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nt Extractio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1초

텍스트 내 사건-공간 표현 간 참조 관계 분석을 위한 말뭉치 주석 (Corpus Annotation for the Linguistic Analysis of Reference Relations between Event and Spatial Expressions in Text)

  • 정진우;이희진;박종철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8권2호
    • /
    • pp.141-168
    • /
    • 2014
  • Recognizing spati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vents expressed in natural language text is essential not only for the interpretation of such events and but also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among them. However, spatial information is rarely mentioned as compared to event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event and spatial expressions is also highly implicit in a text. This would make it difficult to automate the extraction of spati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vents from the text. In this paper, we give a linguistic analysis of how spatial expressions are associated with event expressions in a text. We first present issues in annotating narrative texts with reference relations between event and spatial expressions, and then discuss surface-level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such relations based on the annotated corpus to give a helpful insight into developing an automated recognition method.

  • PDF

안드로이드 모바일 정상 및 악성 앱 시스템 콜 이벤트 패턴 분석을 통한 유사도 추출 기법 (Normal and Malicious Application Pattern Analysis using System Call Event on Android Mobile Devices for Similarity Extraction)

  • 함유정;이형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25-139
    • /
    • 2013
  • 안드로이드 기반 오픈 마켓의 개방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정상 어플리케이션 뿐만아니라 공격자에 의해 개발된 악성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악성 어플리케이션들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용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보다 정확한 방법으로 정상 앱과 악성 앱을 판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정상 앱과 악성 앱으로 부터 이벤트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오픈 마켓에서 가장 사용자 이용도가 높은 게임 앱을 대상으로 정상 이벤트 패턴을 분석하였고, Android MalGenome Project에서 배포하고 있는 1,260개의 악성 샘플들 중에서 게임 앱 형태에 해당하는 악성 앱과 유사 악성 앱 등을 대상으로 악성 이벤트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에서 정상 앱과 악성 앱을 대상으로 리눅스 기반 시스템 콜 추출 도구인 Strace를 이용해 정상 앱과 악성 앱의 이벤트를 추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 앱 및 악성 앱이 각각 실행되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를 수집하여 각각의 이벤트 집합에 대한 연관성 분석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상 앱과 악성 앱 각각에 대한 이벤트 발생 특징 및 패턴과 분포도를 분석하여 이벤트 유사도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임의의 앱에 대한 악성 여부를 판별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건설기획단계에서의 위험요인 도출 (An Extraction of the Risk Events in the Construction Planning Phase)

  • 권순오;김선규;이낙운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99-106
    • /
    • 2005
  • The planning phase of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or failure of the enterprise decision the 1st dangerous duration which occurs very there is a possibility of making with the phase which is important, of construction project in life cycle most many risk. But the risk management from planning phase well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is the actual condition from existing construction project. Consequently, it classifies the risk event from project initial planning phase of construction project from this study which probably is substantial risk event the possibility of accomplishing from a planning phase successfully in order to be.

  • PDF

사건의 흐름 분석을 위한 동화의 재구성 (Reproducing Fairy Tales for Plot Identification)

  • 안승주;박종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1년도 제2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8
    • /
    • 2011
  • 텍스트의 스토리를 자동으로 이해하기 위해 텍스트에서 기술된 사건(event)을 파악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스토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는 스토리의 깊은 의미론적 이해를 요구하는 것 이외에도 텍스트마다 상황과 일어나는 사건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언어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의 처리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건들을 추상화 하여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스토리 이해의 자연스러움을 저해하지 않고 해결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건들의 추상화 과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텍스트 속 등장인물이 행하거나 당하는 사건들을 추출하여 PMI기법을 통해 사건의 흐름을 파악하고 언어학적 단서를 참조하여 스토리 이해 과정에 누락될 수 있는 사건들을 추가하여 보완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등장인물이 행할 수 있는 사건들을 재구성하여 단순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지능형 감시를 위한 객체추출 및 추적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Study on the Object Extraction and Tracking System for Intelligent Surveillance)

  • 장태우;신용태;김종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7호
    • /
    • pp.589-595
    • /
    • 2013
  • 최근 보안 관제를 위한 인원부족 및 감시 능력의 한계로 자동화된 지능형 관제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능형 감시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자동화된 객체추출 및 추적 시스템, 그리고 이상행위를 인지하는 이상행위 검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각 모듈은 기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환경에서 적용되고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알고리즘의 성능을 높였으며, 구현 후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그 성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배회 또는 도주와 같은 이상행위의 경우 1초 이내에 검출할 수 있었다.

