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cuation path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건물내 전체 인원분포를 고려한 실내 보행자 최적 대피모형 (An Optimal Model for Indoor Pedestrian Evacuation considering the Entire Distribution of Building Pedestrians)

  • 곽수영;남현우;전철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29
    • /
    • 2012
  • 일반적인 실내 보행자 대피모형 및 대피시뮬레이터는 보행자 특성(예, 이동속도, 방향, 기동성, 성별, 나이, 몸무게, 신체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개개인이 출구까지 대피할 때의 최단거리나 최소시간, 즉, 국지적(local)인 해를 구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델을 이용해서는 대상 공간 전체(예, 건물 전체)의 재실자들이 모두 대피한다고 할 때, 전체 대피시간을 줄이는 전역적인 최적해를 얻기 힘들다. 본 연구는 건물내의 전체 인원분포를 고려하여 건물 내 재실자들의 총 대피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역적인 실내 보행자 최적 대피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총 대피시간을 줄이는 전역적인 최적해는 다항식으로 찾기 힘든 문제로, 본 연구에서는 메타 휴리스틱기법 중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분포 상황을 염색체로 표현하고 해를 반복적 필터링하여 최적에 가까운 대피경로 및 대피시간을 산출하였다. 설계된 알고리즘을 표현하고 실험하기 위해서 CA(cellular automata) 기반의 대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다양한 실내 인원분포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지하철 객차 화재발생시 피난 시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vacuation time in a subway carriage fire)

  • 김승렬;노재성;노경철;유홍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3-1318
    • /
    • 2007
  • Recently, the terror frequently has taken place for unspecified individuals as modern society is complicated. Especially, in case of a subway carriage fire as Daegu subway fire, because smoke spread path usually coincide with passenger's evacuation path, it will reduce visibility and can cause fatalities by asphyxiation. This study performs not only fire simulation with CFAST V6 but also evacuation simulation with EXODUS V4 for the purpose of taking measures for passengers's life safety in subway fire. As a result of evacuation simulation without fire, evacuation times are 36 s for EXODUS V4 and simple hand calculation, and when fire is occurred fire, 101 persons evacuated in 32 s. Therefore, a countermeasure of evacuation in subway carriage fire is required to repression of fire and emergency exit.

  • PDF

Simulation Analysis of Safety Evacuation in University Experiment Building

  • Tao Zhang;Ha-Sung K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2호
    • /
    • pp.218-226
    • /
    • 2024
  •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of a university, the emergency evacuation simulation is modeled based on the physical sign, evacuation speed and personnel ratio using the pathfinder software.The experimental construction export utilization rate is compared with the preliminary simulation scenario.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utilization rate of evacuation stairs and evacuation exits is significantly improved.The optimized solution can provide the most effective evacuation passage, and th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the basis for the rat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of evacuation passage in university experiment building.

건축물 내에서 축광유도타일이 피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otoluminescent Exit Path Markings in Evacuation from Buildings)

  • 허만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67-72
    • /
    • 2005
  • 본 연구는 건축물내의 완전 암흑상태에서 축광유도타일이 피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실험조사는 대구 Fire EXPO '05에 실험 장치를 전시하여 엑스포 관람자 520명을 대상으로 2005년 5월 26일부터 29일까지 실시되었다. 실험 조사결과 안전 암흑상태일 때 피난자세는 남자의 경우 70%, 여자는 72%가 벽을 더듬으며 피난한 반면에 축광유도타일이 설치된 경우에는 남자의 경우 88%, 여자의 경우 83%가 선채로 피난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건물의 바닥에 축광유도타일을 설치하면 화재시 정전이 되더라고 평소와 다름없이 피난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빌딩 환경에서 부하 균등을 고려한 대피경로 산출 (Planning Evacuation Routes with Load Balancing in Indoor Building Environments)

  • 장민수;임경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7호
    • /
    • pp.159-172
    • /
    • 2016
  • 본 연구는 복층 건물에서 실내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피경로들을 산출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Disaster Evacuation Graph(DEG)를 도입하여, 탐색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 또한, 대피 경로 상의 인원수용능력과 그에 따른 인원 분산을 동시에 고려한다.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된다. 이 때 각 단계는 Horitzontal Tiering(HT)과 Vertical Tiering(VT) 단계라 한다. HT 단계에서는 특정 층 임의의 공간으로부터 계단으로 향하는 가능한 최적의 경로를 산출한다. 그리고 모든 층에 대해 HT 단계를 수행한 이후, 각 층의 모든 공간으로부터 건물 입구나 옥상과 같은 안전지대로 향하는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VT 단계에서 HT 단계의 결과들을 통합한다. 이러한 단계별 과정에서 각각, 층 내 모든 공간으로부터 계단으로 향하는 경로와 각 계단으로부터 안전지대로 향하는 경로가 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그래프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티어링(tiering) 기법이 이용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빠른 탐색과 인원 분산을 위해 기존에 연구되었던 경로탐색 알고리즘들과, 경로탐색에 소요된 시간 및 사용자 대피시간을 비교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에 비해 더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산출한다. 특히 경로탐색을 위한 시간복잡도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높은 층으로 구성된 큰 규모의 건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Real-time Intelligent Exit Path Indicator Using BLE Beacon Enabled Emergency Exit Sign Controller

