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ercise Inspira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HRCT Emphysema Scoring과 운동부하 폐기능검사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HRCT Emphysema Score and Exercise Pulmonary Testing Parameters)

  • 최은경;최영희;김도형;김용호;윤세영;박재석;김건열;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4호
    • /
    • pp.415-425
    • /
    • 2001
  • 배 경 :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에 있어서 병리학적 기준은 기강(air space)의 확장 정도에 있으며, 이는 고해상도 전산화 촬영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에 의해 결정되는 폐기종 점수(emphysema scoring)와 좋은 상관성을 보인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폐기종의 주증상은 운동성 호흡곤란이므로 폐기종에 대한 임상적 평가는 운동능력의 감소를 측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은 안정시 폐기능 검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흔하며, 병리학적 중증도 판정과 상관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고해상도 전산화 촬영에 의한 폐기종 점수와 운동부하 폐기능검사 지표들과의 상관성 여부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종의 중증도 판정에 있어서 HRCT와 안정시 폐기능 검사 및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간에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여 보았다. 방 법 : 평균 연령 $60.6{\pm}10.3$세인 14명의 폐기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HRCT, 안정시 폐기능 검사(forced expiratory flow volume curve, lung volumes by He dilution method, DLco, ABGA), 그리고 점진적운동부하폐 기능검사(incremental cycle ergometer)를 시행하였으며 HRCT는 GE highlight를 이용하여 조영증강 없이 최대흡기시에 1.5mm collimation, 10mm 간격으로 폐전체를 스캔하였고, 환자마다 모든 스캔에서 density mask를 이용하여 -400 HU를 기준으로 한 총폐면적과 -900 HU를 기준으로 한 폐기종 면적을 각각 구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여 폐기종 점수를 구하였다. 결 과 : 평균 폐기종 점수는 $37.4{\pm}14.9%$ 이었다. 폐기종 점수와 안정시 폐기능 검사의 DLco(r=-0.75)와 $PaO_2$(r=-0.66) 사이에서만 유의한(p<0.05)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반면 폐기종 점수와 운동부하폐기능 지표들간의 상관성은 최대 산소섭취량(r=-0.68), 혐기성 역치(V-slope method, r=-0.690), 최대운동부하(r=-0.74), 최대운동시 $O_2$ pulse(r=-0.73), 최대운동시의 생리적 사강비율 (r=0.80) 등과 높은 유의성 (p<0.01)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호흡예비율과 심박수 예비율간에서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고, pulse oxymeter로 측정한 산소포화도와의 상관성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폐기종의 병리학적 중증도를 잘반영한다고 알려진 HRCT 폐기종 접수는 폐기종에 의한 생리학적 장애를 잘 반영하는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의 주요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ariations in lateral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in three positions in a young healthy population

  • Ko, Young Jun;Ha, Hyun Geun;Jeong, Juri;Lee, Wan 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01-106
    • /
    • 2014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position for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DIM) exercise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wenty-eight young adults with no history of low back pai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positions compared were crook lying position with hip $60^{\circ}$ flexion, standing position with the feet hip width apart and knees straight, and saddle standing positionunsupported with the knees $20^{\circ}$ flexed. Once in the appropriate position, the subjects were verbally cued to draw in their abdominal wall, with the intention of pulling their navel inward toward their lower back. The thickness of each transversus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muscles were measured via ultrasound and recorded at the end of inspiration. Results: When compared to the TrA thickness of rest, the TrA thick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ree positions (crook lying, standing, and saddle standing) during the ADIM (p<0.05). IO thicknes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tanding and saddle standing than in crook lying (p<0.05). EO thickness was constant in all the three position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standing and saddle standing positions could be recommended for the ADIM to maximize recruitment of the TrA and IO activation. Specifically, the saddle standing position with knees flexed to $20^{\circ}$ was observed to increase the TrA activation more than the standing position.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core stability exercises such as the ADIM are conducted.

