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lote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카드뮴이 해양 섬모충(Euplotes crassus)의 ABC Transporters와 GST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Cadmium on the Expression of ABC Transporters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in the Marine Ciliate Euplotes crassus)

  • 김호균;김세훈;김지수;이영미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9-87
    • /
    • 2016
  •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은 독성이 높아 수서 생물과 인간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섬모충 Euplotes crassus에서 카드뮴이 해독 기전에 관여하는 ABC transporters (ABCs)와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총 7개의 ABCs 유전자와 1개의 GST 유전자 일부를 클로닝하여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고, 카드뮴(0.1~1 mg/l) 노출에 따른 이들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quantitative real time RT-PCR (q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과 계통 분석 결과 이들 ABCs 유전자가 ABC transporter의 특징을 가지며, ABC-B/C family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GST 유전자는 theta isoform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뮴에 8시간 노출시킨 결과 ABC transporter 유전자의 경우 ABCB21 유전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GST 유전자는 0.5 mg/l에서 가장 높은 유전자 발현 양상을 보였으며, 1 mg/l에서는 발현량이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E. crassus의 ABC transporter와 GST 유전자가 카드뮴에 의해 유도되는 독성에 대한 방어 기전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Tetrodotoxin Occurrence in Ciliated Protozoa and Possible Bacterial Role in its Toxification

  • Do Hyung Ki;MAEDA Masachika;NOGUCHI Tamao;SIMIDU Usio;KOGURE Kazuhiro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56-861
    • /
    • 1996
  • The occurrence of TTX in ciliated protozoa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clarify tetrodotoxin (TTX) accumulation mechanisms in marine organisms. Tissue culture bioassay, HPLC, and GC-MS analyses confirmed the occurrence of TTX in Euplotes mutabilis and also in bacteria isolated from the culture medium. Fluorescently labeled bacteria (FLB) were prepared with those bacteria, and predation by E. mutabilis was observ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TX in bacteria can be transferred to higher trophic levels through the food chain.

  • PDF

한국산 미기록 하모충류의 재기재 (New Recods of Hypotrichs from Korea (Protozoa, Ciliphora, Hypotrichida))

  • 신만균;김훈수;김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3호
    • /
    • pp.15-22
    • /
    • 1992
  • 서울의 한강과 관악산 계류에서 채집하여 실험실에서 배양한 하모섬모충류가 한국 미기록 종인 Paruroleptus lepisma Wenzel, 1953과 Euplotes aediculatus Pierson, 1943으로 밝혀져 형태 및 통계처리에 관한 연구를 실시했다. 서식처에서 채집한 표본과 실험실에서 배양한 것을 각각 생체 과찰하고 Protargol로 염색하여 섬모하부구조를 관찰하고 통계처리를 하였으면 재기재하였따.

  • PDF

GTPase Activity Analysis of eRF3 in Euplotes octocarinatus

  • Song, Li;Dong, Jun-Li;Zhao, Ya-Qin;Chai, Bao-Feng;Liang, Ai-Hu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9호
    • /
    • pp.1283-1287
    • /
    • 2010
  • In eukaryotes, eRF3 participates in translation termination and belongs to the superfamily of GTPases. In this work, the dissociation constants for nucleosides bound to Euplotes octocarinatus eRF3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eRF1a were determined using fluorescence spectra methods. Furthermore, a GTP hydrolyzing assay of eRF3 was carried out using an HPLC method, and the kinetic parameters for GTP hydrolysis by eRF3 were determined. Consistent with data from humans, the results showed that eRF1a promoted the binding of GTP to eRF3 and the GTP hydrolyzing activity of eRF3. However, in contrast to the lack of GTP binding in the absence of eRF1 in human eRF3, the E. octocarinatus eRF3 was able to bind GTP by itself. The nucleotide binding affinity of the E. octocarinatus eRF3 also differed from the human data. A structure model and amino acid sequence alignment of potential G domains indicated that these differences may be due to valine 317 and glutamate 452 displacing the conserved glycine and lysine involved in GTP binding.

종 식별 분자 마커 개발을 위한 섬모충류 Euplotes의 small subunit ribosomal RNA 변이성 분석 (Analysis of Genetic Variation in the Small Subunit Ribosomal RNA Gene of Euplotes Ciliates for Developing Species Diagnostic Molecular Marker)

  • 김선영;김세주;민기식;양은진;유만호;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25-233
    • /
    • 2007
  • Small subunit ribosomal RNA (18S rRNA)의 loop 부위들의 변이를 분석하여 해양 섬모충류의 종 특이 유전적 마커로써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9종의 Euplotes (Hypotrichia : Ciliophora)에 대하여 18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V1, V3 그리고 V5 부위는 종간 변이가 없었고, V7과 V8은 종간변이는 높으나 염기서열의 길이가 각각 44 bp와 79 bp로 길이가 짧아서 충분한 유전 정보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이 부위들은 종특이 분자마커로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V2와 V4부위는 $1.75{\sim}20.61%$로 높은 변이성을 보여주었고 종간 계통 관계도 잘 나타내었다. 또한 염기서열의 길이도 각각 123 bp와 306 bp로 마커 개발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18S rRNA의 V2와 V4부위는 섬모충류의 종 특이 분자 마커 개발에 가장 적합한 부위라는 결론을 얻었다.

