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ercise adherence behavio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골프 참여자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정서, 그리고 운동지속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Golf Participa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

  • 범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27-134
    • /
    • 2017
  • 본 연구는 골프 참여자들의 기본적 심리욕구, 운동정서, 그리고 운동지속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종 230부의 설문지들을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골프 참여자들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정서의 관계에서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은 긍정적 정서를 높이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능성만이 부정적 정서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과 관계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검증되지 못했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은 운동지속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들의 운동에 대한 긍정적 정서는 운동지속행동을 높이고, 운동에 대한 부정적 정서는 운동지속행동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접효과에서는 기본적 심리욕구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모두 정서를 매개하여 운동지속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운동지속행동으로부터 신체 활동의 진정한 가치를 찾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여러 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가치관이 외모 도구성 및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ody related Values of Pilates Participants on Appearance Instrumentality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

  • 노수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81-387
    • /
    • 2018
  • 본 연구는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가치관이 외모 도구성 및 운동지속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시에 소재하는 공공 및 사설 필라테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20세 이상 성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총 16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가치관은 운동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필라테스 참가자의 외모 도구성 및 운동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가치관은 외모 도구성에 미친다. 넷째, 팔라테스 참가자의 신체가치관, 외모 도구성 및 운동지속행동 사이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팔라테스 참가를 통해 참가자들이 자신의 신체를 변화시킬 수다는 긍정적 신념은 사회적 관계를 갖는데 외모가 긍정적 역할을 한다는 신념을 매개로 필라테스 운동지속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해양레저스포츠의 참여자 호기심, 운동강도, 운동정서가 운동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Causal Effects Among Participants' Curiosity, Perceived Exertion, and Exercise Emotion on Exercise Adherence Behavior in Marine Leisure Sports)

  • 김성문;최만식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127-142
    • /
    • 2016
  • 본 연구는 해양레저스포츠 참여자의 호기심, 운동강도, 운동정서가 운동지속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대학교 해양레저스포츠 교과목(스쿠버다이빙, 윈드서핑, 요트) 수강자 491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그들은 4종류의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연구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AMO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으며, 변인 간 인과적 관계 규명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이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로는 첫째, 해양레저스포츠 최초 참여자의 호기심은 운동정서에 정적인 인과관계가 나타났으며, 운동정서는 운동지속행동에 정적인 인과관계가 확인되었으며, 호기심은 운동지속행동에 정적인 인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운동정서는 호기심과 운동지속행동의 부분적인 매개변인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해양레저스포츠 최초 참여자의 운동강도가 높으면 긍정적 정서는 낮고, 부정적 정서는 높게 나오며, 운동강도가 높으면 운동지속행동의 가능성, 경향성, 강화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운동정서가 긍정적이면 운동지속행동의 가능성, 경향성, 강화성이 높아 운동지속 의지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운동정서는 운동강도와 운동지속행동의 부분적인 매개변인으로 판명되었다.

만성관절염 환자의 수중운동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Aquatic Exercise Adherence of Patients with Arthritis)

  • 강현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0-35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 in the exercise behavior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long-term adherence to aquatic exercise in patients with arthritis as a follow-up study after five years. Method: Baseline data had been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interview 6 months after participants completed the aquatic exercise educational program. This second follow-up data collection included 133 participants from the original baseline study and was done 5 years after the original baseline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6 Win program. Results: The stage of change for the participants was as follows: Precontemplation (44.3%), Contemplation (24.1%), Preparation (3.0%), Action (0%) and Maintenance (adherence, 28.6%). The adherers (N=38)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adherers (N=91) in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y, group coherence and self-evaluation, an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barriers to exercis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group cohesion, barriers to exercise and self-evaluation were associated with exercise adherence (Chi Square=17.14, p=.002). Group cohesion (OR=2.5871, 95% CI=1.094-6.113, p= .030)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clusion: Self-efficacy, group cohesion, barriers to exercise and self-evaluation need to be considered in planning exercise programs to improve exercise adherence.

  • PDF

성인골프참여가 운동몰입을 통한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olf Participation on Exercise Adherence through Exercise Immersion)

  • 이승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03-1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골프참여가 운동몰입을 통한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골프 운동하도록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1월에 경남에 소재한 성인 골프동호인 40~70세 대상을 선정하고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Systematic 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표본 추출을 이용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첫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의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몰입은 운동지속에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운동몰입은 운동지속에 높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igning Intervention Arthritis Self-Management Program with Tai Chi for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in Rural Korea

  • So, Aeyoung;Park, Sunah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55-66
    • /
    • 2018
  • Osteoarthr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and prevalent among women in rural area. A variety of self-management programs for arthritis patients have been developed and administered, however the effectiveness and adherence to the program including arthritis exercise are found to be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intervention Arthritis Self-Management Program with Tai Chi (ASMP-TC)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attributes influencing adherence exercise behavior in Korean older adult women with arthritis in rural area. For this, the existing and relevant evidence on arthritis self-management including exercise interven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is study describes well-designed arthritis self-management program to provid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necessary for its interventions. In addition, this study try to propose a self-management program model of Tai Chi exercise for rural older adults to improve adherence based on the primary health care facility, which is vulnerable area in Korea.

