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일 병원의 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 여성 간호사의 근무형태에 따른 정신신체 증상 (Psychosomatic Symptoms of Rotating Shift and Daytime Working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 김병조;최말례;김태형;김형욱;은헌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79-86
    • /
    • 2014
  • 연구목적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 중 순환교대자와 주간고정근무자 두 군 간의 정신신체 증상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방 법 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의 인구학적 정보를 수집하여, 두통의 강도(VAS), 두통의 유형, 두통의 빈도를 알기위한 질문지와 우울척도(BDI), 전반적 수면평가지(GSAQ)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Mann-Whitney test와 ${\chi}^2$ test를 사용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군 84명 중 순환군이 37명, 주간군이 47명이었다. 순환군이 주간군보다 젊고 미혼이 많았고 근무연수가 적었다. 순환군이 주간군보다 두통, 불면, 과다 주간졸리움증,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신체 증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결 론 종합병원의 순환교대근무 여성간호사가 주간근무자보다 더 많은 두통, 불면, 과다 주간졸리움증, 우울, 불안을 보였다.

  • PDF

일 도시 여자 고등학생에서 월경전기증후군 및 월경전불쾌장애와 우울, 수면의 질, 수면형태의 연관성 (Association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ith Depression, Sleep Quality and Sleep Pattern in the Korean Female High-School Students)

  • 이지연;김석만;강석훈;정혜경;최진희;소형석;김태용;백기청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3-118
    • /
    • 2016
  • Objective : Premenstrual syndrome (PMS)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 is known to reduce the quality of sleep and is associated with various psychiatric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MS with depression, sleep qulity and sleep pattern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Methods : Out of 867 high school female students, 400 femal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SPAF),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insomnia severity index (ISI) and 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CS). A total of 394 individuals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 As score of SPAF, 143 subjects was defined PMDD group. They had more prevalence of eveningness, more depressive symptom, poorer sleep quality, and more excessive sleepiness than non-PMDD groups. Although the PMDD groups showed more menstrual dysmenorrhea, no difference was found in bleeding duration and cycle. PMS symptom had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poorer sleep quality and excessive sleepiness during the daytim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leep duration between two groups, but PMS might have a relationship with eveningness of chronotype. Conclusions : Among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PMS might have an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poor sleep quality, and it might lead to daytime impairment due to excessive sleepiness. An appropriate evaluation of PMS could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mental health condition of adolescents.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의 외과적 처치 (Surgical approach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 김태경;이덕원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12호
    • /
    • pp.926-934
    • /
    • 2015
  • Obstructive sleep apnea (OSA), most common respiratory disorder of sleep, is characterized by intermittent partial or complete occlusions of the upper airway due to loss of upper airway dilating muscle activity during sleep superimposed on a narrow upper airway. Termination of these events usually requires arousal from sleep and results in sleep fragmentation and hypoxemia, which leads to poor quality of sleep,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reduced quality of life and numerous other serious health consequences. Untreated OSA may cause, or be associated with, several adverse outcomes, including daytime sleepiness, increased risk for motor vehicle accidents,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pression. Various treatments are available, including non-surgical treatment such as medication or modification of life style,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and oral appliance (OA). Skeletal surgery for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ims to provide more space for the soft tissue in the oropharynx to prevent airway collapse during sleep. Conventional surgical techniques include uvopalatopharyngoplasty(UPPP), genioglossus advancement (GA), and maxillomandibular advancement (MMA). Surgical techniques,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skeletal surgery are introduced in this review.

수면검사다원검사와 수면잠복기반복검사 (Polysomnography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

  • 조재욱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4권1호
    • /
    • pp.7-11
    • /
    • 2012
  • Polysomnography is used to diagnose many types of sleep disorders including sleep apnea,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REM sleep behavior disorder, parasomnias, and narcolepsy. It is a comprehensive recording of the biophysiological changes that occur during sleep. The polysomnography monitors many body functions parameters including EEG, EOG, EMG, ECG, respiratory airflow, respiratory effort, and pulse oximetry during sleep. 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 is performed for diagnosing narcolepsy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t is usually to be done after an overnight polysomnography. The test consists of four or five 20-minute nap opportunities that are scheduled two hours apart.

