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ro cod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3초

강박스거더교의 설계 유효온도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Estimation of Effective Temperature for Design in Steel Box Girder Bridge)

  • 이성행;신효경;김경남;정경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449-458
    • /
    • 2016
  • 강박스거더교의 온도하중을 위한 유효온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강박스거더교의 시험체와 실교량에서 온도 데이터가 2년간 측정되었다. 이 실험체와 실교량의 온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대기온도에 대한 최고 및 최저 유효온도를 2014년, 2015년, 그리고 연속 2년간 산정하였다. 산정된 최고, 최저 유효온도는 EURO code, 그리고 현행 도로교 설계기준과 서로 비교 평가되었다. 2년간(2 year) 측정한 데이터 기준으로 최대 유효온도와 Euro code의 결정계수는 교량 시험체에서 R=0.894, 실교량에서 R=0.927이 산정되며, 최저 유효온도는 교량 시험체에서 R=0.992, 실교량에서 R=0.813이 산정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는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의 최고온도와 유사하든가 약간 초과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측에 의한 강박스거더교의 상하 온도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of Steel Box Girder Bridge by Field Measurement)

  • 이성행;박영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45-551
    • /
    • 2018
  • 외국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면 온도 경사모델의 국내적용을 위하여, 강상자형 교량 시험체를 폭 2.0m, 높이 2.0m, 길이 3.0m, 상부슬래브 두께 0.2m로 제작하고, 2016년 여름동안 시험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된 대기기온과 기상청의 대기기온을 비교 검토하였다. 측정된 24개의 온도 측정 게이지 중 Euro code와 온도차를 비교 할 수 있는 4개의 온도 게이지를 선정하고, 측정온도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각 지점에서 최대 온도차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 대기온도를 결정하여, 최대 최저 온도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도차(경사)를 산정하고 온도차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온도차 모델은 Euro code의 온도분포와 비교할 때 슬래브 최상단에서 $0.9^{\circ}C$, 중앙 경사부에서 $0.3{\sim}0.4^{\circ}C$의 온도차를 보여 Euro code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산정한 표준오차 계수는 표준오차의 2.71~2.84배로 산정되었고, 일정한 범위의 값을 보였다. 제시된 온도차 모델은 국내 온도설계의 온도차 산정 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상자형교의 설계온도하중을 위한 최고 유효온도 산정 (Evaluation of Maximum Effective Temperature for Estimate Design Thermal Loads in Steel Box Girder Bridges)

  • 이성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33-139
    • /
    • 2016
  • 합리적인 설계 온도하중을 산정하기 위하여, 강상자형교의 시험체가 실물 규모로 제작되었다. 박스단면의 크기는 폭 2.0m, 높이 2.0m, 길이 3.0m이며, 슬래브의 두께는 17 cm이다. 온도 게이지를 사용하여 1년간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인근에 시험체와 유사한 방향으로 설치된 같은 형식의 실교량에서도 같은 기간에 온도를 측정하였다. 교량시험체는 21지점, 실교량에서는 19지점에서 온도를 측정하고 각 측점에서 측정온도를 통계 처리하여 추세선과 표준 오차를 산정하고, Euro code에서 제시한 대기온도 $24^{\circ}C{\sim}38^{\circ}C$에서 각 지점의 유효온도를 산정하였다. 교량시험체 모형에서는 $35^{\circ}C$이상에서 Euro code와 실교량과 비교하여 유효온도가 $2^{\circ}C{\sim}3^{\circ}C$ 정도 높게 산정되었다. 제시된 시험체와 실교량에서 Euro code에 대한 유효온도의 상관계수는 87.4%, 93.2%로 계산되었다. 국내 도로교설계기준에 따르면 합성교에서 최고기온은 $40^{\circ}C$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산정된 실교량과 Euro code의 유효온도와 거의 근접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각 지역별 최고 온도에 대한 Contour map에서 산정한 대기온도별 최고온도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효온도를 접목하면 국내 교량 설계 시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기준이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콘크리트 바닥판의 아스팔트 두께에 따른 강박스거더교의 상하 온도차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of Steel Box Girder Bridge Considering Asphalt Thickness of Concrete Deck)

