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n-aged fores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9초

Characteristics of Soil CO2 Efflux in Even-aged Alder Compared to Korean Pine Plantations in Central Korea

  • Kim, Yong Suk;Yi, Myong Jong;Lee, Yoon Young;Son, Yowhan;Koike, Takayosh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232-241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type and soil carbon dynamics in even-aged alder (Alnus hirsuta) an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in central Korea. Both forests were located on the same soil parent material and occupied similar topographic positions. Soil $CO_2$ efflux in the two plantations was determined using a dynamic chamber method accompanied by measurements of soil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Mean soil temperature was similar in the two plantations, but mean soil water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der plantation than in the pine plantation. In both plantations, seasonal patterns in soil $CO_2$ efflux exhibited pronounced variation that corresponded to soil temperature. Soil water content did not affect the seasonal variation in soil $CO_2$ efflux. However, in summer, when soil temperature was above $17^{\circ}C$, soil $CO_2$ efflux increased linearly with soil water content in the alder plantation. Estimated $Q_{10}$ was 3.3 for the alder plantation and 2.7 for the pine plantation. Mean soil respiration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in the alder plantation was 0.43 g $CO_2\;m^{-2}\;h^{-1}$, which was 1.3 times higher than in the pine plantation (0.33 g $CO_2\;m^{-2}\;h^{-1}$). Higher soil $CO_2$ efflux in the alder plantation might be related to nitrogen availability, particularly the concentration of $NO_3{^-}$, which was measured using the ion-exchange resin bag method.

Regeneration Process of the Korean Beech (Fagus Multinervis Nakai) Forest

  • Kim, Seong-Deog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133-139
    • /
    • 2002
  • Regeneration process of the Korean beech (Fagus multinervis Nakai) forest was studied in relation to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age structure. In this study, it was clarified that the Korean beech forest is regenerated in both way: seedlings(sexual reproduction) and sprouts(vegetative reproduction) formations. In the large gaps, seedling may be established, resulting in clusters of even-aged individuals. But in the small-sized gaps, there may filed by the extention of surrounding trees and/or by the young trunks, which have sprouted from the base of stumps. As most gaps in the F. multinervis forest were derived from falling of a single stem, regeneration by sprouts seems to be more common than that by the seedlings.

  • PDF

Regeneration Process of the Korean Beech(Fagus multinervis Nakai) Forest

  • Kim, Seong-Deo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67-273
    • /
    • 2002
  • Regeneration process of the Korean beech (Fagus multinervis Nakai) forest was studied in relation to the distributional pattern and age structure. In this study, it was clarified that the Korean beech forest is regenerated in both way: seedlings(sexual reproduction) and sprouts(vegetative reproduction) formations. In the large gaps, seedling may be established, resulting in clusters of even-aged individuals. But in the small-sized gaps, there may filled by the extention of surrounding trees and/or by the young trunks, which have sprouted from the base of stumps. As most gaps in the F. multinervis forest were derived from falling of a single stem, regeneration by sprouts seems to be more common than that by the seedlings.

미시령(彌矢嶺) 용촌천(龍村川)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대학적(年代學的) 연구(硏究) (Chronological Study on the Deposits in Yongcheon River)

  • 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23-34
    • /
    • 1990
  • 산지유역(山地流域)에 있어서의 토석이동(土石移動)은 체류과정(滯留過程)과 이동과정(移動過程)으로 구분되며, 과거로 부터의 변화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현재의 지표면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는 원인과 결과를 분명히 하여야 한다. 여기서 원인이란 단위시간 안에서 유역특성을 구성하는 요인인 지형(地形), 지질(地質), 기후(氣候), 식생(植生), 토지이용(土地利用) 등을 의미하며, 결과란 유역(流域)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山沙汰), 땅밀림, 하상변동(河床變動) 등을 말한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인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에 있어서 상기 원인중 지형(地形)(하천징지형(河川徵地形))과 식생(植生)(동령임분(同齡林分))을 분석하여 결과로서 존재하는 하상변동(河床變動)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하였다. 그 결과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침입수목의 연륜해석(年輪解析)으로부터 하상변동(河床變動)에 대한 공간적(空間的)(퇴적고(堆積高)) 시간적(時間的)(체류기간((滯留期間)) 분포(分布)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기초로 하여 유역간(流域間) 또는 구간간(區間間)의 지표변동(地表變動)의 특성(特性)을 시(時) 공간적(空間的)으로 해석하므로서 보다 객관적인 방재대책(防災對策)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Teak Forests in Southern India

