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8초

혈장 시료 풀링을 통한 신약 후보물질의 흡수율 고효율 검색기법의 평가 (Evaluation of a Sample-Pooling Technique in Estimating Bioavailability of a Compound for High-Throughput Lead Optimazation)

  • 이인경;구효정;정석재;이민화;심창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3호
    • /
    • pp.191-199
    • /
    • 2000
  • Genomics is providing targets faster than we can validate them and combinatorial chemistry is providing new chemical entities faster than we can screen them. Historically, the drug discovery cascade has been established as a sequential process initiated with a potency screening against a selected biological target. In this sequential process, pharmacokinetics was often regarded as a low-throughput activity. Typically, limited pharmacokinetics studies would be conducted prior to acceptance of a compound for safety evaluation and, as a result, compounds often failed to reach a clinical testing due to unfavorable pharmacokinetic characteristics. A new paradigm in drug discovery has emerged in which the entire sample collection is rapidly screened using robotized high-throughput assays at the outset of the program. Higher-throughput pharmacokinetics (HTPK) is being achieved through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including automation for sample preparation and new experimental approaches. A number of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HTPK. In vitro studies, in which many cell lines are used to screen absorption and metabolism, are generally faster than in vivo screening, and, in this sense, in vitro screening is often considered as a real HTPK. Despite the elegance of the in vitro models, however, in vivo screenings are always essential for the final confirmation. Among these in vivo methods, cassette dosing technique, is believed the methods that is applicable in the screening of pharmacokinetics of many compounds at a time. The widespread use of liquid chromatography (LC) interfaced to mass spectrometry (MS) or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allowed the feasibility of the cassette dosing technique. Another approach to increase the throughput of in vivo screening of pharmacokinetics is to reduce the number of sample analysis. Two common approaches are used for this purpose. First, samples from identical study designs but that contain different drug candidate can be pooled to produce single set of samples, thus, reducing sample to be analyzed. Second, for a single test compound, serial plasma samples can be pooled to produce a single composite sample for analysis. In this review, we validated the issue whether the second method can be applied to practical screening of in vivo pharmacokinetics using data from seven of our previous bioequivalence studies. For a given drug, equally spaced serial plasma samples were pooled to achieve a 'Pooled Concentration' for the drug. An area under the plasma drug concentration-time curve (AUC) was then calculated theoretically using the pooled concentration and the predicted AUC value was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ly calculated AUC value.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sample pooling method generated reasonably accurate AUC values wh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the traditional approach. It is especially noteworthy that the accuracy was obtained by the analysis of only one sample instead of analyses of a number of samples that necessitates a significant man-power and time. Thus, we propose the sample pooling method as an alternative to in vivo pharmacokinetic approach in the selection potential lead(s) from combinatorial libraries.

  • PDF

산업공학 전공 교과목 강의를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활용: 경제성공학 교육 사례 연구 (Using Python Programming Language for Teaching Industrial Engineering Subjects: A Case Study on Engineering Economy)

  • 조용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45-25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산업공학의 전통적인 전공 교과목을 강의할 때 현 시점 산업계 및 학계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 언어를 분석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사례 연구로서 공학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전공 교과목인 경제성공학을 채택하였으며, 파이썬에서 다양한 재무함수를 구현한 라이브러리인 numpy-financial를 포함하여 간단한 연산 및 수치 해석을 위한 numpy와 scipy, 시각화를 위한 matplotlib 라이브러리를 주로 활용하였다. 익명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강의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교육 방식이 교육 만족도와 강의 전달력 측면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고, 경제성공학 뿐 아니라 다른 전통적인 산업공학 과목에 대해서도 전공 학생들의 추가적인 수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 교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 (A Qualitative Study on Prospective Librarians' Library Practicum Experiences: Apply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 구정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9-296
    • /
    • 2018
  • 이 연구는 예비사서들이 도서관실습 교육과정 중 겪은 개인적 경험을 기술하되, 실습 과정 전반에 걸친 내용과 이를 둘러싼 내 외적인 정황과 환경적인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학생 중 도서관실습 교육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를 실시하여 실습과정 중에 경험한 모든 일상과 그 의미들을 구체적으로 구술하도록 하였다. 구술된 내용을 모두 녹취하여 전사하고 이를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서관실습 교육참여자들의 경험 내용은 크게 5가지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분석되었다. 그 경험의 구성요소로는 '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형성 과정', '진로 설계의 구체화 과정과 도전', '실습 전 준비과정 중 경험한 도전과 성장', '실습 과정 중 경험한 도전과 성장' 그리고 '실습 후 경험과 평가'로 요약되었다. 이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실습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 관련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장서문제의 본질과 해법: 실물장서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n the Quality of Academic Library Collections in Korea)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7-308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이 당면해 있는 장서문제의 본질을 규명하고 원인을 밝혀내어 향후 개별 대학도서관은 물론이고 대학도서관계 전체가 참조할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이 구축해온 실물장서의 내용적 품질에 대해 주목하였으며, 품질검증 실험을 통해 장서의 열악한 양태를 구체적으로 밝혀내었다. 이어서 장서의 품질을 열악하게 만들어온 원인을 국가 차원의 정책적 오류, 대학도서관 차원의 부실한 전략, 그리고 실무 인력의 부적절한 업무행태 등을 통해 찾아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장서문제를 풀어가기 위한 해법을 국가 차원의 정책적 과제와 대학도서관 차원의 실무적 과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10개의 거점국립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논점을 풀어갔으며, 논의를 위한 근거 데이터는 관련 문헌과 통계자료 그리고 사례 대학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들과의 면담을 통해 확보하였다.