  • 이성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02-60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강박스거더교 바닥판의 아스팔트 두께에 따른 단면 상하 온도차를 산정하고, 이에 따른 설계기준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아스팔트 두께 0mm, 50mm, 100m, 150mm의 4개 강박스거더 모형시험체를 제작하였다. 각 모형에 17~23개의 온도 센서를 상부 콘크리트와 강박스거더에 부착하였다. 이 센서 중 Euro code와 온도차를 비교 할 수 있는 6개의 온도 게이지를 선정하였다. 각 모형의 기준 대기온도에서 최대 온도와 최저 온도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도차(경사)를 산정하여, 4개 각 모형에서 온도차 모델을 제시하였다. 0mm ~ 100mm 온도차 모델은 슬래브 최상단에서 Euro code의 온도차와 비교할 때 -0.9~-1.5도 더 낮은 온도차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측정된 온도차는 Euro code와 비교하여 5.45%~8.33%정도의 오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정된 온도와 평균온도의 차를 표준오차의 배수로 산정한 표준오차 계수는 최상단과 최하 단에서 평균 2.50 ~ 2.51배의 값으로 일정한 범위에서 산정되었다. 제시된 온도차 모델은 국내 교량 온도설계 온도차 기준 산정 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압라인 EGR을 적용한 대형 디젤엔진의 EURO-4 규제 대응 전략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Strategy of Applying Low Pressure Loop EGR for a Heavy Duty Diesel Engine to Meet EURO-4 Regulation)

  • 하창현;이승재;이교승;전광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15-122
    • /
    • 2006
  • EGR system has been widely used to reduce NOx emission in light duty diesel engines, but its application to heavy duty diesel engine is not common yet. In this study, simulation model for EURO-3 engine was developed using commercial code WAVE and then verifi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in performance and emission. Possibility to meet EURO-4 regulation using modified EURO-3 engine with LPL EGR system was studied. Each components of the engine was modeled using CATIA and WaveMesher. The engine test mode was ESC 13 and injection timing and quantity were changed to compensate engine performances, because applying EGR causes power reduction. As a results of the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EURO-4 NOx regulation could be achieved by applying LPL EGR system to current EURO-3 engine even with some BSFC deterioration.

계측에 의한 콘크리트 슬래브가 없는 강박스거더의 상하 온도차 연구 (Study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Web of Steel Box Girder without Concrete Slab by using Gauge Measurement)

  • 이성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350-7356
    • /
    • 2014
  • 합리적인 온도 설계기준을 검토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가 없는 강박스거더 모형 시험체를 제작하고, 박스거더교의 웨브와 다이아프램에 높이별로 온도게이지를 부착하고 일년 중 최고 기온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 교량에서 온도를 측정하고 모형시험체의 온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콘크리트 슬래브가 없는 교량 시험체 박스거더의 웨브와 다이아프램의 높이에 따른 온도차를 분석하고, 온도경사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Euro Code와 95.8%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국내 온도설계의 기본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강박스거더의 유효온도 산정 (Calculation of Maximum Effective Temperature of Steel Box Girder Bridg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성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96-103
    • /
    • 2018
  • 교량의 온도 설계하중의 기준이 되는 유효온도는 통계적 방법에 의한 분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을 구축하여 유효온도를 산정하였다. 강상자형교 시험체를 폭 2.0m, 높이 2.0m, 길이 3.0m, 상부슬래브 0.2m로 제작하였다. 21개의 온도 게이지를 부착하여 3년간(2014~2015) 온도를 측정하였다. 2014~2015년 측정된 온도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고, 그 결과를 Euro code와 비교하였다. Euro code와 통계분석값과의 오차율은 전체 측점에 대하여 4.1%로 분석되었다. 2016년 측정된 온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을 검증하고, 교량 유효온도를 산정하였다. 이 결과는 통계분석 값과 약 3.97%의 차이를 보였다. 이 정도의 오차율은 인공신경망에 의한 분석이 공학적인 측면에서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신경망은 교량의 온도하중 설계 시 그 지역의 최고 대기온도, 교량 형식, 상부 아스팔트 두께 등 입력 값만 알면 교량의 유효온도를 간편히 예측해 줄 수 있다.

