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olution

검색결과 9,490건 처리시간 0.03초

CIRCULAR SPECTRUM AND ASYMPTOTIC PERIODIC SOLUTIONS TO A CLASS OF NON-DENSELY DEFINED EVOLUTION EQUATIONS

  • Le Anh Minh;Nguyen Ngoc Vien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1153-1162
    • /
    • 2023
  • In this paper, for the bounded solution of the non-densely defined non-autonomous evolution equation, we present the condition for asymptotic periodicity by using the circular spectral theory of functions on the half line and the extrapolation theory of non-densely defined evolution equation.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서의 진화내용분석 (Analysis of Evolutionary Content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 김학현;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70-483
    • /
    • 2003
  • 1차에서 6차에 이르기까지 13종의 교과서의 진화내용을 분석하였다. 9가지 성분으로 구분된 교과서의 내용분석은 80가지 진화내용 항목에 대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교과서에서 진화내용의 총량은 증가하였으나 총 진화내용 중 본논문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1차에서 6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로 가며 점차 감소하였고 진화내용의 비중은 생물교육과정과 교과서 저자의 시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대체로 분석된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진화주제는 다양성면에서 부족하였다. 어떤 주제 항목은- '집단선택', '유전자 선택', '화석 기록에서의 공백', '공진화', 단속 평형설', '혼합진화', '인류진화에 있어서의 노동의 위치', 인종의 차이', ''개체발생의 계통발생을 반복한다'에 대한 비판',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활동'-다루어지지 않았고 또 어떤 항목은-'중립설', '지질시대에서 발견되는 주요사건에 관한 설(멸종에 관한 내용 제외)', '동소적 종분화', '연속변이적 종분화 및 지역효과 종분화', '배수성과 진화', '점진주의', '연장류의 기원과 진화'-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가장 강조된 주제 항목은 '일반적인 계통학', '세포전 단계의 형성', '기타' 순으로 많이 강조되었다. 자연선택설은 진화의 중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여러진화설중의 하나로 다루어졌다. 또한 유전적 평형을 붕괴시키는 요인으로서 유전적 부동이나 이주 등도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고 종분화의 속도와 관련된 주제도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반면 신뢰성이 의심되는 발생반복설이 진화 증거의 하나로 교과서에서 제시되었다. 이 결과에 근거해 교과서 저자들이 진화와 진화설을 설명할 때 자연 선택설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의미 있는 주제를 소개할 것을 제안한다.

Affordable method of video recording for ecologists and citizen-science participants

  • Yang, Eunjeong;Lee, Keesan;Ha, Jung-moon;Kim, Woojoo;Song, Ho-Kyung;Hwang, Injae;Lee, Sang-im;Jablonski, Piotr 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2호
    • /
    • pp.85-89
    • /
    • 2018
  • Observations and video document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animals living in dens, cavities, and other enclosed spaces are difficult, but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field biology, ecology, and conservation. For example, bird parents visiting nests and feeding their nestlings may provide crucial information for testing of ecological hypotheses and may easily attract attention of participants of citizen-science ecological and conservation projects. Because of the nest concealment of cavity-nesting birds, their behaviors in the nest can only be studied by using video surveillance. Professional wildlife surveillance systems are extremely expensive. Here, we describe an inexpensive video setup that can be constructed with relatively little effort and is more affordable than any previously described system. We anticipate that the relatively low cost of about 250 USD for a battery-operated system is an important feature for citizen-science type of projects and for applications in heavily populated areas where the potential for theft and vandalism may be high. Based on our experiences, we provide methodological advice on practical aspects of using this system in the field for ecological research on birds. We highlight the low cost, easiness of construction, and potential availability to a large number of observers taking part in wildlife monitoring projects, and we offer technical help to participants of such research projects.

