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rydaynes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현대건축에 나타난 일상성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일본 현대건축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verydaynes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al Works -)

  • 김정숙;최왕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39-4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values and meanings of everydayness as a design concept by organizing concepts of 'everydayness' show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systematically describ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analysis methods. 'Eerydayness' show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defined and the criteria of case study are suggested, so that characteristics of everyday can be identified by systematically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Japanese cases in order to find the values and meanings of everyday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erials that show users' everydayness has indefinite potential as an element of architecture concept, and they play the role of communication and sympathy between architecture and users; second, implementation of everydayness leads to design emergence; third, everydayness can be widely applied to architecture; fourth, everydayness can be implemented regardless of architecture uses. In conclusion, the value of everydaynes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that it draws user-based diverse and fresh architectural expressions that lead to opulent designs. To users, everydayness improves satisfaction of life gained from architecture and provides rich life environment because it changed common human life to a form of art.

실내디자인에서 Object의 비일상성 연구 - Nigel Coates의 초기 상업공간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on-everydayness of Interior Object - Focused on Nigel Coates' Early Commercial Interior Design -)

  • 서정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5-194
    • /
    • 2012
  • Contemporary society maintains mass-product system that keeps endless cycle of making and consuming. In this vein, everyday life becomes to be under the control of function and efficiency. On the contrary, the people are getting to have a desire of escaping from this everydayness, that is, the desire for non-everydayness. British architect, Nigel Coates understood the potentiality of contemporary metropolis which produce new experiences through their heterogeneities. During 1980s, Japanese economic bubble provided rich nourishment to the desire for non-everydayness based on consumers' tastes. Nigel Coates snatched this phenomena and designed commercial spaces aligned to the non-everydayness. He shows very eloquent version of escaping sense. We can find the exquisite quality of non-everydayness through design vocabulary of object's form and arrangement. In the viewpoint of object form, Coates adopted classical statues of Greek, that is antique, and modern gadgets such as airplane wings and seats. Also, we can find abundant gestures of curvilineal contours throughout the objects he designed. As for the objects' arrangement, he introduced repetition and curved composition that can stimulate human interaction with interior scape.

  • PDF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on-centered Climate Questionnaire-staff version in Korean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 Hae, Sagong;Kim, Da Eun;Bae, Soyoung;Lee, Ga Eon;Edvardsson, David;Yoon, Ju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0
    • /
    • 2018
  • Purpose: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son-centered Climate Questionnaire-staff version (KPCQ-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Methods: A total of 297 staff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including nine nursing homes (NHs) and 4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were included. The KPCQ-S was developed following the WHO guidelines of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An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alpha}$ was tested for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us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using Pearson correlation. Results: EFA demonstrat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14-item KPCQ-S with three-factor solutions, specifically three factors (safety, everydayness, and community) in NHs and four factors (safety, everydayness, community, and comprehensibility) in LTCHs. Convergent validity was found in the correlation with the work satisfaction (r=.55). The KPCQ-S showed satisfactor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alpha}=.91$). Conclusion: The KPCQ-S is found to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staff perceptions of the person centeredness of long-term care environments.

버내큘러 디자인 관점에서 본 신한복 스타일 (A Study on the New-Hanbok Style from the Perspective of Vernacular Design)

  • 이정호
    • 복식
    • /
    • 제66권7호
    • /
    • pp.69-8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identity of the New-Hanbok style in modern fashion, and to survey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values from the perspective of vernacular design. Argumen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study historically examines the changes in Hanbok and concludes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factors that caused the advent of the New Hanbok are (1) the change and expansion of the basic social, cultural, and popular perception toward the Korean image, (2) the rapid spread of a subculture centering on the younger generation, and (3) the voluntary and systematic activities of nonprofit clubs, communit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is is the cycle of the spread of Hanbok, which shows the subcultural sele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upward propagation. Furthermore, the public, in addition to holding fast to an independent attitude regarding their choices, also show that they tolerate diversity. As a perspective of analyzing the New Hanbok style, the study sugge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nacular design perspective as (1) a spontaneous indigenous nature (2) living everydayness (3) and the subcultural-ness of the era. From such a perspective, the study examin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costume configuration of the New Hanbok style including jeogori, traditional Korean skirts, Cheollik one-pieces, and Trompe l'oeil one-pieces, and draws out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New Hanbok style, which are (1) spontaneous indigenous nature and directivity toward tradition, (2) living everydayness and modernity, and (3) open subcultural-ness.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환상의 빛>에 구성된 일상과 사회적 기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eryday Life and Social Memory Constructed in (Hirokazu Koreeda, 1995))

