establish viable populations, they are likely to incur higher economic costs, damage the native aquatic fauna and flora, and jeopardize the already perilled species. Furthermore, they can damage the installed infrastructure, decline overall abundance and biodiversity, and disturb the ecosystem services. Here we reviewed the list of fish species concerning their family, native origin, preferred aquatic biomes, main food items, current status in Korea, and potential threats to humans and the ecosystems. Data shows that most species are either already designated as invasive in the neighboring counties, including Japan, Vietnam, Thailand, and China, or originate from these countries. Such species have a higher climate match with the Korean territories. Conclusions: Therefore, it is exceptionally essential to study their most critical features and take regulatory measures to restrict their entry. The incoming fish species must be screened before letting them in the country in the future. The regulatory authorities must highlight the threatening traits of such species and strictly monitor their entrance. Detailed research is required to explore the other species, especially targeting the neighboring countries fish biodiversity, having demonstrated invasive features and matching the Korean climate.

버블을 이용한 파랑볼우럭 차단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Bluegill Blocking Effects using Bubbles)

  • 강준구;김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90-397
    • /
    • 2017
  • 외래어종의 유입은 토종어류의 감소 및 수중생태계의 교란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어류의 차단 및 관리 방안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래어종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버블을 이용한 어류 차단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수로를 제작하여 차단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버블 발생장치는 공기압축기로 공기를 발생시켜 버블커튼을 만든 후 어류를 차단하는 시스템이며 실험어류는 국내 외래어종인 파랑볼우럭을 대상으로 하였다. 파랑볼우럭의 크기는 0.10 m ~ 0.15 m이며 수심은 0.70 m를 유지하였다. 실험수로의 유속은 어류의 유영능력을 고려하여 3단계로(0.20 m/s, 0.10 m/s, 0.05 m/s)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파랑볼우럭은 버블 적용 전 70.07%가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며 하류를 서식처로 생각해 움직임이 거의 없는 개체를 고려하면 어류 소상률은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차단시설을 설치할 경우 대부분의 어류가 버블커튼에 의해 다시 하류로 회귀하는 움직임을 보여 차단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버블을 종료할 경우 빠른 시간 내 다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간 것으로 보아 버블을 이용한 어류 차단효과는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생태공원 지역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어종 모니터링 연구 2 (대저생태공원) (Study of Fish Monitoring for of Exotic Fishes Management of Ecological Park at Nakdong River 2 (Daejeo Ecological Park))

  • 강준구;김성중;여홍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93-200
    • /
    • 2023
  • 최근 외래어종의 유입은 하천 내 어류 관리에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하천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하천변을 환경적이 기능을 갖도록 정비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대저 생태공원은 4대강 사업에서 비닐하우스 등 관리하기 어려운 하천변 시설을 철거하고 조성된 지역이다. 조성된 대저생태공원은 철새도래지로의 의미와 수중생태계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한 하천공간으로의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정비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하천사업에도 불구하고, 외래어종은 환경공간을 파괴하고 하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간 본류와 더블어 생태공원에서도 어류상 조사 및 우세종/외래어종 점유율 분석을 수행한 것이다. 대저생태공원은 정체지역으로 낙동강 본류와 수리적 특성이 다르므로 획득된 자료를 통해 생태공원의 외래어종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낙동강 생태공원 지역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어종 모니터링 연구 1 (낙동강) (Study of Fish Monitoring for of Exotic Fishes Management of Ecological Park at Nakdong River 1 (Nakdong River Site))

  • 강준구;김성중;여홍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84-192
    • /
    • 2023
  • 최근 외래어종의 유입은 어류 서식처의 생물 다양성 위협 및 생태계 파괴를 가져오기도 한다. 최근 이루어지는 하천사업은 환경적인 기능을 고려하고 있다. 비닐하우스 등 관리하기 어려운 하천변 시설을 철거하고, 생태공원 등을 조성하여 수중생태계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한 하천공간으로의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정비도 수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하천사업에도 불구하고, 외래어종은 환경공간을 파괴하고 하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에서 어류상 조사 및 우세종/외래어종 점유율 분석을 수행한 것이다. 이 자료는 생태공원의 외래어종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군산시 공원주변의 동물상과 개발에 따른 생물학적인 영향 및 대책 (Fauna of Some Parks Around Kunsan-City and Biological Impact on the Developments of These Parks)

  • 김세천;윤창호;서홍렬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1호
    • /
    • pp.23-34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fauna of some parks around Kunsan-city and to establish biological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ose parks. Among the fauna surveyed, insects consist of 74 species in 49 families and 13 orders. The insect fauna was poor, because the environment was made of simple flora and mostly farmland. Fish in the reservoir of Wolmyong-Park consist of 7 species. Among them, Ctenopharyngodon idellus is an exotic species and characterized with its voracious plantfeeding. This fish severely destroyed the habitats and spawning sites of other sympatric fish. For the conservation of non-exotic fish, birds, and mammals in the area, the integrated biological direction would be needed.