  • Jung, Joonseok;Kwon, Jongman;Jung, Soonho;Lee, Minwoo;Mariappan, Vinayagam;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1호
    • /
    • pp.82-88
    • /
    • 2017
  • Emergency lights and exit signs are an indispensable part of safety precautions for effective evacuation in case of emergency in public buildings. These emergency sign indicates safe escape routes and emergency doors, using an internationally recognizable sign. However visibility of those signs drops drastically in case of emergency situations like fire smoke, etc. and loss of visibility causes serious problems for safety evacuation. This paper propose a novel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built-in with Bluetooth Low Energy (BLE) Beacon to assist the emergency self-guiding evacuation using devices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o avoid panic condition inside the buildings. In this approach, the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with the BLE beacons deployed in the indoor environments and the smart devices detect their indoor positions, direction to move, and next exit sign position from beacon messages and interact with map server in the Internet / Intranet over the available LTE and/or Wi-Fi network connectivity. The map server generate an optimal emergency exit path according to the nearest emergency exit based on a novel graph generation method for less route computation for each smart device. All emergency exit path data interfaces among three system components, the emergency exit signs,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have been defined for modular implementation of our emergency evacuation system. The proposed exit sign experimental system has been deployed and evaluated in real-time building environment thoroughly and gives a good evidence that the modular design of the proposed exit sign system and a novel approach to compute emergency exit path route based on the BLE beacon message,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is competitive and viable.

3차원 공간 기반의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Fire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Based 3D Modeling)

  • 황연정;구원용;황은경;윤호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56-167
    • /
    • 2011
  • 최근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복잡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축물 화재 발생건수와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증가함에 따라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의 안전성 점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산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는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분야에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차원 공간 정보 기반으로 공간의 토폴로지를 생성하고, 피난 경로를 탐색하는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구축하였다.

침수취약지역 추정과 주민들의 대피경로 분석 (Flooding Area Estimation and Evacuation Path Analysis)

  • 박종덕;최진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1
  • 최근 도시지역은 국지성 호우로 인한 범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중량천 수계에 대한 홍수범람모의를 수행하였다. 분석은 1m 간격의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하천 정보를 위해 HEC-GeoRAS를 이용하여 Geometry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홍수에 대한 가상시나리오를 홍수량이 100년 빈도일 경우 200년 빈도일 경우, PMF일 경우로 작성하여 침수 취약지역을 분석하였고, 이를 구역화하고 대피소까지의 대피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가 밀집된 시가화 지역의 면적 비율이 범람지역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홍수 시 상당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예상되었다. 범람지역에서 대피소까지의 최단거리 대피경로는 평균거리 1,000m로 대피 경보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도식지역의 홍수대피 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딥러닝을 이용한 함정 대피 경로 탐색 (Naval Ship Evacuation Path Search Using Deep Learning)

  • 박주헌;유원선;이인석;최원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9권6호
    • /
    • pp.385-392
    • /
    • 2022
  • Naval ship could face a variety of threats in isolated seas. In particular, fires and flooding are defined as disasters that are very likely to cause irreparable damage to ships. These disasters have a very high risk of personal injury as well. Therefore, when a disaster occurs, it must be quickly suppressed, but if there are people in the disaster area, the protection of life must be given priority. In order to quickly evacuate the ship crew in case of a disaster, we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quickly explore the evacuation route even in urgent situations. Using commercial escape simulation software, we obtain the data for deep neural network learning with simulations according to aisle characteristics and the properties and number of evacuation person. Using the obtained data, the passage prediction model is trained with a deep learning, and the passage time is predicted through the learned model. Construct a numerical map of a naval ship and construct a distance matrix of the vessel using predicted passage time data. The distance matrix configured in one of the path search algorithms, the Dijkstra algorithm, is applied to explore the evacuation path of naval ship.

침수 시 주거용 건축물에서 대피시설로의 접근 취약성 분석을 통한 피난경로 확보방안 - 대구시 북구 침수 사례지를 중심으로 - (Ensuring the Evacuation Path Based on Inundation & Refuge Approach Vulnerability Analysis in Residential Buildings - Focused on Daegu Bukgu Inundation Case District -)

  • 이지수;홍원화;김광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8
    • /
    • 2012
  • Recently, there have been frequent occurrence of the damage to lives and properties due to the torrential rain caused by climate change.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s in which the underlying data related to flooding are lacking, this study conducted to build up the basic data on the flooded areas and suggested methods to secure the evacuation routes that can be accessible to evacuation facilities in the residential buildings. Method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alculated the flood risk grades of residential buildings based on elevations, considering the flooding characteristics of the flooded areas in Buk-gu, Daegu. Second, We constructed baseline data on the evacuation routes through site investigation and reviewed of drawing using Arc GIS to identify vulnerability to access to the evacuation facilities, targeting the residential buildings. Third, We carried out the proximity analysis through a near analysis of analysis functions in ARC GIS. Forth, We deduced 115 residential buildings in which access to evacuation facilities is considered to be difficul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nally, We proposed extension of a blind alley as a means for achieving connectivity to evacuation facilities. And to evaluate the alternatives presented, we reconstructed route data. As a result, about 53% improvement was identified through the proximity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