  • 강승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322-331
    • /
    • 2021
  • 이 글은 일상과 일상성, 일상생활의 사회학, 기억과 기억의 사회적 구성, 사회적 기억 등에 대한 이론적·방법론적 논의를 토대로 일상과 기억의 논제를 탐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일상에서 전개되는 가족 간 만남과 헤어짐, 삶과 죽음의 문제들에 천착하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데뷔작 <환상의 빛>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체 61개의 신으로 내러티브가 구조화된 <환상의 빛>은 유미코의 일상이 이쿠오의 죽음으로 인해 한순간에 균열되면서 유미코의 기억이 파편화되지만 이후 그녀의 사회적 기억이 삶을 향한 의지나 희망의 '빛'을 통해 새로운 일상을 다시 구성할 수 있게 했음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이 영화에서 햇빛과 달빛, 가로등과 전등 등의 '빛'을 통해 인간의 만남과 헤어짐, 삶과 죽음이 일상 자체이거나 일상의 일부분이라는 점을 확증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가구디자인에 있어 자연과 기술의 기호적 내포에 관한 연구 - 베르너 판톤과 죠 콜롬보의 19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notative Signs of Nature and Technology in Furniture Design - Focused on Verner Panton's and Joe Colombo's 1960's Furniture -)

  • 서정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1-130
    • /
    • 2013
  • Nature and technology are very popular themes in the everydayness of modern world. In our industrial age which is based on technology nature becomes an lost origin and basic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echnology is conceived as future hope and realistic environment. Through 1960s they had been transformed as signs and connoted into furniture design. As signs, they structured environment, organized space, and bred their own aesthetics. In this context, Danish designer Verner Panton presented nature as experiential landscape and Italian designer Joe Colombo expressed technology as amusing machine. What they showed were not real but sign of nature and machine. Nonetheless they were successful to create aesthetic atmosphere and meaningful projects. Also they showed the potentiality that furniture design might include discoursive issues and values. They also extended functional interesting between furniture and body to cultural domain of social viewpoint in behavioral pattern.

  • PDF

탑골공원의 장소 정체성에 대한 연구 - 성역화사업 이후 현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ce Identity of Tapgol Park - Focused on the Phenomena after Sacralization Project -)