  • Tewari, Vindhya Prasad;Alvarez-Gonz, Juan Gabrie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259-266
    • /
    • 2014
  • Stand Density Diagrams (SDD) are average stand-level models which graphically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ield, density and mortality throughout the various stages of forest development. These are useful tools for designing, displaying and evaluating alternative density regimes in even-aged forest ecosystems to achieve a desired future condition. This contribution presents an example of a SDD that has been constructed for teak forests of Karnataka in southern India.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 density, dominant height, quadratic mean diameter, relative spacing and stand volume is represented in one graph. The relative spacing index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population density. Two equations were fitted simultaneously to the data collected from 27 sample plots measured annually for three years: one relates quadratic mean diameter with stand density and dominant height while the other relates total stand volume with quadratic mean diameter, stand density and dominant height.

Prediction of Stand Structure Dynamics for Unthinned Slash Pine Plantations

  • Lee, Young-Jin;Cho, Hyun-Je;Hong, Sung-Che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6호
    • /
    • pp.435-438
    • /
    • 2000
  • Diameter distributions describe forest stand structure information. Prediction equations for percentiles of diameter distribution and parameter recovery procedures for the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based on four percentile equations were applied to develop prediction system of even-aged slash pine stand structure developm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stems per diameter class changes. Four percentiles of the cumulative diameter distribution were predicted as a function of stand characteristics. The predicted diameter distributions were tested against the observed diameter distributions using the Kolmogorov-Smirnov two sample test at the ${\alpha}$=0.05 level.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ased on the data from 236 evaluation data sets. This stand level diameter distribution prediction system will be useful in slash pine stand structure modeling and in updating forest inventories for the long-term forest management planning.

  • PDF

목표림(目標林)모델에 의한 최적윤벌기(最適輪伐期) 결정(決定)에 관한 연구(硏究) - 잣나무 임분(林分)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Rotation Period by Target Forest Model - Centered with Korean White Pine Stands -)

  • 우종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121-132
    • /
    • 1994
  • 윤벌기(輪伐期)는 각 영급이 존재하는 삼림의 생산(生産)을 조절하기 위해서 설정된 삼림경영목표(森林經營目標)중 가장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특히 최적화(最適化)계산의 형태로 법정임(法正林)모델에서의 최적윤벌기(最適輪伐期)가 추정(推定)되었다. 그리고 법정림모델과의 연계하에 자연상태에서 여러가지 위험조건에 처해있는 현실임분(現實林分)에 더욱 접근시키기 위하여 목표임(目標林)모델이 간단작업급삼림(間斷作業級森林)모델(모델 1)과 연년보속작업급삼림(連年保續作業級森林)모델(모델 2)의 두가지로 나뉘어 전개되었으며 이 두 모델에 의해 최적윤벌기가 계산되었다. 동시에 법정림모델, 목표림모델 1, 2에 의해 추정된 최적윤벌기가 상호 비교되었다. 이때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임과대학(林科大學) 부속(附屬) 연습림(演習林) 내(內) 잣나무임분이 최적윤벌기(最適輪伐期) 계산의 대상이 되었다.

  • PDF

강원도지방(江原道地方) 소나무 동령임분(同齡林分)의 최대임목본수(最大林木本數) 및 고사(枯死)모델 (Maximum Stem Number and Mortality Model for Even-Aged Pinus Densiflora Stand in Kangwon-Province, Korea)

