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avated slop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스파이럴 볼트 변형률계를 이용한 연약지반기초 및 암반사면 거동 계측 (Measurement of Soft Ground Foundation and Rock Slope Behavior Using Spiral Bolt Strain Gauge)

  • 강성승;히라타 아츠오;정승회;이우람;제동광;김대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2호
    • /
    • pp.105-11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기초 및 암반사면 거동 계측 도구로서 스파이럴 볼트 변형률계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변형률계가 지중에 설치되었을 때, 지반에 대한 인발 저항성이 높아 지반 보강용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반의 거동 상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연약지반기초에 대한 스파이럴 볼트의 변형률 계측결과, 변형률 측정 초기에는 안정한 상태를 보이다가 40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스파이럴 볼트 변형률계의 윗부분과 중간부분에서 큰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동일한 시기에 강수량 증가와 함께 빈번하게 발생한 진도 1~2의 지진에 의한 영향으로 지반이 이완되어 야기한 것으로 분석된다. 암반사면에 대한 스파이럴 볼트의 변형률 계측결과, 측정시작일로부터 50일 동안에 안정한 상태를 보였으며 50~160일 기간에는 매설길이 4.2 m 지점(P6)의 변형률 게이지에서 가장 큰 변형률을 보였다. 그러나 P6 변형률 게이지를 제외한 나머지 게이지는 특이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스파이럴 볼트 변형률계의 측정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측정대상인 연약지반기초와 암반사면은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스파이럴 볼트 변형률계는 연약지반기초 및 암반사면 거동의 모니터링과 동시에 대상지반의 보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역해석을 통한 소단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체변위의 매개변수 연구 (Parametric Study on Displacement of Earth Retaining Wall by the Bermed Excavation Using Back Analysis)

  • 이명한;김태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23-33
    • /
    • 2015
  • 소단은 굴착 후 지지구조물이 설치되기 전 벽체의 강성과 더불어 가설벽체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굴착지반이 느슨하거나 연약한 경우 소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단을 이용한 도심지 버팀굴착현장의 계측결과와 수치해석을 사용하여 가설벽체의 최대수평변위에 미치는 소단의 규모(폭과 경사) 및 굴착깊이, 지반물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계측결과 소단 폭이 짧아질수록 벽체의 수평변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치해석 결과 소단의 경사가 급해질수록, 소단폭이 짧아질수록 최대수평변위량은 크게 나타나 소단이 벽체의 변위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굴착심도가 깊어질수록 소단폭과 경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소단 조건에서 지반물성이 높을수록 벽체의 최대수평변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화사면에서의 추정파쇄대 평가를 위한 2차원 전기비저항 구조도 적용 기법 (Application Techniques of 2D-Resistivity Structure for Estimation of Inferred Fracture Zone in Weathered Slope)

  • 김재홍;박철숙;이현재;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9권3호
    • /
    • pp.323-330
    • /
    • 2009
  • 전기비저항 탐사는 최근 토목설계 및 환경분야에 있어서 단층 및 파쇄대의 탐지 등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시공실적이 없는 직경 15 m 3열의 터널 굴착공사를 시행하는 도중 터널 유입부 지반이 당초 설계와 달리 기반암선이 낮게 형성되었고, 풍화된 사면에 핵석과 파쇄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 유입부 지반의 분포양상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전기비저항 쌍극자탐사를 시행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암석의 종류, 공극, 온도 및 지질적 순환과정 등을 통하여 외견비저항 값이 많은 변화를 보인다. 역산해석 후 전기비저항치에 의한 지반특성을 파악하였고 유한차분법을 활용한 2차원 전기비저항 구조도를 적용하여 파쇄대를 추정하였다.

동토 파이프라인 매설공사 시 장비하중에 의한 트렌치 안전성 분석 (Analysis of Trench Slope Stability in Permafrost Regions According to the Equipment Load)