울릉도산 육상 하모섬모충류(유모 문, 하모 목) (Hypotrichs (Ciliophora, Hypotrichida) from Ullung Islarid, Korea)

  • 신만균;김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0-166
    • /
    • 1995
  • The seven hvpotrichs inhabiting the representative aquatic and terrestrial habitats of Ullung Island, Holosticho svlvotlca, Gonostom urn affine, Histriculus co uicola, H. muscomm, SDlonvchio mytilus, Aspidisca ciccadu and Euplotes m uscicolu are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from Ullung Island. Of these, two species of eonostomum affine (Stein, 1859) and fupfotes muscicofc Kahl, 1932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The total seven species are listed and two newly recorded species from Korea are redescribed with illustrations.

  • PDF

황토와 화학물질 살포에 의한 적조생물Cochlodinium polykrikoides 제어에 따른 미소생물그룹의 단주기변화 (Short -term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ies after control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y yellow clay and chemical compound dosing in microcosm experiments)

  • 백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71-2977
    • /
    • 2015
  • 본 연구는 마이크로코즘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을 살조하기 위해 사용된 화학물질과 황토의 처리 후 미소생물그룹의 단주기 변화를 파악하였다. 황토 4g 과 10g에서 적조생물의 살조효과는 20%이하로 낮게 관찰된 반면, 화학물질(TD49)의 $0.8{\mu}M$ 에서는 대상생물이 85%이상 제어되었다. 미소생물그룹에서 박테리아는 모든 실험군에서 조사 1일 후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2일 후 가장 높게 관찰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대조적으로 종속영양편모충은 조사 3-5일 경과 후 현저하게 높게 증가하였다. TD49처리군에서 박테리아가 2일후 점차적으로 감소한 것은 포식자인 HNF의 증가로 기인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피각을 형성하지 않는 섬모충 Uronema sp.,의 증가는 박테리아의 증가 후 2-3일의 시간차를 두고 반응하는 특색을 관찰하였다. 즉 이는 적조생물이 살조된 후 분해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의 현저한 증식을 일으켰고, 이와 함께 포식자 HNF와 Uronema sp.는 일정의 시간차를 두고 높은 개체수를 유지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살조물질 TD49처리군에서 두드려졌다. 특히. 사이즈가 큰 무각섬모충 Euplotes sp. 개체수는 HNF와 Uronema sp.의 현저한 증가 후 높게 관찰되는 특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살조제 TD49물질은 미소생물그룹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이는 박테리아, HNFs 섬모충으로 이어지는 먹이망의 에너지 흐름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었다.

eRF1aMC and $Mg^{2+}$ Dependent Structure Switch of GTP Binding to eRF3 in Euplotes octocarinatus

  • Song, Li;Jia, Yu-Xin;Zhu, Wen-Si;Chai, Bao-Feng;Liang, Ai-Hu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176-183
    • /
    • 2012
  • Eukaryotic translation termination is governed by eRF1 and eRF3. eRF1 recognizes the stop codons and then hydrolyzes peptidyl-tRNA. eRF3, which facilitates the termination process, belongs to the GTPase superfamil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MC domain of eRF1a (eRF1aMC) on the GTPase activity of eRF3 was analyzed using fluorescence spectra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indicated eRF1aMC promotes the GTPase activity of eRF3, which is similar to the role of eRF1a. Furthermore, the increased affinity of eRF3 for GTP induced by eRF1aMC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Mg^{2+}$. Changes in the secondary structure of eRF3C after binding GTP/GDP were detected by CD spectroscopy. The results revealed changes of conformation during formation of the eRF3C GTP complex that were detected in the presence of eRF1a or eRF1aMC. The conformations of the eRF3C eRF1a GTP and eRF3C eRF1aMC GTP complexes were further altered upon the addition of $Mg^{2+}$. By contrast,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formation of GTP bound to free eRF3C or the eRF3C eRF1aN compl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erations in the conformation of GTP bound to eRF3 is dependent on eRF1a and $Mg^{2+}$, whereas the MC domain of eRF1a is responsible for the change in the conformation of GTP bound to eRF3 in Euplotes octocarinatus.

우리나라 조석지각 기준 표기에 대한 고찰 (Overview of Tidal Phase-lag References Used in Korea)

  • 변도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34-238
    • /
    • 2007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선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세 가지 조석지각 기준(관측지점 경도 기준 지각, 표준시 자오선 기준 지각, 그리니치 자오선 기준 지각)을 사용하여 오고 있다. 이처럼 통일되지 않는 조석지각 정보체계는 전체적인 우리나라 조석의 특성이나 변화를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올바른 조석지각 기준의 상호전환과 관련하여, 세 가지 지각기준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에 앞서 조석 조화분해 과정에서 분조의 지각이 어떻게 계산되며, 조석예측프로그램에선 계산된 지각이 어떻게 사용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것을 바탕으로 과거 일부 연구에서 불명확하게 기술된 조석지각의 정의에 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