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ercise effects

검색결과 3,967건 처리시간 0.027초

체성감각계 지원이 여성노인의 보행 및 평형감각 유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omatosensory input on the gait ability and equilibrium sensory of elderly women)

  • 정철;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05-213
    • /
    • 2018
  • 평형능력은 보행에 영향을 미치고, 보행속도는 노인의 건강한 척도를 말해주는 기준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체성감각계 지원이 여성 노인의 보행 및 평형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평소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으며, 이비인후과적으로 이상이 없는 노인으로 평균 연령이 75세 여성 노인 61명을 실험군 31명과 통제군 30명으로 분류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2.44m왕복걷기, 10m 일반걷기 및 빠르게 걷기, 6분 걷기를 실시하였다. 평형감각 검사로는 뉴로컴사의 Equi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44m 왕복걷기와 10m 일반걷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0m 빠르게 걷기, 6분걷기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감각에서는 조건 2, 3, 4, 6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성감각계 지원이 노인 여성들의 보행 및 평형유지 능력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지팡이의 적극적 사용이 권장된다 할 수 있겠다.

필라테스 동작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근과 하지근의 근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am Roller Application and Movement on EMG responses of Trunk and Lower Limb muscles in Pilates)

  • 정서현;조상우;정상훈;김기홍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05-913
    • /
    • 2018
  • 본 연구는 필라테스 동작 시 폼롤러의 적용과 움직임에 따른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피험자로 남자 8명을 선정하여 필라테스 네발자세, 교각자세, 코어컨트롤 동작을 매트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정적동작, 폼롤러 위에서 동적동작으로 무선배정하여 1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각 동작의 수행 시 척추세움근,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과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alpha}=.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네발기기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중간볼기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5), 폼롤러 정적동작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둘째, 교각자세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동작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셋째, 코어컨트롤 동작에서 폼롤러 동적 동작에서는 배곧은근, 척추세움근,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p<.01), 정적 동작에서는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05). 필라테스 운동시 근활성도를 고려하여 방법과 난이도를 적용하면 더욱더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고강도서키트트레이닝에 의한 신체조성의 변화가 복부비만 중년남성의 척추만곡도와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nges In Body Composition Through High Intensity Circuit Training On Spine Curvature And Low Back Pain Among Middle-Aged Men With Abdominal Obesity)

  • 김채원;김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46-356
    • /
    • 2018
  • 좌식 생활 및 신체활동의 부족에서 발생하는 과체중 및 복부비만은 요추 신전근의 약화 및 위축으로 인하여 요부통증(Low back Pain, LBP)의 위험요인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LBP를 소유하고 있는 복부비만 중년남성(n=80)에게 체중감량에 효과가 있는 고강도서키트트레이닝(High Intensity Circuit Training, HICT)을 적용했을 때 신체조성의 변화가 척추만곡도(Spine Curvature, SC) 및 시각적통증척도(Visual Analog Scale, VAS)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한다. 운동 프로그램으로는 체간 중심의 운동을 포함한 전신의 근육을 동원할 수 있는 다관절 형태의 12가지 종목으로 구성된 HICT(1회 운동 30분, 격일제 주당 3회)를 12주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비만관련 신체조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흉추후만도(Kypotic Angle, KA) 및 요추전만도(Lordotic Angle, LA)가 정상치에 가깝게 이동하였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요부통증의 척도인 VAS의 지표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결국, 복부비만에 의한 비정상적인 흉추후만도, 요추전만도 및 요부통증의 개선은 본 연구에서 적용된 고강도의 운동트레이닝에 의한 신체조성의 변화가 척추만곡도와 요부통증의 개선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비만스트레스와 건강신념이 체중조절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besity Stress and Health Belief on Weight Control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 함미영;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59-468
    • /
    • 2017
  • 본 연구는간호대학생의 비만스트레스와 건강신념이 체중조절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U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t=2.30, p=.044), 건강상태(F=8.03, p<.001)가 체중조절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체중조절행위의 식이요법(r=-.26, p<.001), 운동요법(r=-.25, p<.001)과 행동수정요법(r=-.29, p<.001)이 지각된 장애성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체중조절행위의 전문지식획득은 비만스트레스(r=.42, p<.001), 지각된 민감성(r=.25, p<.001)과 지각된 유익성(r=.19, p<.001)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체중조절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은 건강신념 중 지각된 장애(${\beta}=-.30$, p<.001)와 비만스트레스(${\beta}=.20$, p<.05)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17.2%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체중조절행위에 영향을 주는 성별, 건강상태 및 비만스트레스와 건강신념의 변인들을 이용하여 체중조절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Ca과 Vitamin D 보충이 폐경 이후 여성의 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Bone Metabolism in Postmenopausal Women)

