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hausiid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94초

여름철 동해 남부에 출현하는 청어(Clupea pallasii) 유어의 일섭식 변동 (Diel Feeding Activity in Summer of Juvenil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7-271
    • /
    • 2017
  • 본 연구는 여름철 동해 남부 연안에 출현하는 청어 유어 301개체의 일섭식율 변동을 조사하였다. 어류 시료는 여름철에 3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청어 유어의 공위율(ratio of empty stomach), 만복도(stomach fullness), 위내용물중량지수(stomach contents index, SCI), 만복도지수(stomach fullness index, IF)는 낮과 밤의 변화에 따라 뚜렷하게 변동하였다. 공위율은 밤에 높았지만, 다른 지수들은 낮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일몰 직전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낮 동안 청어 유어의 위내용물은 요각류(Copepoda)와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로 구성되어 있었고, 자정 근처에는 거의 소화되어 확인이 어려운 먹이생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앨퉁이(Maurolicus muellerj)의 산란생태 및 식성 (Spawning Ecology and Feeding Habits of Maurolicus muelleri)

  • 차병열;김주일;김진영;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6-183
    • /
    • 1998
  • 우리나라 주변 해역 중 심층에서 많이 출현하며,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앨퉁이(Maurolicus muelleri)의 산란생태 및 식성을 조사하였다. 앨통이는 동해 남부 연안역을 중심으로 연중 산란하며, 주 산란기는 8월 전후로 나타났다. 앨퉁이의 난소에서 관찰된 포란수는 5,072~32,117개 범위였다. 난경은 3개의 크기군으로 구분되었으며, 0.8mm 이상 크기의 난모세포가 산란된다고 볼 때, 1회 산란수는 약 250개로 추정되었다. 앨퉁이는 동물플랑크톤을 먹는 어류로 부유성 요각류(Copepoda)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 외에 단각류(Amphipod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새우류(Caridea) 및 곤쟁이류(Mysidacea) 등의 갑각류를 잡아먹었다.

  • PDF

한국 동해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청어(Clupea pallasi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 손승현;정재묵;김현지;김경률;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24-228
    • /
    • 2022
  • The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were examined based on 333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Sampling was conducted in April, June, and September 2019 and February 2020. The total length of the C. pallasii ranged from 11.9 cm to 37.7 cm. Euphausiids (93.0%,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especially Euphausia, comprised the primary diet of the pacific herring, in addition to amphipods, copepods, and fishes. The dietary composition of C. pallasii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by size. As body size of C. pallasii increased, the mean number of preys per stomach (mN/ST) and the mean weight of preys per stomach (mW/ST) tended to increase.

가덕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주둥치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Spot Nape Ponyfish, Leiognathus nuchalis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 정재묵;박주면;허성회;김현지;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3-38
    • /
    • 2015
  • 주둥치의 위내용물 분석에 이용된 개체는 총 350개체로 가덕도 주변해역에서 2010년 10월부터 2011년 9월까지 매월 채집하였다. 주둥치의 체장범위는 3.0~9.8 cm를 보였다. 주둥치는 주로 요각류와 게류 유생, 새우류 유생, 갯지렁이류 등을 섭식하는 육식성 어류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 난바다곤쟁이류, 단각류, 이매패류 유생, 복족류 유생 등도 발견되었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주둥치는 성장함에 따라 주요 먹이생물을 전환하였는데 3~5 cm 사이의 개체들은 요각류를, 5~7 cm 사이의 개체들은 게류 유생과 새우류 유생을, 8~10 cm의 개체들은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무게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동해에서 대왕오징어(Architeuthis sp.)와 산갈치(Regalecus russellii)의 출현 (Occurrence of Architeuthis sp. and Regalecus russellii in the East Sea, Korea)