디지털 독서 및 정보 리터러시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독서 및 정보 서비스의 방향 탐색 - PIAAC와 PISA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ading and Information Service through Analysis of Digital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Evaluation Items: Focusing on PIAAC and PISA)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61-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성인 역량 평가(PIAAC)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에서 측정된 디지털 독서 리터러시 및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문항의 측정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초 중등학교의 사서교사가 독서 및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디지털 독서 리터러시나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측정 문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답자는 인지 전략과 더불어 ICT 기술 역량이 공통적으로 필요하였다. 다만 디지털 독서 리터러시 측정 문항에서는 텍스트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강조되었으며 디지털 정보 리터러시 측정 문항에서는 ICT 활용 능력과 항해(navigation) 능력 및 검색된 텍스트를 읽을 것인지를 평가하는 능력이 강조되었다. 사서나 사서교사들은 이용자들의 독서를 더욱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특정한 집단의 성취결과나 특성을 반영하여 맞춤형 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료 검색시스템과 한국십진분류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가능하도록 도서관 환경을 정비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이 이용자의 학술정보이용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Library User Education on Users' Information Literacy)

  • 유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43-260
    • /
    • 2004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이 이용자의 학술정보 이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덕성여자대학교에서 인터넷정보활용 과목을 수강하는 3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자교육을 제공한 전후의 학술정보 이용능력을 평가하였다. 피험자들은 학술정보검색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지를 조사하였으며 소요시간, 피험자자신에 대한 정보능력 평가점수를 측정하였다. 이용자교육 후 약8주후에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여 교육의 효과가 지속하는지의 여부를 또한 조사하였다. 이용자교육은 피험자의 학술정보검색 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켰으며, 소요시간을 단축시켰으며 스스로에 대한 정보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교육은 원문검색이나 색인검색과 같은 고급학술정보이용능력 향상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번 학습한 이용자교육의 효과는 일정한 시간이 지난후에는 다소 정보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기는 했으나 여전히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한우의 근육과 지방조직의 유전자 발현 패턴 분석 및 bovine customer cDNA chip 구성 연구 (Construction of Ovine Customer cDNA Chip and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atterns in the Muscle and Fat Tissues of Native Korean Cattle)

  • 한경호;최은영;홍연희;김재영;최인순;이상석;최윤재;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6-384
    • /
    • 2015
  • 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인자인 근육내 지방(또는 마블링)을 조절하는 분자를 연구해야 한다. cDNA microarray를 사용하여 등지방 조직과 최장근의 유전자발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한우의 지방조직에 1211개, 근육조직에서 1346개의 특이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bovine chip은 지방조직의 920개 유전자와 근육조직의 760개 유전자로 이루어진 1680개의 특이 유전자로 구성되어있다. 이 실험에서 Microarray 분석은 등지방조직(Cy3)과 최장근(Cy5)의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여준다. 차이를 보이는 많은 특이유전자 중에서, 12-리폭시게나아제 유전자와 프로스타글란딘 D 합성효소는 근육내 지방의 축적을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발현되지만 한우의 근육과 지방 조직에서 차이를 보이는 많은 유전자를 hybridization 분석을 통해 발견하였다. 선택된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반정량적 RT-PCR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cDNA microarray와 유사하였다.

