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hange rate of culture water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3초

환수율 및 접종밀도에 따른 초소형 rotifer, Synchaeta kitina의 대량배양 (Mass Culture of Ultra-small Rotifer, Synchaeta kitina at the Exchange Rate of Culture Water and Initial Inoculation Density)

  • 오정수;박진철;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4-359
    • /
    • 2009
  • The productivity of ultra-small rotifer, Synchaeta kitina was investigated at the exchange rate of culture water (10, 20, 30, 40 and 50%) and initial inoculation densities (250, 600 and 900 inds. per mL) in semi-continuous culture. Also, the possibility of mass culture was investigated in a 100 L culture tank. Tetraselmis suecica was used as the feed for S. kitina in all experiments. The production of S. kitina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exchange rate of culture water. The highest production ($82.0{\times}10^5$ inds.) was achieved at 40% exchange rate of culture water. The production of S. kitina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initial inoculation density during the first week and the highest total production ($17.4{\times}10^6$ inds.) was achieved at 900 inds. per mL of initial inoculation density. However, on the second week, all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otal production (P>0.05). During the two weeks, total production of S. kitina at 900 inds. per mL of initial inoculation density was higher than at 600 inds. of initial inoculation dens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100 L culture tank, density of S. kitina was kept from 516 to 890 inds. per mL and S. kitina was daily harvested $15.5{\times}10^6$ to $26.7{\times}10^6$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production cost for 100 million rotifers in semi-continuous culture was 63,656 w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optimal exchange rate of culture water and initial inoculation density for the semi-continuous culture of ultra-small rotifer, S. kitina are 40% and 600 inds. per mL, respectively.

사육수 비교환방식을 이용한 포장 사육지에서의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의 초고밀도양식 (Super-intensive Culture of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in HDPE-lined Ponds with no Water Exchange)

  • 조영록;김봉래;장인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1-339
    • /
    • 2010
  • Shrimp farming is the most important mariculture industry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However, it has suffered from mass mortality due to viral disease outbreaks and coastal pollution due to water discharge. This study developed an intensive shrimp culture method for outdoor ponds, without water exchange, which minimizes the chance of viral transmission from the environment, reduces coastal pollution by water discharge and enhances shrimp production. A culture trial was conducted in two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lined ponds with a $550\;m^2$ surface area. The ponds were stocked with postlarvae of Litopenaeus vannamei, the major farmed shrimp species in Korea, on July 10, 2007, and cultured for 90 days with no water exchange. The stocking density of the postlarvae (B.W. 0.0015 g) was $272\;ind./m^2$, which is eight times higher than in traditional pond culture in Korea. At harvest, the total production of ponds 1 and 2 was 1,362kg ($2.48\;kg/m^2$) and 1,282 kg ($2.33\;kg/m^2$), respectively. This is 20~22 times higher than the mean farmed shrimp production ($0.112\;kg/m^2$) in Korea and about eight times higher than in traditional ponds with a good harvest. Although there was no water exchange throughout the culture period, the mean concentrations of unionized ammonia and nitrite-nitrogen were as low as 0.038 and 6.0 mg/L, respectively. The feed conversion rate (FCR) was 1.38, which is 20~45% lower than that of traditional pond cultures. The high efficiency of the diet in this study is thought to be due to a well-managed feeding strategy and well-developed bioflocs used as diet additions for the shrimp. The final body weight of the shrimp at harvest was low (12.2~12.5 g), compared with that of traditional pond culture. This may hav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a short culture period, high density of shrimp, and low tempera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super-intensive shrimp pond culture method using biofloc technology with no water exchange can minimize viral transmission via water exchange, reduce coastal pollution, and enhance shrimp production.