  • 김종욱;김정주;이재혁;;유한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25
    • /
    • 2017
  • 최근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지구 온난화 현상에 대한 우려로 대체에너지 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알래스카와 시베리아 같은 극한지에 매장된 천연가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은 국내 건설환경과 상이한 극한지에서의 가스배관 공사의 시공 경험과 매뉴얼이 부족하다. 특히 시공 중 트렌치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트렌치 사면의 붕괴로 인한 인부들의 낙상, 건설 장비들의 파손, 공기 증가 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극한지의 트렌치 안정성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야쿠츠크(Yakutsk) 지역을 동토지역의 계절별 지반조건의 기준으로 정하였으며, 직경 30 in.와 40 in.의 파이프라인 내리기 시공과정을 가정하였다. 지반조건은 여름과 겨울, Silt와 Peat, 사면의 각도($0^{\circ}$, $10^{\circ}$, $20^{\circ}$)별로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였다. 파이프라인 시공 사례 분석을 통해 Pipelayer의 장비하중이 트렌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고, 이에 Pipelayer 장비가 트렌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Pipelayer 장비 종류별, 트렌치와 Pipelayer 장비 사이의 거리별, Pipelayer의 종방향 간격별로 Case를 나누어 수치해석을 시행하였다. 수행결과 사면경사가 클수록, 장비와 트렌치 사이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사면의 안전율이 감소하였다. 특히 경사가 $20^{\circ}$일 때는 사면의 예상 파괴면이 Pipelayer 장비에서 트렌치까지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면경사가 $20^{\circ}$이하인 겨울철 지반에서는 트렌치 안정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 Toposequence of Soils in the Karst of West-Central Florida, U.S.A

  • Banker, Laura;Reeder, Philip;Brinkmann, Robert
    • 동굴
    • /
    • 제42권2호
    • /
    • pp.41-63
    • /
    • 1995
  • An abundance of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soil horiz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Several methods can be used to gather and analyze this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qualitative analysis in the field, and laboratory and statistical analysis, a soil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with a great deal of scrutiny. Four soil pits were excavated in Citrus County Florida an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master horizon. Through the us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se sampl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unique, as well as homogeneous featur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soil profile designated Old Pit was different than other profiles because of landscape position and variations in parent material. Landscape position (ie. slope position) also influenced the genesis and evolution of the soils in the other three profiles(Profile 1, 2 and 3).

  • PDF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주거지(住居址)에 관한 연구(硏究) -석탄리유적(石灘里遺蹟)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 focused on the Relic of Seoktan-Ri -)

  • 신상효;천득염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1호
    • /
    • pp.29-42
    • /
    • 1995
  • This study aims at examinating the change of architectural technique in the residential district of Seoktanri(石灘里), and then extracting the restorable types from it. The constructive technique was advanced in the composition of walls and the use of footing. The arrangement of columns was developed to standing them in a row and three rows in the center of interior space. In the light of excavated relics and the position of furnace, the interior space is seperated into cooking-heating, working and storing space. By the difference of height and the slope, the floor is divided into two parts which are low and high.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column-holes, the types of roofs to be restored are as follows; the gable roof without column-hole, the hipped roof with center-column-holes(中央柱孔) in a row and the gable roof with center-column-holes in three rows.

  • PDF

충남 아산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 분석 -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을 사례로 - (Analysis of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of High-Density Residential Zone in Bronze Age around Asan City, Central Korea - A Case Study of Yongdoocheon and Onyangcheon Basin -)

  • 박지훈;박종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0-125
    • /
    • 2011
  • 충남 아산과 온양 근교의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 그리고 천안 백석동에서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가 다수 발견되었다. 백석동에는 약 $1.3km^2$에 207기의 주거지가 집중해 있고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에는 $49.2km^2$에 177기의 주거지가 산발적으로 분포해 있다. 이 지역들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는 대부분 구릉지에 입지해 있으며, 구릉지의 지형환경은 일부 지질적 차이를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용두천과 온양천 유역의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환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백석동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이 지역들의 주거지 밀집구역은 정부평탄면과 정부사면, 상부곡벽사면의 사면 미지형과 남동 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면경사는 완경사지가 많이 나타나지만 사면 미지형과 사면방향에 비해 특정 경사면에 편중되는 경향이 적어 주거지 밀집 구역의 특징적인 지형환경으로 규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형환경 특징은 일부 사례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충청남도 일대의 구릉지에 입지했던 청동기 시대 주거지들의 밀집에 주요한 요인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폐기물매립지 완층수림대 식재계획 사례연구 -수도권매립지 경계지역을 대상으로- (A Planting Plan of Buffer-Forest Belts on the Waste Landfill Sites -In the Case of the Boundary Area at the SUDOKWON Landfill Site-)