시스템 결함원인분석을 위한 데이터 로그 전처리 기법 연구 (A Study on Data Pre-filtering Methods for Fault Diagnosis)

  • 이양지;김덕영;황민순;정영수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97-110
    • /
    • 2012
  • High performance sensors and modern data logging technology with real-time telemetry facilitate system fault diagnosis in a very precise manner. Fault detectio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in fault diagnosis systems are typical steps to analyze the root cause of failures. This systematic failure analysis provides not only useful clues to rectify the abnormal behaviors of a system, but also key information to redesign the current system for retrofit. The main barriers to effective failure analysis are: (i) the gathered data (event) logs are too large in general, and further (ii) they usually contain noise and redundant data that make precise analysis difficult. This paper therefore applies suitable pre-processing techniques to data reduction and feature extraction, and then converts the reduced data log into a new format of event sequence information. Finally the event sequence information is decod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event patterns and various system faults.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ed pre-filtering procedure is examined with a terminal box data log of a marine diesel engine.

Slow Feature Analysis for Mitotic Event Recognition

  • Chu, Jinghui;Liang, Hailan;Tong, Zheng;Lu, W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3호
    • /
    • pp.1670-1683
    • /
    • 2017
  • Mitotic event recognition is a crucial and challenging task in biomedical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slow feature analysis and propose a fully-automated mitotic event recognition method for cell populations imaged with time-lapse phase contrast microscopy. The method includes three steps. First, a candidate sequence extraction method is utilized to exclude most of the sequences not containing mitosis. Next, slow feature is learned from the candidate sequences using slow feature analysis. Finally, a hidden conditional random field (HCRF) model is applied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sequences. We use a supervised SFA learning strategy to learn the slow feature function because the strategy brings image content and discriminative information together to get a better encoding. Besides, the HCRF model is more suitable to describe the temporal structure of image sequences than nonsequential SVM approaches. In our experiment, the proposed recognition method achieved 0.93 area under curve (AUC) and 91% accuracy on a very challenging phase contrast microscopy dataset named C2C12.

모바일 디바이스 시뮬레이터용 이벤트 분석 및 배열 기능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ent Analysis/Arrange Function for Mobile Device Simulator)

  • 이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29-1434
    • /
    • 2010
  •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용 시뮬레이터에서는 이벤트 발생 순서에 따라 로그 파일에 저장된 이벤트를 다시 단말의 응용 SW로 주입하여 자동적으로 응용 SW를 시험하게 된다. 그러나 동일한 이벤트라도 추출 계층에 따라 모바일 단말용 시뮬레이터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응용이 동시에 수행하는 환경에서는 응용에서 추출된 이벤트들의 순서가 시스템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응용들을 동일한 순서로 수행하더라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이벤트의 발생순서가 변경되어 어떤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하고, 어떤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응용 SW 오류는 디버깅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응용 및 커널/미들웨어 계층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분석하여, 이들 이벤트들을 재편집함으로써 다양한 응용의 실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이벤트들이 응용, 커널 및 미들웨어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벤트 배열/편집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Wisdom teeth extraction in a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 Seto, Mika;Aoyagi, Naoko;Koga, Sayo;Kikuta, Toshihir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6호
    • /
    • pp.289-291
    • /
    • 2013
  • Moyamoya disease is a rare neurovascular disorder that involves constriction of certain arteries in the brain. In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cerebral ischemic attacks and intracerebral bleeding caused by fluctuating blood pressure and increased respiration. A 40-year-old woman with moyamoya disease was scheduled for extraction of her right upper and lower impacted wisdom teeth. Her lower impacted wisdom tooth was situated close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 We decided to continue her oral antiplatelet therapy and planned intravenous sedation with analgesic agents administered approximately five minutes prior to extraction of the root of the mandibular wisdom tooth. Oral analgesic medications were regularly administered postoperatively to alleviate pain and anxiety.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no cerebrovascular event occurred, and the wisdom teeth were successfully extracted as per the planned procedure. It is thought that the perioperative risks of wisdom tooth extraction in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can be minimized with the use of our protocols.

풀화재를 이용한 터널화재 부분배연 모델실험 (Reduced-Scale Experiments of the Partial Smoke Extraction System in Tunnel Fires)

  • 이의주;유용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8-64
    • /
    • 2006
  • 부분배연설비를 가지고 있는 침매터널에서 화재시 배연효율을 분석하기위해 풀화재를 이용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주위 유동이 없는 경우인 자연배연과 임계속도로 제트팬을 가동하는 강제배연의 경우에 터널내의 온도와 연소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자연배연에 비해 강제배연은 화재발생 초기에 화원과 터널 내 기류와의 급격한 혼합에 의해 성층화 정도가 미미해지고 보다 낮은 온도를 화원주위에서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급격한 혼합은 터널 상부에 위치한 부분제연 갤러리의 효율을 변화시키는데, 자연배연인 경우에 약 30%의 배연효율이 증가되었다. 일산화탄소 농도계측으로 얻어진 배연효율은 등온기체모델을 사용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침매터널 화재시 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부분배연설비의 최적 운전방안으로 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