Comparison of Abdominal Muscle Activity Between the Abdominal Bracing Technique Emphasizing Inhalation and the General Bracing Technique and Hollowing Technique

  • Yun, Kyoungup;Jung, Ki-Bum;Lee, Yongwoo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45-252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bdominal muscle activity difference while performing the abdominal bracing technique focusing on inspiration (abdominal bracing group), the general abdominal bracing technique (general bracing group), and the abdominal hollowing technique (abdominal hallowing group) Design: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Methods: Thirty-three health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to 3 different groups; Abdominal bracing group, general bracing group, and abdominal hallowing group.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placed over the rect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and internal oblique muscles to collect the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during the trial. Results: The muscle activity of the abdominal bracing group and general bracing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abdominal muscles than in the abdominal hollowing group (p<0.05) Both rectus abdominis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showed higher muscle activations in the abdominal bracing group over the general bracing group (p<0.05). However, the ratio of bilateral external obliques and rectus abdominis to bilateral internal obliques was highest when the hollowing technique was applied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e abdominal bracing technique that emphasized inhalation rather than the abdominal hollowing technique or general abdominal bracing technique increased the activity of the abdominal muscles. Therefor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 data for effective training if the abdominal bracing technique that emphasizes inhalation is applied as a method to increase the activation of the abdominal muscles.

Arshile Gorky와 Jackson Pollock의 Painting이 현대의상 직물 문양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Arshile Gorky's & Jackson Pollock's Painting on Modern Fashion)

  • 정흥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7-207
    • /
    • 1992
  • Expressionism, is as diverse as the artists invo)ved, in a very broad sense two main tendencies may be noted. The first is that of the Action painters, concerned in different ways with the gesture of the brush and the texture of the paint. It included such major artists as Arshile Gorky, Jackson Pollock, Willem De Keening, and Franz Kline. The other group consisted of the Color Field painters, concerned with the statement of an abstract sign or tranquil image in terms of a large, unified color shape or area. Here must be included Mark Rothko, Barnett Newman, Ad Rdinhardt, as well as, to a degree, Adolph Gottlieb, Robert Motherwell, and Clyf(ord Still. In this paper, 1 selected two artists Arshile Gorky and Jackson Pollock in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studied the influence of their Action painting on the fabrics of modern fashion. However, it should be noted it was never the intention of the critic Harold Rosenberg, in coining this term, to imply that Action painting was a kind of athletic exercise. Nor is it true that the furious and seemingly haphazard scattering of the paint involved a completely uncontrolled, intuitive act. There is no question that, in the paintings of Jackson Pollock, Arshile Gorky and many of the other Abstract Expressionists, the element of intuition or the accidental plays a large and deliberate part; this was indeed one of the principal contributions of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had found its own inspiration in surrealism's 'psychic automaton'. However, nothing that an experienced and accomplished artist does can be completely accidental. Aside from their intrinsic quality, the spun-out skeins of poured pigments contributed other elements that changed the course of modern painting. There was the concept of the all-over painting, the painting seemingly without beginning or end, extending to the very limits of the canvas and implying an extension even beyond. The feeling of absorption or participation is heightened by the ambiguity of the picture space. The colors and lines, although never punctur-ing deep perspective holes in the surface, still create an illusion of continuous movement, a billowing, a surging back and forth, within a limited depth. To study the influence of Abstract Expressionism on the fabric of modern fashion, 1 selected and examined four fashion magazines: Collezioni published in France, Bazaar in Italy, Gap in Japan and Vogue in the U.S.a. froim January 1989 to June 1991. As a result of this review I found that some fabrics used in modern clothing are printed in a dripping, pouring and splashing style without any meaning or form. Slides included in the presentation show that modern fabrics which are printed in such a style were influenced by Abstract Expressionism. The slides also show that these abstract prints are well suited to modern fashion design.