환수 및 공기공급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의 내구란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Resting Eggs by the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 with Exchange of Culture Water and Supplemental Aeration)

  • 권오남;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121
    • /
    • 2005
  • 본 연구는 통기방법과 배양수의 환수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의 내구란 형성을 조사하였고 0.5 톤 수조에서 내구란 대량 생산을 수행하였다. 산소와 공기를 공급한 실험구에 있어서 rotifer의 최고밀도와 유성생식률은 차이는 없으나 수정률과 내구란 형성은 공기를 공급한 실험구가 산소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배양수의 환수간격에 따른 실험에서 환수를 하지 않은 실험구가 rotifer 최고밀도와 내구란 형성은 환수를 한 실험구(매일 환수한 실험구)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내구란 생산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Chlorella 건조중량당 내구란 형성은 환수를 한 실험구(매일 환수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0.5톤 수조에서 내구란의 총 생산량은 $51.8{\sim}57.9{\times}10^6$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기를 공급한 batch 배양이 담수산 rotifer, B. calyciforus의 내구란을 대량생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종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해수산 rotifer B. plicatilis와 B. rotundiformis와 비슷한 생산 효율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육상 수조식 양식장의 해수 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적용을 위한 열부하 분석 (Thermal load analysis of tank culture system for applying seawater source heat pump)

  • 윤민기;김태훈;정석권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9권2호
    • /
    • pp.155-163
    • /
    • 2023
  • This study deals with the maximum thermal load analysis and optimal capacity determination method of tank culture system for applying seawater source heat pump to save energy and realize zero energy. The location of the fish farm was divided into four sea areas, and the heat load in summer and winter was analyzed, respectively. In addition, two representative methods, the flow-through aquaculture system and the r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 were reviewed as water treatment methods for fish farms. In addition, the concept of the exchange rate was introduced to obtain the maximum heat load of the fish farms. Finally, power consumption for heat pumps was analyzed in the view point of sea areas, tank capacity, and exchange rate based on the calculated maximum thermal load.

반폐쇄 순환여과식 넙치양식장의 수질제어에 관한 연구 (Water Quality Control in the Semiclosed Culture System Growing a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양병수;이헌모;정병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7-204
    • /
    • 1992
  • 넙치양식장의 수질관리 및 제어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같은 조건에서 양식되고 있는 유수식 및 순환여과식 양식장을 선택하여 상호수질의 비교 평가를 행하였다. 두양식장 공히 COD, $PO_4-P$ 및 SS의 최대농도는 급이와 동시에 나타났고 2시간 이내에 평상농도로 회복되어 일정한 농도로 거의 유지되었다. $NH_4-N$의 경우 유수식에는 급이후 시간 경과에 따라 농도차이가 별로 없으나 순환식의 경우는 급이후 2시간 이후에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H_4-N$을 제외한 COD, $PO_4-P,\;SS$ 및 TIN의 농도는 순환여과식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처리 시스템내에 축적된 유기부유물이 무기화에 기인된 것을 평가되었으며, 이것이 질산화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사려되었다. 유수식 및 순환여과식의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해수 교환율이 양식장마다 크게 다르게 나타나 이에 대한 최적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밀도 축제식 양식장의 질소역학과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성장 (Nitrogen Dynamics and Growing of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in the High Density Aquaculture Ponds)

  • 강윤호;윤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4-32
    • /
    • 2004
  • A mathematical model is used to investigate nitrogen dynamics in the intensive aquaculture pond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Parameters associated with water quality, sediments and growing of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are measured to calibrate the model for feeding ponds A and B and storage ponds. The model describes the fate of nitrogen including loadings of ammonia from feeds, phytoplankton assimilation, nitrification, sedimentation, volatilization and discharge. The model obtains good agreements with the measured values of TAN $(NH_4,\;NH_3),\;NO(NO_2,\;NO_3)$ and Chl (chlorophyll a). Impacts of water exchange on TAN and Chl are investigated, showing that the range of 0.01-0.2 (/day) cannot effectively reduce TAN but reduces Chl. Nitrogen in the ponds A is removed by sedimentation $66\%,$ volatilization $8\%,$ discharge of particulate and dissolved $8\%.$ The pond B shows $56\%\;and\;26\%$ of sedimentation and volatilization, respectively, to yield $10\%.$ decrease and 8c/o increase compared to those in the pond A. While the pond A has larger area (1.02:0.66 ha) and same stocking density (0.025 md./L) at the beginning of culture, the pond B obtains higher stocking density (0.0065:0.0091 md./L), longer feeding period (103:121 day) and resultant higher shrimp production (1.15:2.13 t/ha/cycle) at harvest. This is possibly due to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driven by paddlewheels. At low ratio of the low speed area and the pond area, the rate of sedimentation is high, while the rate of gas exchange is low. Thus, the measurement and model analysis suggest that water quality and shrimp produc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shrimp ponds.