셀 수준의 진화 프레임워크를 통한 인공개체의 행동로직 진화 (Evolution of Behavioral Logic of Artificial Individuals Using Cell-level Evolution Framework)

  • 정보선;정성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2-2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셀 수준의 진화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인공개체의 행동로직을 진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셀 수준의 진화 프레임을 구현하였으며 이 프레임 상에서 인공개체가 먹이를 먹기 위해 행동로직을 진화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인공개체의 행동로직 진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행동결정 로직 프레임을 제안하여 적용하였다. 테스트결과 인공개체가 빠른 세대 내에 먹이를 잘 먹는 로직으로 진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하여 대부분의 실험에서 거의 동일한 행동양식을 보이는 것으로 진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알고리즘이나 하드웨어의 진화와는 다른 방법으로서 기본적으로 접근 방법에 차이점이 있다. 이런 결과로 보았을 때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가 셀 수준의 진화를 관찰해볼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Evidence for the Luminosity Evolution of Type Ia Supernovae from the Ages of Early-type Host Galaxies

  • Lee, Young-Wook;Kang, Yijung;Kim, Young-Lo;Lim, Dongwook;Chung, Chul
    • 천문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56.1-56.1
    • /
    • 2013
  • Supernovae type Ia (SNe Ia) cosmology is providing the only direct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dark energy. This resul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look-back time evolution of SNe Ia luminosity, after light-curve shape correction, would be negligible. However, the most recent compilation of SNe Ia data shows systematic difference in the Hubble residual (HR) between the E and Sd/Irr galaxies, indicating that the light-curve fitters used by the SNe Ia community cannot quite correct for a large portion of the population age effect.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possibility more directly, we have obtained low-resolution spectra for 30 nearby early-type host galaxies. This data set is used to estimate the luminosity-weighted mean ages and metallicities of host galaxies by employing the population synthesis models. We found an interesting trend between the host galaxy age and HR, in the sense that younger galaxies have positive residuals (i.e., light-curve corrected SNe Ia luminosity is fainter). This result is rather independent of the choice of the population synthesis models employed. Taken at face value, this age (evolution) effect can mimic a large fraction of the HR used in the discovery of the dark energy. This result is significant at 1.4 - 3 sigma levels, depending on the light curve fitters adopted, and further observations and analyses are certainly required to confirm the trend reported here.

  • PDF

예비과학교사들의 진화와 유전에 대한 중요성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Significance and Usefulness of Evolution and Genetics)

  • 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3호
    • /
    • pp.189-202
    • /
    • 2016
  • 이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들이 진화학과 유전학에 대한 학문적, 실용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하여 82명의 예비생물교사와 159명의 비생물전공 예비과학교사가 참여하였다. 5단계 리커트 척도로 된 진화와 유전에 대한 학문적 가치에 대한 4개 문항과 실용적 가치에 관한 5개 문항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내적일관성신뢰도, 이차원평정척도 라쉬모델 분석, 요인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먼저 이 연구에 사용한 문항에 대한 라쉬모델 분석과 다양한 분석에서 문항의 타당도는 기준에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로 진화에 대한 학문적, 실용적 인식에 대한 차원은 유전학과 차별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예비생물교사가 가지는 인식의 수준은 비생물전공 예비과학교사와 차별성이 없었다. 예비생물 교사들은 진화와 유전학에 대한 학문적, 실용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함을 확인하였고, 이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이 해당 구인을 조사하는데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커머스, 스마트 커머스의 단계별 진화에 따른 비교 연구 - 나선형 진화 모형의 확장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olution Stage of E-Commerce & Smart Commerce Service Focused on the Extended Spiral Evolution Model)

  • 이상옥;이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281-1291
    • /
    • 2017
  • 본 연구는 e-커머스의 진화 과정을 정리하면서 초기의 사업모델부터 최근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커머스인 스마트 커머스의 출현까지 지난 20여 년 동안 국내 전자상거래 산업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지를 단계별로 고찰하였다. 연구자들은 단계별 진화 과정을 나선형 진화 이론을 적용,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 플랫폼의 진화, 고객 서비스 가치의 진화, 분석과 평가 등 네 가지 진화 요인을 중심으로 설명하였고, 또 단계별 진화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경험의 축을 중심으로 사업자의 관점과 사용자의 관점에서 탐색과 활용 이론을 적용, 혁신적인 기술과 고객의 피드백을 분석,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들은 산업의 진화 연구를 통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가 e-커머스 산업과 정책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공헌 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