  • PDF

폐암 환자의 호흡훈련에 의한 호흡동조 방사선치료계획의 유용성 평가 (The feasibility evaluation of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simulation according to the Respiratory Training with lung cancer)

  • 홍미란;김철종;박수연;최재원;표홍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9-159
    • /
    • 2016
  • 목 적 : 폐암환자의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 계획 시 호흡 훈련 전후 RPM 신호와 횡격막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호흡 훈련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6년 4월부터 8월까지 호흡 동조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호흡 훈련을 시행하였고 동시에 RPM 신호 및 횡격막 영상을 획득하였다. 호흡 훈련은 총 3단계로 1단계 자유 호흡 상태의 신호 획득, 2단계 호흡 신호 가이드를 통한 1차 호흡 신호 획득, 3단계 설명과 반복 훈련으로 규칙성과 안정을 유도한 최종 호흡 신호를 획득 하였다. 각 단계의 흡기와 호기시 RPM 신호와 투시 영상의 횡격막 위치의 평균값,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을 구하고, 이를 1단계 값으로 표준화 하여 2, 3단계를 상대분포 백분율(%)로 변환하여 환자의 호흡 변화와 내부 움직임을 분석 함으로써 각 환자의 호흡훈련 유용성을 평가 하였다. 결 과 : RPM 신호와 횡격막 진폭을 측정한 뒤, 1단계를 100%으로 표준화하여 각 단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의 오차 평균을 구하였다. 그 결과, 3단계 최종호흡 획득 시 진폭의 상대평균 및 표준편차 모두 감소가36.4%, 표준편차만 감소가 18.2%, 진폭만 감소가 36.4%로 나타났으며, 횡격막 영상의 위치 측정 시 3단계에서 전체 81.8%의 환자에게서 상대평균 진폭 값이 30%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모든 환자들에게서 2단계 대비 3단계의 RPM 신호와 횡격막 진폭이 각각 평균 52.6%, 42.1%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RPM 신호와 횡격막 영상 진폭 차이의 연관성은 2번 10번 환자를 제외하고 각각 1, 2, 3단계 움직임의 패턴이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호흡 동조 방사선치료에서 호흡 훈련을 시행하였을 때 최적화된 호흡 주기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모의 호흡 훈련을 치료 전 시행함으로써 불규칙적인 호흡에 의한 환자의 호흡을 제어해 폐의 움직임을 예측 가능 하게 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는 방사선 치료의 체계적 오류를 최소화해 보다 정확한 치료를 기대할 수 있어 호흡 훈련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겠다.그러나 본 연구는 치료 전 호흡 훈련을 시행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로 제한되어 있으며 추후 실제 CT 계획과 치료 시 획득한 자료를 가지고 검증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조선시대 선잠·친잠의례와 음악의 역사적 변천 (The Historical Changes of Seonjam·Chinjam Ritual and Music in the Joseon Dynasty)

  • 송지원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509-547
    • /
    • 2019
  • 조선 초기부터 행해진 양잠 관련 국가의례는 의식주의 '의(衣)문화'로서 '입을 거리'를 중요시 여기던 국가의 의지를 드러내는 의례로 자리매김 되었다. 성종 대에는 '왕비가 직접 뽕잎을 따는 절차'를 추가하여 그 중요도를 높였다. 영조 대에는 의례의 의미가 더 확대되어 왕비가 양잠신에 직접 제사하는 '작헌례' 절차를 더하여 '여성'이 '여성신격(神格)'에 직접 제사를 올리는 최초의 의례로 자리하게 되어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새로운 형태가 출현하였다. 이는 영조가 선농제를 행한 후 직접 밭을 가는 친경의례와 위상을 맞춘 것으로서 농사와 양잠행위의 중요성을 아울러 부각시킨 것이기도 하다. 그 결과 영조 대에 정비된 친잠 관련 의례는 그 내용이 확대되어 11가지 의례로 정착된다. 이는 의례를 행하러 가기 위한 출궁 절차부터 왕세손, 혜빈궁이 왕비를 수행하는 절차, 왕비가 작헌례를 올린 후 친잠하는 의례, 왕이 교서를 반포하는 의례, 친잠을 마친 후 행하는 조현의(朝見儀), 왕비가 누에고치를 담은 상자를 받는 의례까지이다. 이러한 의례는 그 이전에 행해지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큰 규모로 확대된 것으로서 이는 영조 대 의례 정비 양상의 한 특징을 이룬다. 이들 의례의 주요 절차에는 음악이 수반되며 그 음악은 속악, 그리고 고취(鼓吹) 등을 포함한다. 영조 대의 친잠 관련 의례는 선잠제의 신격인 여성을 여성이 직접 제사하는 의례로 정착시키는 방향으로 제정됨으로서 그 명분과 실제가 비로소 일치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