수면 무호흡의 증상과 수면 호흡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Symptoms of Sleep Apnea and Respiration during Sleep)

  • 이성훈;이희상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2호
    • /
    • pp.163-171
    • /
    • 1994
  • 연구목적 : 수면 무호흡의 증상은 크게 불면증, 낮의 과다한 졸리움, 기억력과 집중력 등의 인지기능장애, 우울 등의 감정장애 등이 주 증상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증상들이 수면 및 수면 무호홉의 여러 변수들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며 어떤 과정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발생되는 지에 대한 연구는 그렇게 많지 않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면 무호흡증 환자 60 명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함과 동시에 낮 졸리움 척도, 불면증 척도, 인지기능 척도 및 감정장애 척도를 통해 수면 무호홉의 증상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수면다원 검사상의 여러 수면변수, 무호흡의 횟수, $O_2$ desaturation, 코골기 정도 등과 무호흡 증상의 4 가지 척도와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호흡 환자 중 불면증호소가 적고 비교적 잠을 잘 자는 경우는 호흡장애가 많은 경우와 중심성 무호흡이 많은 경우였다. 그리고 제 3 단계 서파수면에서 코골기가 많거나 경등도의 산소저하가 많은 경우였다. 대신 낮에 졸리움증이 많은 경우는 제 1 단계에서 코골기가 많은 경우였다. 그러나 무호흡의 정도나 산소와는 직접 상관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우울 등의 감정장애는 수면 중 산소저하가 중등도이상으로 심한 경우 많이 나타났으며 제 4 단계 서파수면이 적은 경우 이러한 우울 감정이 더 심하게 나타났다. 집중과 기억 등의 인지기능은 REM 수면이 많고 호흡장애의 횟수가 적을수록 더욱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다. 결론 : 무호흡의 증상은 서로 다른 원인과 기전을 통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을 좀 더 객관적 평가할 수 있다면 환자의 수면 및 무호흡의 정도와 상태를 예측하는데 더욱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ehavioral insomnia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 Kang, Eun Kyeong;Kim, Seung 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3호
    • /
    • pp.111-116
    • /
    • 2021
  •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bedtime problems and night waking are common and the main presentations of insomnia. Poor sleep may critically impact the daytime functioning and mood of the child and their caregivers. A comprehensive sleep history, a sleep diary/log, and the BEARS (Bedtime problems,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wakenings during the night, Regularity and duration of sleep,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sleep screen are useful for diagnosing sleep problems in young children. Behavioral therapies for this type of insomnia include extinction, bedtime fading with positive routines, and scheduled awakening. Previous studies of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leep-onset latency, night waking frequency, and night waking duration. Parent education about their child's sleep, bedtime routines, and sleep hygiene is essential for treatment.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주간 졸림증 및 불면증에 대한 임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Daytime Sleepiness and Insomnia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김인식;엄지훈;윤형준;김동환;김경래;조석현
    • Journal of Rhinology
    • /
    • 제25권2호
    • /
    • pp.69-74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Sleep disturbances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 are the major symptoms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linical implications of insomnia and EDS in patients with OSA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Materials and Method: We evaluated 131 subjects with suspected OSA who were undergoing polysomnography (PSG) and performing the PSQI and ESS surveys. OSA was diagnosed when the apnea-hypopnea index was five or more. EDS was defined when ESS score was 11 points or higher. Detailed history and questionnaire were used to categorize insomnia. We compared clinical variables and PSG results in subgroups with or without insomnia and ED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SQI and ESS score between controls and OSA. OSA with insomnia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score (p<0.001) and decreased total sleep time (p=0.001) and sleep efficiency (p=0.001) on the PSQI compared to those without insomnia. OSA with ED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SQI score (p=0.022) and decreased total sleep time (p=0.018) on PSG compared to those without EDS. Neither PSQI nor ESS score had a correlation with respiratory variables such as AHI and oxygen saturation. Total sleep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insomnia and EDS in patients with OSA. Conclusion: Decreased total sleep time had important effects on subjective symptoms of OSA and comorbid insomnia. Therefore, restoration of decreased sleep time i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OSA.

폐쇄성 수면 무호흡-저호흡증후군 환자에서 과도한 주간졸음증과 혈압 사이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 김천식;김대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55-261
    • /
    • 2016
  • 수면무호흡-저호흡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과도한 주간졸음증의 표현형과 혈압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환자는 수면 다원검사 결과에 따른 무호흡-저호흡지수가 5미만인 그룹은 코골이 그룹(n=108), 5~15 사이는 경도 무호흡 그룹(n=186), 15~30 사이는 중증도 무호흡 그룹(n=179), 30 이상인 그룹은 중증 무호흡 그룹(n=233)으로 나누었다. 혈압 측정은 검사 시작 전과 후에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3분 간격으로 2회 측정 후 평균값으로 야간 혈압과 아침 혈압을 측정하였다. 주간졸음증군과 비주간졸음증군의 수면 파라미터와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수면 파리미터와 혈압과의 이변량 상관관계에서 평균 동맥혈압과 체질량지수, 무호흡-저호흡지수, 총 각성지수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r=0.099, r=0.142, r=0.135, p<0.01, p<0.01, p<0.01), 최저산소포화도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0.258, p<0.01). 주간졸음증군은 비주간졸음증군에 비해 나이가 어리고($47.2{\pm}11.3$ vs $50.3{\pm}11.4$, p=0.023), 이완기 혈압이 높고(야간 이완기혈압과 아침 이완기혈압, $83.1{\pm}9.7$ vs $81.4{\pm}8.8$, $86.4{\pm}9.2$ vs $83.6{\pm}9.7$)(p=0.031, p=0.047), 수축기혈압도 높았다(야간 수축기혈압, 아침 수축기혈압, $126.7{\pm}11.2$ vs $123.4{\pm}12.4$, $128.9{\pm}12.4$ vs $125.3{\pm}12.9$)(p=0.021, p=0.021). 무호흡-저호흡를 가지고 있으면서 고혈압이 있고, 주간졸음증을 함께 가지고 있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나이가 어리고, 총 각성숫자가 높고, 아침과 야간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이 높았다(p<0.005, p=0.008, p<0.001, p<0.001). 결론적으로 주간졸음증의 표현형은 나이가 어리고, 아침 및 야간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이 높고, 수면 중 산소포화도가 더 떨어졌다.

