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nt Identification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4초

건설사업 위험분류체계의 재정립을 통한 위험인지 체크리스트 개발 (A Development of the Risk Identification Checklist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Risk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Project)

  • 주해금;김선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09-117
    • /
    • 2003
  • 건설사업은 그 규모와 복잡성으로 인하여 다른 산업에 비해 위험에 대한 노출수위가 크고, 그 형태도 다양하다. 따라서, 건설사업에서 위험을 인지하고 대응하는 일련의 위험관리 과정은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위험관리 과정에서 위험인지 단계는 다양한 위험요인의 인지와 그 위험의 성격을 규정하는 단계이고. 이러한 위험인지 단계에서 위험분류체계는 사업에 내재된 다양한 위험을 인지하게 해주는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위험분류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재정립함으로서, 실질적인 건설사업에서 위험인지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사업단계별, 계약주체별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건설기획단계에서의 위험요인 도출 (An Extraction of the Risk Events in the Construction Planning Phase)

  • 권순오;김선규;이낙운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99-106
    • /
    • 2005
  • The planning phase of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or failure of the enterprise decision the 1st dangerous duration which occurs very there is a possibility of making with the phase which is important, of construction project in life cycle most many risk. But the risk management from planning phase well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is the actual condition from existing construction project. Consequently, it classifies the risk event from project initial planning phase of construction project from this study which probably is substantial risk event the possibility of accomplishing from a planning phase successfully in order to be.

  • PDF

사건의 흐름 분석을 위한 동화의 재구성 (Reproducing Fairy Tales for Plot Identification)

  • 안승주;박종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1년도 제2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8
    • /
    • 2011
  • 텍스트의 스토리를 자동으로 이해하기 위해 텍스트에서 기술된 사건(event)을 파악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스토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는 스토리의 깊은 의미론적 이해를 요구하는 것 이외에도 텍스트마다 상황과 일어나는 사건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언어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의 처리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건들을 추상화 하여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스토리 이해의 자연스러움을 저해하지 않고 해결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건들의 추상화 과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텍스트 속 등장인물이 행하거나 당하는 사건들을 추출하여 PMI기법을 통해 사건의 흐름을 파악하고 언어학적 단서를 참조하여 스토리 이해 과정에 누락될 수 있는 사건들을 추가하여 보완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등장인물이 행할 수 있는 사건들을 재구성하여 단순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차량 번호판 목격자의 기억 평가를 위한 사건 관련 전위 연구 (Estimation of Eyewitness Identification Accuracy by Event-Related Potentials)

  • 함근수;표주연;장태익;유성호
    • 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
    • /
    • 제39권4호
    • /
    • pp.115-119
    • /
    • 2015
  • We investigated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to estimate the accuracy of eyewitness memories. Participants watched videos of vehicles being driven dangerously, from an anti-impaired driving initiative. The four-letter license plates of the vehicles were the target stimuli. Random numbers were presented while participants attempted to identify the license plate letters, and electroencephalograms were record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y 300-500 milliseconds after stimulus onset, between target stimuli and random numbers. This finding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n eyewitness recognition model where different ERP components may reflect more explicit memory that is dissociable from recollection.

시스템 결함원인분석을 위한 데이터 로그 전처리 기법 연구 (A Study on Data Pre-filtering Methods for Fault Diagnosis)

  • 이양지;김덕영;황민순;정영수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97-110
    • /
    • 2012
  • High performance sensors and modern data logging technology with real-time telemetry facilitate system fault diagnosis in a very precise manner. Fault detectio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in fault diagnosis systems are typical steps to analyze the root cause of failures. This systematic failure analysis provides not only useful clues to rectify the abnormal behaviors of a system, but also key information to redesign the current system for retrofit. The main barriers to effective failure analysis are: (i) the gathered data (event) logs are too large in general, and further (ii) they usually contain noise and redundant data that make precise analysis difficult. This paper therefore applies suitable pre-processing techniques to data reduction and feature extraction, and then converts the reduced data log into a new format of event sequence information. Finally the event sequence information is decod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event patterns and various system faults.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ed pre-filtering procedure is examined with a terminal box data log of a marine diesel engine.

해지드/보우타이 기법의 한계와 개선에 대하여 (A Review of HAZID/Bowtie Methodology and its Improvement)

  • 김성훈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9권3호
    • /
    • pp.164-172
    • /
    • 2022
  • A HAZID is a brainstorming workshop to identify hazards in an early phase of a project. It should be flexible to capture all probable accidents allowing experienced participants to exploit their expertise and experiences. A bowtie analysis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major accident hazards elaborating safety measures i.e. barriers. The result of these workshops should be documented in an organized manner to share as good as possible details of the discussion through the lifetime of the project. Currently results are documented using a three-step representation of an accident; causes, top event and consequences, which cannot capture correctly sequence of events leading to various accidents and roles of barrier between two events. Another problem is that barriers would be shown repeatedly leading to a misunderstanding that there are an enough number of safety measures. A new bowtie analysis method is proposed to describe an accident in multiple steps showing relations among causes or consequences. With causes and consequences shown in a format of a tree, the frequencies of having the top event (Fault tree analysis) and various consequences (Event tree analysis) are evaluated automatically based on the frequency of initiating causes and the probabilities of failure of barriers. It will provide a good description of the accident scenario and help the risk to be assessed transparently.