  • 한성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5-36
    • /
    • 2016
  • 탑골공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원, 3.1 만세운동의 발상지, 대표적인 노인들의 여가공간이라는 다양한 층위의 상징성과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2001년 시행된 탑골공원 성역화 사업은 그 중, 일제 강점기 독립만세운동의 발상지로서의 상징성을 채택하였고, 기존에 탑골공원 내에서 이루어졌던 음주가무, 연설, 바둑 장기, 붓글씨와 같은 취미활동 등 대부분의 행위와 이용시간을 제한하였다. 또한, 자판기 등의 편의시설을 없애고, 여유 공간을 녹지로 조성하여 축소시켰으며, 나무벤치를 화강석으로 바꾸는 등 전체적으로 공원의 설계를 변경하였다. 본 연구는 성역화 사업이후 나타나고 있는 탑골공원의 현상에 주목하고, 현재 혼란을 겪고 있는 탑골공원의 정체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성역화 사업 이후의 대표적 현상으로 노인 이용자들이 탑골공원보다 비교적 자유로운 여가활동이 가능한 종묘공원으로 대거 이동하였고, 하루 평균 2,000명을 초과하던 탑골공원의 이용자수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과 함께 관찰조사 및 심층 인터뷰 조사결과, 첫 번째 탑골공원의 정체성으로서 대부분 경제적 하위계층의 노인들이 공원에서 만나는 비슷한 형편의 또래들과 어울리며 위안을 얻으며, 행위규제로 인한 소극적 행태의 여가공간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부 공공공간, 즉, 공간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배제의 공간이라는 점과, 기존 노인 이용자들의 이동이라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로, 성역화 사업이 시행된 지 1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독립운동의 발생지로서 다양한 계층의 활발한 이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성역화 사업이 우리나라 최초의 공원이라는 상징성과 '공원'으로서의 기능이 간과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탑골공원은 현재 기념공간으로서도, 일상성이 강조된 공원으로서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않는 모호한 정체성의 공간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성역화 사업에서 의도하고 있는 기념성은 반드시 성스러워야 할 필요는 없으며, 좀 더 다양한 이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융통성 있는 기념공원으로서의 정체성확립을 제안하였다.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 심주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간과되었던 우리의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Urban Gardening)를 재발견하는 과정으로, 자생적 도심주거지 해방촌에서 나타나는 도시정원가꾸기의 이해와 장소적 특성 고찰을 통해 현대적 의미의 도시정원이 단독주택지 주민들의 삶과 연계하여 물리적 환경 개선과 지역 주민들간 관계 형성을 견고하게 하는 매개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지인 해방촌(解放村)은 자생적으로 형성된 단독주택지지역으로, 1940년대 후반 도시빈민의 임시 정착지로 형성되었으나 '60년대 주거지 양성화와 '70년대~'90년대 자력 재개발사업에 의한 현지 개량을 거치면서 서울 도심의 대표적인 서민 주거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이 지역은 용산 미군부대와 남산으로 둘러싸여 섬처럼 존재하는 지리적 여건을 지니며 주거지 개발의 붐에서 비켜 있었으므로 다른 도심주거지에 비해 물리적 환경변화가 적고 주민들 역시 오랜 시간동안 지역에서 거주해온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해방촌을 크게 3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도시 조직과 주거형태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도시정원가꾸기의 특징과 일상문화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서울민의 대중적 삶이 적층되어 있는 해방촌의 도시정원가꾸기는 근 현대 주거사의 변천과 생활상 변화에 따라 다양한 공간과 속성으로 변용, 진화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들 장소는 고밀화 된 주거지에서 발현된 자연-정원에 대한 주민들에 욕망의 표현이며, 가꾸기를 통해 드러나는 참여의 장, 실천적 행위의 장소이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양식이 누적된 독특한 일상생활문화로서 지역 고유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주거와 마당-정원의 원형적 관계가 남아있는 단독주택지에서 도시정원은 반사적 공간의 공공적 공유가 발생하는 특성이 나타나며, 중층적 공간 구조 사이에서 창조적인 공간 사용을 발견한다. 협소한 대지의 효율적 공간 활용으로 나타나는 도시정원은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촉발하는 역할로서 마이크로 규모의 녹지 공간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진 정원의 도시 이미지를 형성한다. 도시정원에 대한 관심은 도시에서의 먹거리 생산이라는 역할을 넘어 건강과 취미, 교육, 공동체 회복 등 도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과 닿아 있다.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는 사소한 다수가 발휘하는 고유한 역량과 독특한 특성에 대한 재발견으로 일상생활문화로서의 공간 활용과 장소에 내재된 가능성,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한다.

'맥락성' 관점에서 본 수학교과서의 문제 분석 (An Analysis on Mathematics Textbook Problems Focusing on 'Contextualization')

  • 김민경;박은정;허지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25
    • /
    • 2012
  • 본 연구는 Freudental의 수학관에 근거한 RME가 표방하는 현실 속 풍부한 맥락적 상황들로 이루어진 관점으로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 및 미국(3종) 교과서에서 제시된 문제의 맥락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맥락성의 요소를 일상성, 다양성, 수학적 잠재성으로 도출하여 맥락문제를 분류하여 분류된 문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과서는 미국 교과서에 비해, 맥락문제가 차지하는 비율 뿐 아니라, 과정별 맥락성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요소별 성향을 잘 나타내고 있는 문항을 분석, 기술함으로써 추후 교과서 개발 뿐 아니라, 문항 개발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창업소비자의 관점에서 본 창업 성공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A Grounded theory Analysys of the Successful Process : Consumer perspective of Entrepreneurial)

  • 백재화;서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19-635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how entrepreneurs would succeed in business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of entrepreneurial. In particularly, this study understood what has made the entrepreneurs do their own business, learning contextual and mediating condi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a total of 11 entrepreneurs and based on data from the interviews, carried out a grounded theor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uccessful entrepreneurship process paradigm model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of entrepreneurial was observed with some central phenomenon, 'change of course', via casual circumstances as 'self-realization' and 'material value realization.' For the contextual conditions, there found 'anxiety for survival', 'organic motive', 'confidence in a market' and 'relational role element' as well. The interaction strategies consisted of 'internal capability improvement',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y directivity growth' and 'marketability judgement ability.' The mediating conditions were observed to be 'strategic cognition improvement' and 'growing of desire to succeed'. The analysis results reported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aspects as 'increase of stable dailiness' and 'productivity enlargement'. In terms of the core category, it was 'securing of stable dailiness and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as well by developing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of an individual for the life value realization.' Those results confirmed that once pleasure and satisfaction in daily life increase, the confidence of the entrepreneurs improves too, which would encourage them to continue the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