기면병 환자의 주의집중 저하와 주간졸음증 간의 상관관계 부재 (Decreased Attention in Narcolepsy Patients is not Rel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 김석주;류인균;이유진;이주영;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122-132
    • /
    • 2005
  • 배 경:본 연구에서는 청년기 기면병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청년기 기면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면 증상과의 관계도 관찰하였다. 방 법:17세 이상 35세 이하의 기면병 환자 18명과 정상대조군 18명을 모집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탈력발작이 있고, HLA $DQB_1$ *0602 양성인 경우만을 기면병 대상군으로 하였다. 기면병 대상군과 정상대조군에게 13종의 신경심리검사(Wisconsin 카드분류, Trail making, Stroop, Ruff, 청각순차합산, 바꿔쓰기, 숫자 외우기, 공간 외우기, Rey 기억력, California 언어학습, 통제단어연상, Boston 이름대기, 굽은 막대 검사)를 시행하여 양군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기면병 대상군의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Epworth 졸음증 척도, Ullanlinna 기면병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입면 잠복시간 반복검사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기면병 대상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2.0초 간격과 2.4초 간격의 청각순차합산, 바꿔쓰기, 공간 외우기 정방향 검사에서 수행능력이 저조하였다(t=3.86, p<0.001;t=-2.47, p=0.02;t=-3.95, p<0.001;t=-2.22, p=0.03). 다른 신경심리검사에서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면병 대상군에서 저하된 신경심리검사 결과는 Epworth 졸음증 척도나 Ullanlinna 기면병 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야간수면다원검사나 입면잠복시간 반복검사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군의 주의력이 저하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주의력 저하는 주간 졸음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기면병 환자의 주의력 저하는 주간 졸음증의 개선만으로 호전시킬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한 대학병원에서 철야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수면설문조사 결과 분석 (Analysis of Sleep Questionnaires of Patients who Performed Overnight Polysomnography at the University Hospital)

  • 강지호;이상학;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박용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1호
    • /
    • pp.76-82
    • /
    • 2006
  • 연구배경 : 수면설문조사가 환자의 수면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면다원검사의 시행을 필요로 하는 환자를 선별하는 검사로써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수면장애 클리닉에 의뢰되어 수면다원검사와 수면설문조사를 시행한 환자 를 대상으로, 수면설문조사에 포함되어 있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 병력, 수면-각성주기 동안의 행동, 코골이,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및 주간 졸음증과 관계된 증상 등 각각의 항목과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자수는 1081명으로 남자 849명, 여자 232명이었고 나이는 $44.2{\pm}12.8$세였다. AHI<5인 군은 38 .9%, $5{\leq}AHI<20$는 27.9%, $20{\leq}AHI<40$는 13.2% 그리고$AHI{\geq}40$는 20.0%였다. 검사를 시행하게 된 주된 동기는 코골이(91.7%), 무호흡(74.5%), 주간 졸음증(8.0%), 불면증(4.3%), 이갈이(1.1%), 집중력 장애(0.5%)였다. 수면 중 깨는 횟수는 평균 1.6회 였으며 그 이유는 소변을 보기 위함이 46.3%로 가장 많았다. Epworth Sleepiness Scale과 무호흡-저호흡지수(AHI)는 상관관계가 있었다(r=0.209, p<0.01). 수면설문 조사 항목 중 코골이, 주간 졸음증, 수면 후 각성 상태의 중증도에 따른 각 군간의 평균 AH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수면설문조사에서 나타나는 ESS, 코골이, 주간 졸음증이나 수면 후 각성 상태 등 주관적 임상증상의 중증도는 수면다원검사 결과의 수면 무호흡의 중증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면설문조사는 환자의 수면장애 특히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의 정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