운동지속수행능력과 기후적응성에 따른 의복행동과 건강에 대한 인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Adherence and Climate Adaptability)

  • 전대근;정운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7-466
    • /
    • 2012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mate adaptability and physical activity adherence on clothing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Total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352 university students(126 male & 226 female students). Results were gained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t-test using SPSS 1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figures than female students in physical activity adherence, cold adaptability, and health perception but vice versa in clothing behaviors related to the seasons, weather forecasts and the situation. Second, the group which had good physical activity adherence showed adequate clothing behaviors and fine health perception, which meant proper relations between exercise, clothing behavior, and health. Finally, the group which had lower climate adaptability but adequate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eason showed a fine health perception. The relation between clothing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was checked through this.

관상동맥질환자의 규칙적 운동이행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3~2015년) 활용 (Gender Comparison Factors Influencing Regular Exercise Adhere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 진혜경;김민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4-14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 regular exercise adhere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This secondary analys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ree hundred and eighty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and having coronary artery diseas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easures included questions about regular exercis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Rao-Scott $x^2$ statistic,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en did more regular exercise than women (58.8% vs 40.1%). The multivariate-adjusted Odds Ratios (OR) for regular exercise adherence in men were 2.93 (95% CI: 1.39~6.17) for non smokers and 3.06 (95% CI: 1.53~6.13) for men with 0 to 1 comorbidities. Women had a high odds ratios of 0.38 (95% CI: 0.18~0.82) for not using alcohol and 2.10 (95% CI: 1.03~4.29) for no back pain. Conclusion: To improve regular exercise adhere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 approaches considering gender.

Identifying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dherence to a community-based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for weight loss among Chinese overweight and obese adults

  • Leung, Alice Wai Yi;Chan, Ruth Suk Mei;Sea, Mandy Man Mei;Woo, Je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5호
    • /
    • pp.415-424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Existing evidence on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s for weight loss is limited by the high attrition rate of such programs. Identifying predictors of adherence to a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could result in program improvement.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behavior-specific adherence and its psychological predicto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dherence after one-month participation in a community-based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among Chinese overweight and obese adults in Hong Kong. SUBJECTS/METHODS: A total of 205 Chinese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ged $38.9{\pm}10.5years$ completed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at baseline and after one month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assessed knowledge (self-developed scale), motivation (Treatment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stage of change (Stage of Exercise Scale) and self-efficacy (Self-Rated Abilities for Health Practices Scale). At one month, a 4-day dietary recall and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hort Form were used to assess dietary and physical activity (PA) adherence. Food and PA diaries were examined to indicate self-monitoring. Program attendance was tracked between baseline and one-month follow-up. RESULTS: After one month, participants reported high dietary adherence, attendance, and adherence to self-monitoring but low PA adher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diet self-efficacy (baseline) and nutrition knowledge (one-month change)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dietary adherence score at one month, whereas autonomous PA motivation (baseline) and PA self-efficacy (both baseline and one-month change)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PA adherence score at one month. No significant psychological predictor was identified for attendance or self-monitoring.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adherence differs between diet and PA adherence outcomes. To promote adherence, practitioners should assess self-efficacy, knowledge, and motivation at the beginning of a weight-loss program and explore behavior-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knowledge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direct implications for program improvements.

관상동맥질환자에게 제공한 의료인의 식이 및 운동권고, 운동자기효능감이 규칙적인 운동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and Exercise Recommendations Provided by Medical Staff to Patients, and Exercise Self Efficacy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on Adherence to Regular Exercise)

  • 권미수;이숙정;김두리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91-100
    • /
    • 2024
  • 허혈성 심장질환은 재발의 위험이 높고, 재발 시 사망률이 더욱 증가하므로, 재발 예방을 위해서 운동과 식이요법 등 건강행위의 실천이 중요하다. 관상동맥질환자의 규칙적인 운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의 건강행위 권고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의료인의 권고가 대상자들의 운동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의료인의 식이 및 운동 권고가 규칙적인 운동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8년 7월 4일부터 2019년 7월 30일까지 서울 소재 2개 대학병원 순환기내과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위해 입원한 환자 219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인으로부터 운동이행 권고를 받은 경우(OR 3.52, p=.036), 식이이행 권고를 받은 경우(OR 6.48, p=.022), 운동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OR 1.36, p=.001), 경제 상태가 좋은 경우(OR 7.59, p=.007), 주관적인 건강 상태가 좋은 경우(OR 0.31, p=.047), 규칙적인 운동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의료인은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이에 대해 환자 맞춤형 권고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운동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의료인 권고의 정도나 방법에 따라 관상동맥질환자들의 자기 관리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