  • PDF

Fish Composition and Trophic Guild Analysis as a Collection of Basic Data for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in Yeongsan Lake

  • Choi, Ji-Woong;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46-552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fish compositions, based on trophic guilds and tolerance guilds and determine community characteristics structure at five sampling sites of Yeongsan Lake during July 2006-May 2007.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30 species and the number was 1350. Cyprinidae (77%) and Centrarchidae (15.7%) dominated the community and then followed by Cobitidae(2.7%), Gobiidae(2.4%), Mugilidae (0.5%), and others (0.1%). The relative abundance of tolerant and omnivore species at all sites was 63% and 77% of the total, respectively, suggesting an ecological degradations in the Lake. Exotics species such as large 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which is a top-carnivore in the water distributed at all sampling sites, implying that ecological disturbance was severe based on previous reference of US EPA (1991). Also, we found external anomalies such as external deformities, bleeding and tumors and not found migratory fish. Analysis of fish community structure showed that species diversity index and rich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Site 1 and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Site 2. In this study, high proportions of tolerant species and omnivore species, widespread exotic species, and frequent observations of abnormal fish. Such problems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associated with high nutrient enrichments and the reduced flow velocity by the dam construction. The ecosystem restoration by dam removal or removal of exotic top-carnivore fish may be one of the best strategies for better lak management.

FEEDLOT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LOCAL (DHOFARI) AND EXOTIC (CASHMERE) GOATS FED ON A HIGH-FIBER BY-PRODUCTS DIET SUPPLEMENTED WITH FISH SARDINE

  • El Hag, M.G.;El Shargi, K.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389-396
    • /
    • 1996
  • In the first of two experiments, liveweight gain respons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two breeds of growing male goats, local (Dhofari) and exotic (Cashmere), fed on a whole pelleted-high fiber date by-products' based diet at 32.5% level (As-fed) supplemented with 12% fish (sardine), (HF-Fish) and a commercial concentrate diet (conc.). The (HF-Fish) diet was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to the (conc.) diet, supplying 14% CP (DM-basis). Both diets together with Rhodes grass hay (Chloris Guyana) were fed ad libitum.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complete random arranged in a $2{\times}2$ factorial with breeds and diets as the main factors, using six animals per treatment. The experiment lasted for 84 days and goats were penned individually.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three animals from each treatment group were slaughtered for carcass evaluation. In experiment 2, diets' digestibility and N-balance were determined using 3 sheep per diet. The (HF-Fish) diet significantly(p < 0.05) improved liveweight gain.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p < 0.01) between breeds, with Cashmere gaining more than local goats. Feed conversion efficiency, dressing percent and longissimus dorsi area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 or breed(p > 0.05). Digestibility of the proximate components and N-balance for both diets were similar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p > 0.05). Fish supplementation greatly improved the digestibility of CF, ADF, ND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Meat production ost was decreased by 31% due to feeding of the (HF-Fish) diet.

동진강 수계에서 생태 교란어종(큰입배스, 불루길)의 분포에 대한 물리적 서식지 및 화학적 수질 특성 (Physical habitat and chemic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ecologically disturbing fish (Largemouth bass and Bluegill) in Dongjin-River Watershed)

  • 강유진;이상재;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77-18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수계에서 외래 교란어종(큰입배스와 블루길)에 대한 물리적 서식지 및 화학적 수질특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큰입배스(Micropterus salmoide)와 불루길(Lepomis macrochirus) 각각 어종에 대한 우점 지역(출현 지역)과 비출현 지역을 구분하였고, 수 화학(Water chemistry) 및 어류서식지 특성(하상구조 등)에 대한 상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교란어종의 상대 풍부도는 BOD, PO4-P 및 pH의 수질이 악화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으나, NO3-N 및 전기전도도에 따른 풍부도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블루길은 동진강 수계의 우점 지역(출현지역)과 비출현 지역 두 지역 사이에 서식지 구조적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큰입배스는 두 지역 간의 비교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실트, 자갈, 암반과 같은 하상구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동진강에서 우점종은 피라미(14.6%), 불루길(14.0%) 및 큰입배스(9.8%)로서 나타났다. 즉, 외래 생태교란종이 전체 개체수의 24%를 차지하여, 동진강 수계는 외래종의 분포는 유기물 오염 및 영양염(P) 오염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