Phenomena Identification and Ranking Table for the APR-1400 Main Steam Line Break

  • Song, J.H.;Chung, B.D.;Jeong, J.J.;Baek, W.P.;Lee, S.Y.;Choi, C.J.;Lee, C.S.;Lee, S.J.;Um, K.S.;Kim, H.G.;Bang, Y.S.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5호
    • /
    • pp.388-402
    • /
    • 2004
  • A phenomena identification and ranking table(PIRT) was developed for a main steam line break (MSLB) event for the Advanced Power Reactor-1400 (APR-1400). The selectee event was a double-ended steam line break at full power, with the reactor coolant pump running. The developmental panel selected the fuel performance as the primary safety criterion during the ranking process. The plant design data, the results of the APR-1400 safety analysis, and the results of an additional best-estimate analysis by the MARS computer code were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IRT. The period of the transient was composed of three phases: pre-trip, rapid cool-down, and safety injection. Ba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to the primary evaluation criterion, the ranking of each system, component, and phenomenon/process was performed for each time phase. Finally, the knowledge-level for each important process for certain components was ranked in terms of existing knowledge. The PIRT can be used as a guide for planning cost-effective experimental programs and for code development efforts, especially for the quantification of those processes and/or phenomena that are highly important, but not well understood.

A hybrid-separate strategy for force identification of the nonlinear structure under impact excitation

  • Jinsong Yang;Jie Liu;Jingsong Xie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5권1호
    • /
    • pp.119-133
    • /
    • 2023
  • Impact event is the key factor influencing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mechanical equipment. Additionally, nonlinear factors existing in the complex mechanical equipment which are currently attracting more and more atten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ovel hybrid-separate identification strategy to solve the force identification problem of the nonlinear structure under impact excitation. The 'hybrid' means that the identification strategy contains both l1-norm (sparse) and l2-norm regularization methods. The 'separate' means that the nonlinear response part only generated by nonlinear force needs to be separated from measured response. First, the state-of-the-art two-step iterative shrinkage/thresholding (TwIST) algorithm and sparse representation with the cubic B-spline function are developed to solve established normalized sparse regularization model to identify the accurate impact force and accurate peak value of the nonlinear force. Then, the identified impact force is substituted into the nonlinear response separation equation to obtain the nonlinear response part. Finally, a reduced transfer equation is established and solved by the classical Tikhonove regularization method to obtain the wave profile (variation trend) of the nonlinear force. Numerical and experimental identific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ovel hybrid-separate strategy can accurately and efficiently obtain the nonlinear force and impact force for the nonlinear structure.

원자력발전소 안전성 평가를 위한 외부사건 식별 및 선별 방법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n External Event Identification and Screening Methods for Safety Assessment of Nuclear Power Plant)

  • 김동창;곽신영;김지태;임승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52-260
    • /
    • 2022
  • 연구목적: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자연재해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어, 원자력발전소에 영향을 주는 외부사건이 발생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는 자연재해, 인공재해 등 외부사건으로부터 안전해야 한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사건을 식별하여야 하며, 원자력발전소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사건을 선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사건을 식별 및 선별하는 방법의 연구동향을 소개한다. 연구방법: 원자력발전소의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외부사건의 식별 및 선별에 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국내외 외부사건의 식별 및 선별에 관한 규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원자력발전소의 외부사건 영향분석의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외부사건을 식별 및 선별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각 연구는 관점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적으로 식별과정에서는 원자력발전소 부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사건을 식별하고자 하며, 선별과정에서는 정성적 기준과 정량적 기준을 바탕으로 외부사건을 선별한다. 결론: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자연재해의 강도가 변화하고 있어, 원자력발전소에 영향을 주는 외부사건을 식별 및 선별하는 과정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외부사건을 식별과 선별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국내의 경우 원자력발전소의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외부사건의 식별과 선별에 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외부사건 정량적 선별과정에서 수행하는 '경계분석'과 '명백히 보수적인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버 푸시를 위한 이벤트 기반 서버간 메시지 교환 아키텍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ent Based Message Exchange Architecture between Servers for Server Push)

  • 조동일;류성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1-194
    • /
    • 2011
  • 서버 푸시는 브라우저의 긴 폴링 요청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술로, HTTP 환경에서 서버와 브라우저간의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최근 풀 브라우징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서버 푸시는 다양한 응용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서 여러 서버에 분산된 컨텐츠를 동시에 많은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이전 보다 훨씬 많은 동시 사용자를 적절히 식별하여 빠르게 컨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분산 서버 환경에서 지금까지의 요청 대 응답방식의 서버간 메시지 교환은 이런 요건을 충족하기에 동시 사용자 요청 처리, 사용자의 식별 및 컨텐츠의 전달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 서버 환경에서 서버 푸시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간 메시지 교환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한 아키텍처는 이벤트 주도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서버간에 푸시 방식으로 메시지를 교환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대량 사용자 접속환경에서 유연한 이벤트 주체의 식별과 이벤트 처리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아키텍처를 설계 및 구현하였고, 성능 테스트를 통해 기존 방식과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사례 구현을 통해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성능 테스트 결과 동일한 수의 동시 사용자를 처리하는데 제안한 아키텍처는 기존 요청 대 응답방식의 메시지 교환에 비해 서버 Thread 사용량은 감소하였고, 동시 처리량은 증가하였으며, 사용자의 응답시간은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