Effect of high temperatures on local bond-slip behavior between rebars and UHPC

  • Tang, Chao-We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1권2호
    • /
    • pp.163-178
    • /
    • 2022
  • This paper aimed to study the local bond-slip behavior between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UHPC) and a reinforcing bar after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A series of pull-out tests were carried out on cubic specimens of size 150×150×150 mm with deformed steel bar embedded for a fixed length of three times the diameter of the tested deformed bar.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bond stress-slip relationship were compared with the Euro-International Concrete Committee (CEB-Comite Euro-International du Beton)-International Federation for Prestressing (FIP-Federation Internationale de la Precontrainte) Model Code and with prediction models found in the literature. In addition, based on the test results, an empirical model of the bond stress-slip relationship was proposed. The evaluation and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modified CEB-FIP Model code 2010 proposed by Aslani and Samali for the local bond stress-slip relationship for UHPC after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was more conservative. In contrast, for both room temperature and after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the modified CEB-FIP Model Code 2010 local bond stress-slip model for UHPC proposed in this study was able to predict the test results with reasonable accuracy.

콘크리트 박스거더교의 설계 유효온도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 Temperature Calculation of Concrete Box Girder Bridge)

  • 이성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40-745
    • /
    • 2020
  • 콘크리트 박스거더교의 합리적인 설계 온도하중을 산정하기 위하여, 1개의 교량시험체를 제작하였다. 교량시험체에 설치된 23개의 온도 게이지에서 1년간의 여름과 겨울기간에 30분 간격으로 하루에 48세트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상부 콘크리트와 측벽, 하부슬래브에 두께에 따른 온도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두께에 따라 여러 온도게이지를 부착하였다. 각 측점에서 측정된 온도를 통계 처리하여 추세선과 표준오차를 산정하고, 대표측점의 온도분포와 추세선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Euro code에서 제시한 대기온도에서 여름철의 최고 유효온도와 겨울철의 최저 유효온도를 각각 산정하였다. 최고 유효온도는 35℃ 이상에서 Euro code와 비교하여 1.5~2℃ 높게 산정되었고, 최저 유효온도는 -13℃~-19℃에서 0.5~1.1℃로 더 낮게 분석되었다. 양산지방의 50년빈도 최고 및 최저 기온에 따른 본 연구의 유효온도와 비교해 보면, 최고 유효온도는 4.7℃ 높게, 최저 유효온도는 4.5℃ 더 낮게 산정되었다. 점점 높아지는 기후변동을 고려하고, 본 분석의 결과를 반영하면, 현 온도설계기준은 그 범위를 더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요구곡선 산정방법에 따른 능력스펙트럼법의 유효성 평가 및 비교 (Effect of Demand Spectrums on the Accuracy of Capacity Spectrum Method)

  • 김홍진;민경원;박민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3-42
    • /
    • 2004
  • 비선형시스템을 등가의 선형시스템으로 치환하는 것은 해석이 간단하다는 매우 중요한 장점을 제공하지만 구조물의 실제 비선형거동을 정확하게 모델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능력스펙트럼법의 정확도는 정확한 등가주기와 등가감쇠비의 산정과 구해진 등가감쇠비에 따른 탄성응답스펙트럼의 수정방법과 그에 따른 요구곡선의 산정에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곡선의 산정방법에 따른 능력스펙트럼법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TC-40과 Euro Code에서 제안한 감소 계수 등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Newmark와 Hall의 수정계수에 기초로 한 ATC-40에서 주어진 감소 계수에 의해 구해진 가속도 응답에 비해 Euro Code에서 주어진 감소 계수를 이용하여 구한 가속도 응답이 실제 평균 응답에 보다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사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방법과 절대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요구곡선을 산정하여 능력스펙트럼법의 정확성을 검증해 보았다. 절대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결과가 전반적으로 유사가속도 응답을 이용한 결과에 비해 커짐을 알 수 있었고, 능력스펙트럼법이 전반적으로 응답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러한 큰 값을 주는 것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탄성 최대 강도에 대한 항복 강도의 비가 커질수록 그리고 항복 후 강성비가 커질수록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거의 없어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