  • 홍희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10호
    • /
    • pp.1025-1036
    • /
    • 199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 and/or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53 weeks on bone metabolism in post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were healthy 18 women aged from 59 to 69 years ol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placebo, Ca(1000mg/day) supplementation and Ca(1000mg/day) with vitamin D(12.5$\mu\textrm{g}$/day) supplementati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except for metabolic studies, the subjects ate their usual diets and the use of drugs as well as excessive exercise was prohibited. Metabolic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1st week and in the 53rd week of the experimental periods. The subjects ate experimental diets which consisted of 1787.3kcal, 69.6g of protein, 561.5mg of Ca and 1078.6mg of P daily during both of the metabolic study period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one density of the second lumbar spine and trochanter measured after treatm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pre-experimental level(p<0.05). On the contrary, bone density of femoral neck and Ward's triangle in Ca group and the second lumbar spine in Ca.Vit D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2) Serum PTH and calcitonin level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before and after treatment. But serum PTH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groups after treatment(P<0.05). 3) Serum Ca and P level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before and after treatment. But serum Ca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groups after treatment (P<0.05) and serum P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in Ca.Vit D group after treatment(P<0.05). 4) Mean 24-hours fecal Ca excretion of Ca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1st week of treatment(P<0.01), and that of control group was the lowest in the 53rd week of treatment(P<0.01). Fecal Ca excre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trol and Ca.Vit D group in the 53rd week of treatment(P<0.05). Urinary Ca excre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1st and 53rd week of treatment, but that of Ca.Vit D group was the highest the 1st week of treatment(P<0.01). In the 53rd week of treatment Ca and Ca.Vit D group showed positive Ca balance, but control group showed negative Ca balance.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prevent degenerative bone loss without Ca and/or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eating Korean usual diets.

  • PDF

전자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with Electronic Games)

  • 한지혜;고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80-48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PBS(Pediatric Balance Scale)와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이용해 전자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평가도구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는데 있다. 대동작기능분류체계 제 I, II 단계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20명을 가상현실군과 대조군으로 10명씩 무작위 배치하여 주 3회, 매 30분씩 12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군은 근력운동과 가상현실프로그램을, 대조군은 근력운동만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상현실군에서 실험 후에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5), PBS와 WeeFIM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가상현실프로그램은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균형과 일상생활 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흥미로운 중재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PBS는 뇌성마비아동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도구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렴한 비용의 가상현실프로그램을 홈 프로그램으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 Based on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이경은;조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99-409
    • /
    • 2016
  • 고혈압 환자의 증가와 함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고혈압 환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주요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에 따라 파악하고자 2차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혈압으로 의사에게 진단받은 1,240명의 고혈압 환자이며, 자료분석은 SPSS 23.0 및 STATA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분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활동제한, 우울감, 주관적 건강상태가 포괄적인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분위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이 낮은 고혈압 환자 그룹과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고혈압 환자 그룹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과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관련 삶의 질 상위 60%까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평소 인지된 스트레스와 3일 이상의 규칙적 운동은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 20%에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현재 음주상태는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 20%와 상위 80%에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별 건강 행태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중재 계획에 실제적인 근거가 될 것이다.

실천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KHIDIKIDS)을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생의 식생활 태도 및 식습관 향상 (Application of a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HIDIKID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 권용경;장영애;김정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8호
    • /
    • pp.808-81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in lower classes through a 12-week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alled KHIDIKIDS, which was developed b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in 2004 based on the 2003 Children's Dietary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KHIDIKIDS has never been applied in the field, therefor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gram in the school education and suggest the ideas for the improvement. KHIDIKIDS was applied to a class of 2nd-grade elementary students consisting of 28 children in Seoul during the fall semester of 2005,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measured by using questionnaires for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SPSS WIN 11.5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hildren's knowledge on nutri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KHIDIKIDS education (p<.001), such that the average score on nutritional knowledge increased from 8.32 to 9.64 after education. This practica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lso improved the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children especially in healthy body weight, daily exercise, and having breakfast (p<.05). Parents also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for the nutrition education. During the application of KHIDIKIDS in the field, the followings were indicated for adjustment, First, some education content of the week was too much to be finished in a class hour and more hours need to be allocated. Second, some terminology need to be adjusted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easily. Thirdl, the order of the's Basic Food Groups' needs to be matched with the order of each food group in the 'Food Tower' not to make children be confused. Above results showed that KHIDIKIDS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and habits of lower elementary students. However, further educational effects would be achieved when the education was started from the 1st to higher grades along with the parents' participation.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체육고등학교 학생운동선수들의 감정반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on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Emotional Reaction and Self-efficacy)

  • 박영찬;고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70-185
    • /
    • 2016
  • 이 연구는 체육고등학교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학생운동선수들의 감정반응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S시와 D시에 소재한 2개의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체육특기생 258명을 표집 하였다. 총 184부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2.0 프로그램과 22.0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학생운동선수들의 감정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운동선수가 경험하는 감정반응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학생운동선수들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운동선수가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정적 반응은 자기효능감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감정반응,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성별, 운동경력별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공예 작업치료 프로그램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eutic Craft Activity on improvement cognitive function and hand function in acute patients with stroke)

  • 장태용;박보라;양영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55-36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공예 작업치료 프로그램 활동을 시행하였을 때 인지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추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중재방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진행은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A종합병원, B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두 그룹을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는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을 4주 동안 주 2회, 30분간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치료 전 후에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한 평가도구는 Box & Block Tes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Trail-Making Test이다. 결론적으로 중재 전 후 비교에서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군의 손 기능 평가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인지기능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손 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파악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니며, 향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시 기초자료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