  • 조주형;최미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58-66
    • /
    • 2002
  • We present a planting plan of the buffer-forest belts created at the boundary area of the waste landfill site which is located in the coastal area of Kyubg-Gi province. In order to form a proper section of ground soil excavated from the sea and a forest which shows a distinction of the vegetation stratification, the planting plan with trees, sub-trees, shrubs, and seedlings (produced at a sprout cultivation place) is devised with an adjustment of planting density. 1. The preparation of mounding is required for planting at a waste landfill site. We first estimate an economical and efficient banking height together with the quantity of soil, and prepare a planting ground with excavated ground soil for the consideration of soil recycling. On the planting ground a banking with a height of 1.5-2m is produced by self-supported soil, playing a role in a salt blocking and an irritation layer of planting. Finally, an additional banking with a height of 2m is produced by qualified vegetation soil, forming a vegetation section with a total height of 6m. 2. Since the planning site is located in the border, the planting area is composed of two regions : one is an inclined face (slope 1 : 3) toward the inside of the landfill site and the other is an inclined face (slope 1 : 4) toward the inland. The buffer planting in the former (latter) region consists of wind break forest (mixed-landscape forest) within a width of less than 35m. 3.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literatures and the investigation of local plants, we choose the 21 plant species (such as Pin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 Sorbus alnifolia, Albizzia julibrissin and etc.) and the additinal 7 species which are grown at a sprout cultivation palce of the SUDOKWON landfill site (Rosa rugosa, Quercus acutissima, Prunus armeniaca var. ansu., and etc.). Sub-trees with a height of above 2.5m and seedlings are planted with an interval of $1.5{\times}1.5m$ ($0.45roots/m^2$) and $0.5{\times}0.5m$ ($4roots/m^2$), respectively. Here, both trees exhibit communities planting with more than three rows. Shrubs are planted with $9-16roots/m^2$, depending on their size. Since this case study provides a reference of the planting beds as well as a planting plan at the SUDOKWON landfill site, it is not sufficient for the present plan to be utilized for the formation of buffer-forest belts which are used for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sea waste landfill site. Thus, further studies with the ecological basis are demanded for the environment planting restoration in the sea waste landfill site.

AHP를 이용한 산지습지 가능지역 평가 (An Assessment of the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Using AHP)

  • 문상균;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by GIS an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untainous wetland is topographically located at high altitude, so it's difficult to approach for researchers. And, it's difficult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because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of mountainous wetland. Therefore, it's necessary to study on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investigation. This research selected slope, wetting index, land-cover map and soil map as assessment items indicat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wetland and established them by GIS DB. And, spatial value of mountainous wetland for each assessment item was drawn by existing investigation data and overlap analysis of mountainous wetland. Based on the numerical results of each assessment item, a survey was conducted and relative importance for each assessment item was decided by AHP. As the result, slope was the highest as 0.550 and ground coverage was the lowest as 0.083.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Yangsan-si and Ulsan of Gyeongnam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for mountainous wetland in those research areas. As the result, all of wetland wa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potential area. And, field survey and literature 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point that the distribution of mountainous wetland is expected. As the result, mountainous wetland was distributed. Therefore, mountainous wetland should be excava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it should be helpful for effective investigation as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to the following studies on mountainous wetland.

Variation of Paleotopography around the Ssangsujeong Pavilion Area in Gongsanseong Fortress using GIS and 3D Geospatial Information

  • Lee, Chan Hee;Park, Jun Hyoung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7-359
    • /
    • 2022
  • Gongsanseong Fortress was registered of a World Heritage Site in 2015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from the Woongjin Baekje period, and it has been us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from Baekje Kingdom to the Joseon Dynasty. Within Gongsanseong Fortress, the area around Ssangsujeong is presumed the site of royal palace of the Woongjin Baekje. Also, the excavated culture layers of the Baekje Kingdom,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Joseon Dynasty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paleotopography was modeled by digitally converting the elevation data obtained through surveying the excavation process, and the use of the topography in the Ssangsujeong area was considered by examining the variations in the topography according to the periods. As a result, the topography of the slope around the peak changed by periods, and the topography did not change on the flat land. The topography between the Baekje Kingdom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appeared to be almost identical, and it seems that the space of the Baekje period was maintained as it is. Also,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is confirmed that flat surfaces in the previous period were used. However, sediments on the slopes flowed down, reducing the area of the flatland, and architectural techniques that could utilize the natural topography of the changed slope were applied to interpret it as having a different topography from the previous period. In order to model and interpret the paleotopography, excavation data, geological and topographic analysis, and digital data must be secured. It is expected that location conditions and ancient human life can be identified if the analysis technique in the study is applied to other archaeological sit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