사육수 비교환 방식에 의한 흰다리새우의 고밀도 사육 - II. 흰다리새우의 실내 중간양성 - (Intensive Culture of the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under Limited Water Exchange - II. Indoor Post-Nursery Culture of Juvenile Shrimp -)

  • 장인권;김종식;서형철;조국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50
    • /
    • 2009
  • 새우양식은 서해안의 축제식 양식장에서 거의 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최근 바이러스성 질병 피해와 생산성 저하로 해마다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사육수 비교환 방식의 실내 고밀도 새우양식은 바이러스의 유입의 억제, 배출수에 의한 연안환경 오염 방지, 생산성 향상 뿐 아니라 출하시기의 조절 등 장점이 있어 축제식 양식장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타가영양을 기본으로 하는 BFT (biofloc technology) 방식으로 제작된 4개의 raceway형 tank (12.9, $18\;m^2$ 각 2개)에 흰다리새우 치하(B.W. 0.08-0.09 g)를 3,000-5,455 마리/$m^3$ 밀도로 입식하고 42일간 환수율 2.7-3.4%/day로 사육한 결과, 생산량은 $2.49-4.22\;kg/m^3$으로 일반 새우종묘배양장의 12-20배, 축제식 양식장의 8-14배에 달하였다. 수확시 tank에 따라서 새우의 평균 체중은 1.45-2.03 g, 생존율은 38.2-48.0%, FCR은 0.79-1.29이었다. 총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평균 1.11-1.42 ppm이며 최고 6.0 ppm ($NH_3$ 농도, 0.096 ppm)까지 상승하였으나 새우에게 영향을 미칠만한 농도는 아니었다. 아질산성 질소는 사육 초기부터 꾸준히 상승하여 전 기간 평균 18.45-22.07 ppm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또한 아질산성 질소는 모든 tank에서 4주간 10 ppm 이상의 농도가 지속되었으며 후반기 4일 동안은 35-45 ppm의 높은 농도를 보여주어 새우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보여준 장기간의 높은 아질산염의 농도에도 불구하고 최저 38%의 새우가 생존한 점은 BFT 조건 하에서 아질산염에 대한 새우의 적응능력을 설명해주며 이에 대한 기작과 내성한계 등에 대한 추가적인 추구가 필요할 것이다.

해산 어류 양식장 가두리의 DO수지 -곤리도 방어 양식장의 경우- (Dissolved Oxygen Budget in Floating Net Cage of Fish Farm at the Coastal Area -In case of yellow tail farm in Konli-Do-)

  • 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34
    • /
    • 1988
  • 본 연구는 1987년 9월 8일, 9일 양일간에 걸쳐 24시간 동안 곤리도 금성수산 방어 가두리 양식장에서 해산어류 양식장${\cdot}$가두리의 방양한도를 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는 용존산소 수지를 해석해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가두리에 수용된 당년생 방어 2,800kg이 1일간 소비하는 산소량은 $3.09g/m^3$였고, 가두리 안의 수체에 의하여 소비되는 산소량은 $1.24g/m^2{\cdot}day$였으며, 수중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생산공급된 산소량과 대기로 부터 해수중으로 녹아 들어간 산소량의 합계는 수중 유기물의 분해와 플랑크톤의 호흡을 포함하는 수조자체의 산소소비량의 $43\%$를 감당하는 수준이었고, 그 나머지 $57\%$와 사육어가 소비하는 다량의 산소는 가두리 안밖으로 교류하는 해수유동에 의하여 공급되고 있었다. 이 어장의 가두리에 수용할 어체량은 해수교환율에 의해 결정되는 듯이 보이며, 어장내의 조류에 대한 가두리 배치방식에 따라 해수교환율이 달라지게 될 것이므로 가두리마다의 해수유통에 따라 수용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 PDF