  • 이우균;서정호;배상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34-64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ha당 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임목본수가 그 임분이 유지시킬 수 있는 최대임목본수라는 Sterba의 이론을 강원도지방 소나무의 임시표본점 조사자료에 적용시켜 강원도지방 소나무 동령임분의 최대임목본수 및 고사모델을 유도하였다. ha당 임목본수와 우세목수고를 변수로 하여 평균흉고직경을 추정하는 평균흉고직경식의 통계적 신뢰성은 매우 높았으며, ha당 임목본수 및 우세목수고에 따른 흉고직경생장의 변이를 잘 설명해 주었다. 또한, 이 평균흉고직경식으로부터 유도되는 ha당 흉고단면적식은 ha당 임목본수의 변화에 따른 ha당 흉고단면적의 변화를 우세목수고별로 잘 나타내 주었다. ha당 흉고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임목본수로 부터 우세목수고 및 흉고직경별로 유도되는 최대임목본수곡선은 임목본수 관측치의 상부를 지나면서 임분의 최대임목본수를 잘 나타내 주었다. 또한, 평균흉고직경에 대한 최대임목본수식으로부터 추정되는 최대임분밀도지수는 임분의 최대잠재밀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활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대임목본수식 및 최대임분밀도지수식은 최대밀도에 도달한 임분자료를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밀도를 나타내는 임분으로부터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고사량추정, 최대잠재생산량추정 둥 임분밀도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Computer Simulation을 이용(利用)한 이차활엽수림(二次闊葉樹林)의 노숙림(老熟林) 발달예측(發達豫測) (Prediction of Old-Growth Development in Second-Growth Hardwood Forests using Computer Simulation)

  • 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502-512
    • /
    • 2000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미국 북부 이차 활엽수림지역의 2개 임분을 대상으로 노숙림 발달과정을 평가하였다. 한 임분(phelps)은 77년생 임목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동령임분이고, 다른 임분(Wildcat Creek)은 노숙림의 구조적 특정을 다소 갖고 있는 연령이 많은 임목들이 있는 이령임분이다. 각 임분은 노숙림 자연발달 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분구조, 직경분포, 고사목의 크기분포, 임분의 숨틈(Gap)크기, 3차원 임분공간도 및 수관투영도와 같은 구조적 특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Phelps 임분은 현재를 기준으로 74년 후에, Wildcat Creek 임분은 13년 후에 노숙림 초기단계에 각각 도달하였다. 45년 시뮬레이션 동안 두 임분의 흉고직경분포는 직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모두 넓고, 평평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고사목 크기분포에서는 두 임분 모두 직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고사목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elps의 숲틈 크기는 시뮬레이션 초기 연도보다 45년 후에 작게 나타난 반면, Wildcat Creek의 숲틈은 시뮬레이션 동안 일정한 패턴을 보였고, 큰 나무들의 고사로 인하여 큰 숲틈이 형성되었다.

  • PDF

수목지표(樹木指標)에 의한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대학적(年代學的) 연구(硏究) (Chronological Study on the Deposits by Indicators of Woody Plants)

  • 전근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263-272
    • /
    • 1992
  •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에서는 토석(土石) 등의 이동에 의해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를 형성하게 되며, 현재의 하상면(河床面)은 유역(流域)의 토석이동특성(土石移動特性)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에 조성되어 있는 천연생(天然生) 동령임분(同齡林分)의 연륜(年輪)은 퇴적지(堆積地) 형성후의 경과년수(經過年數)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내(江原道內)의 두 개의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을 대상으로 하천미지형(河川微地形)과 식물지표(植物指標)에 의해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대학적(年代學的) 해석(解析)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지급류하천(山地急流河川)에 분포하는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횡단형상(橫斷形狀)은 계단형상(階段形狀)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하상면(河床面)에는 상이한 동령임분(同齡林分)이 조성되어 있다. 2. 일반적으로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퇴적고(堆積高)에 비례하여 침입하여 있는 수림(樹林)의 연륜수(年輪數)도 증가하였으며, 이는 토사이동(土砂移動)의 규모(規模) 및 빈도(頻度)를 추정하는데에 사용된다. 3.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경과년수(經過年數)를 수목(樹木)의 연륜(年輪)에 의해 추정할 수 있으므로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시(時) 공간적(空間的) 정보(情報)를 얻는데 식물지표(植物指標)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4. 퇴적토석량(堆積土石量)은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의 연장(延長), 평균퇴적폭(平均堆積幅), 평균퇴적고(平均堆積高)에 좌우되며, 평균퇴적폭(平均堆積幅), 평균퇴적고(平均堆積高)는 연대(年代)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