대학도서관 조직건강성 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iagnosis of the Health of University Library Organizations)

  • 윤영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9권
    • /
    • pp.63-112
    • /
    • 1990
  • The environment of the modern library is changing rapidly with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massive increse in information, and with the changing needs of users for information in order to keep up with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library should also be in a constant state of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But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library organizations in Korea do not show any change. Here arises the need to diagnose the health of these organiz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s can be achieved either by change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r administrative methods or in personal attitudes. In making organizational innovations,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only to change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r the administrative methods without changing personal attitud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agnose the health of university library organizations in Korea and to suggest prescrip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diagnosis, by means of organization development theory. In this study, the action research model and the diagnostic model were developed for the health of university library organization in Korea. The action research model consisted of 3 steps: diagnosis, intervention and evaluation. The diagnostic model comprised diagnostic criterion and diagnostic indicators. The health of an organization was selected as the diagnostic criterion. Diagnostic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3 levels: personal job-satisfaction at the individual level, cohesiveness at the group level, and the organizational climat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oth the interview and the questionaire were used as diagnostic methods. The questionaire form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Likert typle 5-point scale. For the investigation, 10 university libraries were selected from the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and questionaire sheets were sent to their 156 librarians and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116 persons. An interview was carried out with a selected chief of departments of the library concerned. The results of the diagnosis show that the average personal job­satisfaction was 3.57, the group cohesiveness was 3.15 and organizational climate was 2.93, and accordingly the comprehensive health indicator was 3.22. The health of university library organizations in Korea was generally on the decline at all 3 levels. In particular, the organizational climate was in a very weak state. Most problems concern dissatisfaction with personnel policy, communications and non-professionally qualified directors. As the prescriptions, the following was suggeste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taff meeting for resolving problems with communication, appointement of professional directors, performance appraisal, conferring faculty status for librarians, and a suggest system. 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managerial grid training was suggested as one of the educational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 PDF

LibQUAL+의 통시적 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Towards Service Quality Improvement for University Library by LibQUAL+ Analysis for Multiple Years)

  • 최보윤;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1-154
    • /
    • 2015
  • 이용자 관점에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품질 평가는 시간의 흐름과 정보기술과 같은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도서관은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새로운 환경에 필요한 개선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LibQUAL+ 서비스 품질 평가 결과의 변화와 경향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도서관 각각 1개관을 선정하였다. 캐나다 맥길대학교 도서관은 6년간 누적된 LibQUAL+결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A대학은 2012년 결과와 본 연구에서 수행한 2015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방사형 차트, 막대 차트, 그래프를 이용하여 LibQUAL+ 22개 항목, 3개 차원에 대한 이상 기대치, 실제 인식치, 최소 기대치와 적정성 갭, 우수성 갭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연도별,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수준의 변화 및 기대수준에 있어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A대학의 분석결과는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도서관의 기대수준이 향상되었으나 이에 반해 인식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이용자의 집단(학부생, 대학원생)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서비스는 직원, 자원, 시설 차원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며, 개별 이용자 그룹에 특화된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 MeV/nucleon 12C 이온의 MCNPX 와 핵자료를 이용한 차폐 벤치마킹 계산 (400 MeV/nucleon 12C Ions Shielding Benchmark Calculations using MCNPX with Different Nuclear Data Libraries)

  • 신윤성;김용민;김동현;정남석;이희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95-300
    • /
    • 2015
  • 현재 우리나라는 포항방사광가속기와 국립암센터의 양성자 치료용 가속기와 경주 양성자 가속기가 운영되고 있고 중이온 가속기, 4세대 방사광가속기 등 대형가속기 시설이 건설 중에 있다. 이들 시설에서 고에너지로 가속된 입사입자는 표적물질과 상호작용 후 2차 중성자를 발생시키고, 이 중성자는 가속기 구조물 및 주변 콘크리트, 토양, 지하수 등을 방사화 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가속기 시설의 안전적 측면을 고려할 때 방사화를 일으키는 중성자의 차폐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차폐해석에 사용되는 몬테카를로 코드 중 MCNPX를 이용하여 $^{12}C$ beam빔과 표적물질(Cu)과의 상호작용 후 생성되는 중성자를 계산하고, 그 중성자의 철 차폐체와 콘크리트 차폐체의 두께별 투과 후 스펙트럼을 MCNPX의 JENDL/HE 07과 la150을 이용해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빔의 방향과 차폐체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그 결과를 실험값과 비교하여 검증함으로써 핵자료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대형가속기시설의 선량평가용 기반기술로 활용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