바이오플락과 아쿠아포닉스를 이용한 도심형 양식시스템에서의 메기양식 (Urban aquaculture of catfish, Silurus asotus, using biofloc and aquaponics systems)

  • 김석렬;장진우;김범주;장인권;임현정;김수경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45-553
    • /
    • 2019
  • 도심형 양식시스템을 바이오플락 양식기술과 아쿠아포닉스 배양대로 구성하여 사육수를 교체하지 않고 메기를(사육조 3.3톤 2개) 양성한 결과 151일의 사육 후 2.8 g의 종묘가 평균 무게 171.3 g (총중량 56.53 kg)과 235.5 g (총중량 71.1 kg)로 성장하였다. 입식에서 수확까지의 누적 생존율은 65% 보였고, 성장 구간별로 입식에서 1차 성장 후 분조 이전까지 77.7%, 분조 이후 생존율은 수조에 따라 차이를 보여 각각 92.9%와 78.0%로 나타났다. 초기 바이오플락 사육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일부 폐사가 발생하였고, 수질이 안정된 이후에는 폐사가 감소하였다. 메기의 혈액분석결과 사육초기 BFT 사육수가 안정화 이전인 4월에 간 손상 지표인 AST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ALT, triglyceride는 전 사육기간 내에 차이가 없었다. Glucose, cholesterol, total protein은 7월에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다른 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메기 사육수를 이용한 아쿠아포닉스 가동 시 생산된 식물은 상추, 바질, 적근대, 적치커리 등이 원활한 성장을 보여 5개월간 총 148.85 kg의 식물을 수확하였다. 또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 식물재배에 따른 사육수 내의 질산 제거능력과, 질산이 제거된 사육수는 메기 사육수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심형 양식시스템으로 물을 교환하지 않고 어류를 양식할 때 사육수에 축적된 질산을 제거하고 재사용이 가능한가를 아쿠아포닉스 기술을 결합하여 연구하였으며, 양식생물(메기) 수용량에 따른 적정 식물량을 유지하면 농수산 복합양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구강에 기생하는 Neoheterobothrium hirame의 형태 및 감염어의 병리조직 (Morphology of Neoheterobothrium hirame parasitic in the oral cav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histopathology of diseased fish)

  • 이범석;김정호;김태호;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4
    • /
    • 2020
  • 실험실에서 순환여과시스템으로 5-6개월 사육하던 넙치 치어에서 아가미의 심한 빈혈을 나타내는 질병이 발생하였다. 현미경관찰에서 아가미에서는 유충이, 입천정에서는 성숙한 성충이 관찰되었다. 성충의 체장은 5.60-9.32 mm이며 방추형 몸의 길이는 3.83-6.32 mm, 부착기는 방추형 몸에서 부터 연결된 isthmus의 끝부분에 꽃자루 모양으로 존재하였고 부착기의 끝에는 8개의 파악기가 있었다. 충의 형태학적 관찰로부터 단생류에 속하는 Neoheterobothirum hirame로 동정하였다. 감염어의 적혈구용적는 평균 10.3±2.8%로 정상 넙치의 31.4±4.2%보다 현저히 낮았다. 병리조직학적으로 N. hirame에 감염 된 넙치는 아가미 새판과 새엽을 흐르는 혈관내의 적혈구가 감소하고 비장의 적수(red pulp) 영역이 감소되고 간세포는 위축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넙치에 심한 빈혈을 일으킨 원인은 N. hirame인 것을 밝혔다. 이 연구는 순환여과식 사육시스템에서는 사육수의 교환이 적으므로 소독장치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병원체의 증식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