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commia umoid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홍화자와 두충 혼합 추출물이 MG-63 조골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n the Extract of Carthami Semen and Eucommiae Cortex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 심재근;이재혁;여명구;박정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3
    • /
    • 2013
  • Carthamus tinctorius L. and Eucommia umoides Oliver are often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for reducing damage to the liver, kidney, bone and muscl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cell viability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with methanol extracts of Carthami Semen (CS) and Eucommiae Cortex (EC) alone or in a mixture (CS+EC). Osteoblast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MTS assay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s. The cell viability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MG-63 osteoblast cells treated with the CS+EC mix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e CS+EC mixture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bone health through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 cells.

두충 열수추출물 급여에 의한 갱년기 유도 모델 흰쥐의 지질, 당질 및 항산화 대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 (Water extracts of Eucommia ulmoides improve lipid, glucose, and antioxidant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이상철;정수임;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04-609
    • /
    • 2016
  • 본 연구는 폐경 이후 여성에 대한 두충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in vitro 항산화 활성 분석 및 암컷 흰쥐의 난소를 절제한 후 폐경을 유도하여, 두충 열수추출물 보충 급여에 따른 지질, 당질대사 및 항산화 대사 관련 지표를 분석하였다. In vitro 항산화 활성분석 결과 환원력은 0.79(O.D. at 700 nm)로 대조군인 BHA (0.51, O.D. at 700 nm)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물실험 분석결과로는 난소절제군에 비해서 난소절제 후 두충추출물 급여군이 체중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혈장 지질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도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지방생합성 효소활성도에는 OVX-EU군에서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지방조직에서는 유의적차이가 없었다. 지방산화 효소 활성은 지방조직에서 OVX-EU군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의 당질대사 관련 효소 활성은 난소절제군들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혈장 adipokine 중 OVX군은 렙틴과 아디포넥틴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TNF-{\alpha}$는 높게 측정되었다. 항산화 효소 활성은 OVX-EU군이 간조직에서 GR과 PON, 신장조직에서 SOD, CAT, GR 활성이 OVX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들은 폐경이후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만관련 대사장애의 개선 및 예방소재로서 두충의 기능성 소재 개발도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