  • 이해원;양재형;손명호;이재봉;전영열;황강석;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56-861
    • /
    • 2013
  • The first occurrence of a giant squid, Architeuthis sp. (one specimen), and the oarfish, Regalecus russellii (two specimens) in the East Sea were report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in January and February 2010. The giant squid (Architeuthis sp.) stranded at Pohang in Jan. 2010 was female, 175 cm in mantle length (ML), 506 cm in tentacle length (TL), and 33.9% FL/ML, it contained common squid beaks. Both stranded oarfish (Regalecus russellii) at Uljin (Jan. 2010) and Yeongdeok (Feb. 2010) were male, with total weigths (TW) of 18,506 and 21,703 g and total lengths (TL) of 3,850 and 3,670 mm, respectively. The stomach of the first was empty, while that of the second was filled with euphausiids. In the East Sea, giant squid have been stranded 14 times in five areas, while 17 oarfish have been stranded in nine areas. Since 1990, the two species have been found most often at Pohang.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채집된 전갱이(Trachurus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ack Mackerel , Trachurus japonicus ,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차병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3호
    • /
    • pp.320-327
    • /
    • 1998
  •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채집된 전갱이(체장 4~15cm)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전갱이의 주요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a), 단각류(Amphipods), 공쟁이류(Mysidacea)등의 갑각류였다. 특히 요각류가 위 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다. 그 외에 십각류(Decapoda), 난바다공쟁이류(eEuphausiacea), 모악류(Chaetognatha), 갯지렁이류(Polycheata), 어란 및 자어 등이 위내용물 중 소량 발견되었다. 요각류 중에서는 Paracalanus parvus, Acartia clausi 그리고 Calanus sinicus 가 많이 섭이되었는데, 특히 C. sinicus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전갱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작은 전갱이들은 그들의 먹이를 요각류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였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위내용물 중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그 대신 비교적 큰 먹이생물인 단각류 및 곤쟁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여수 금오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유어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juvenile Trachuru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Korea)

  • 김희용;임유나;정재묵;김현지;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637-643
    • /
    • 2015
  • The diet composition of juvenile Trachurus japonicus were studied using 195 specimens collected from 2013 (May, June, July, and September) to 2014 (May, June, and July)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Korea. The size of juvenile T. japonicus ranged from 4.3 to 15.2 cm in body length (BL). Juvenile T. japonicus was carnivorous and crustaceans predators that consumes mainly consumed copepod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decapods, cirripedians, nematods, chaetognathans, fishes, amphipods, cumaceans, ostracods and euphausiids. The graphical method for feeding strategy revealed that juvenile T. japonicus is an opportunistic and specialized predator on copepods, especially Corycaeus. affinis, and showed narrow niche width. Juvenile T. japonicus showed ontogenetic diet change. Small size group individuals (4.3-8.0 cm BL) mainly consumed copepods. The portion of this prey item decreased in the large size group (8.0-15.2 cm BL), and this decrease was paralleled with increased consumption of decapods.

남해안에 출현하는 눈볼대 (Doederleinia berycoide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허성회;오현수;박주면;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4-289
    • /
    • 2011
  • The feeding habits of the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were studied using 650 specimens collected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The siz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6.3 to 35.2 cm. D. berycoides is a piscivore that consumes mainly teleosts such as Engraulis japonicus, Acropoma japonicum, and Myctophum nitidulum. Of the fish species Engraulis japonicus was the preferred prey. D. berycoides also eats small quantities of shrimps, amphipods, euphausiids, mysids, and crabs. D. berycoide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its feeding habits. Smaller individuals (5-10 cm SL) fed mainly on shrimp. The proportion of shrimp decreased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paralleled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fish. Fish accounted for almost all of the stomach contents of individuals larger than 15 cm SL.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percentage dry weight (%DW) identified two size groups: group A (<15 cm SL) consumed primarily shrimp and fish; and group B (15< cm SL) preyed exclusively on fish. There was little seasonal change in the diet of D. berycoides, but shrimp constituted 41.8% of the summer diet in %W.

고리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웅어 (Coilia nasu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Coilia nasu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 백근욱;박주면;추현기;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3-167
    • /
    • 2011
  • 2005년 1월에서 12월까지 고려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웅어(Coilia nasus) 107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웅어의 표준체장(SL)은 8.4~29.5 cm 범위였다. 웅어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웅어는 새우류(Macrura)와 요각류(Copepoda)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canivore)어류였다. 단각류(Amphipod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화살벌레류(Chaetognatha)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이 않았다. 웅어의 섭식전략에 대한 도해적방법은 웅어가 섭식특화종(specialist predator)임을 보여주었다. 웅어는 작은 체장군과 큰 체장군에서 모두 새우류와 요각류를 주로 섭식하여 체장군과 위내용물 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개체당 섭식한 평균 먹이개체수와 건조중량은 큰 체장군에서 더 높았다.

남해에 출현하는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

  • 성기창;김도균;진수연;서호영;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73-79
    • /
    • 2021
  • The feeding habit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were investigated using 329 specimens collected from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 S. japonicus is mainly a piscivore, consuming small fish such as Engraulis japonicus (%RI: 81.0 %). The diet of Chub mackerel also includes small quantities of thaliaceans, euphausiids, and amphipods. We calculated the trophic level as 3.92 for S. japonicus. The dietary composition of S. japonicu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ize, but differed with season. As the body size of S. japonicus increased, the mean weight of prey within the stomach (mW/ST) increased (One-way ANOVA,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