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ene Glycol

검색결과 1,171건 처리시간 0.031초

노출평가를 위한 TLV 근거 - 2-에톡시 에탄올 &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ETHYLENE GLYCOL ETHYL ETHER, EGEE & ETHYLENE GLYCOL ETHYL ETHER ACETATE, EGEEA)

  • 김치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387호
    • /
    • pp.21-25
    • /
    • 2020
  • 소변에서 2-에톡시 아세트산(EAA)의 존재는 2-에톡시 에탄올이나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의 노출이 있었다는 특정 지표가 된다. 2-에톡시 아세트산은 2-에톡시 에탄올 또는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의 생물학적 시료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생물학적 노출지표(Biologial Exposure Index, BEI)는 주중 마지막 교대가 끝날 때 채취한 소변의 2-에톡시 아세트산 측정으로 권고하고 있다. 측정치는 주중 누적 노출의 지표이다. 작업환경 노출의 주요 흡수 경로인 피부 흡수는 2-에톡시 아세트산의 소변 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 PDF

Polyester의 개질에 관한 연구 (제8보). 유연한 디올 Unit로 개질된 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결정화 거동 (Copolyester Studies VIII. Crystallization Behaviour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dified by the Flexible Diol Unit)

  • 안태완;김정호;정한모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6-284
    • /
    • 1988
  • 1,3-propane diol, 1,5-pentane diol, 1,6-hexane diol, 분자량이 300인 poly(ethylene glycol)등을 제 3의 디올로 사용하여 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개질하여 개질된 copolyester의 결정화 거동을 비교하였다. 개질된 copolyester 중 제 3의 디올 함량이 약 4몰%인 경우 유리전이온도 부근에서 승온시키면서 유리전이온도로 부터 일정 온도 위에서의 결정화 속도를 비교하거나, 녹는점 부근에서 등온 결정화시켜 동일 과냉각 상태에서의 결정화 속도를 비교하면 가해진 디올의 길이가 짧을수록 결정화 속도가 크게 촉진되었다. 이에 반해 녹는점 부근에서 강온시키면서 동일 과냉각 상태에서의 결정화 속도를 비교하면 가해진 디올의 길이가 길수록 결정화 속도가 크게 촉진되었다.

  • PDF

Ethylene Glycol과 Diethylene Glycol의 자연발화 특성과 활성화에너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uto Ignition and Activation Energy of Eth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 김정훈;최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22
    • /
    • 2016
  • 자연발화 특성은 가연성물질의 취급 및 화재예방을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는 ASTM D2155식 발화온도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Ethylene Glycol (EG)과 Diethylene Glycol (DEG)의 자연발화 특성 및 활성화에너지를 고찰하였다. 최소자연발화온도의 경우 EG는 시료량 $75{\sim}160{\mu}{\ell}$의 범위에서 $434^{\circ}C$를 구하였고 DEG는 시료량 $130{\sim}150{\mu}{\ell}$의 범위에서 $387^{\circ}C$를 측정 하였다. 또한 시료량 $140{\mu}{\ell}$에서 순간발화온도를 측정한 결과 EG는 $579^{\circ}C$, DEG는 $569^{\circ}C$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의 측정값을 Semenov 방정식으로부터 최소자승법에 의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구한 결과 EG는 25.41 Kcal/mol, DEG는 14.07 Kcal/mol을 구하였으며 DEG의 최소자연발화온도, 순간발화온도 및 활성화에너지가 EG보다 낮아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thylene glycol에 의해 액화된 폐지로부터 polyester 제조 (Preparation of Polyester from Wastepaper Liquefied by Ethylene Glycol)

  • 이동헌;김창준;김성배
    • KSBB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193-198
    • /
    • 2011
  • Polyester was prepared through the 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watsepaper liquefied by ethylene glycol and carboxylic acid. Liquefaction was carried out at the previously determined condition of 100 minutes, $160^{\circ}C$, and 3% sulfuric acid, and the hydroxyl value of the liquefied product was 411 mg KOH/g. In order to remove bubbles produced during the curing step, the method to introduce a slight nitrogen stream into reaction vessel and/or the method to preheat a polyester film at $85^{\circ}C$ before curing step we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But if curing temperature was $130^{\circ}C$, simple method to cure a film for 5 hours at $130^{\circ}C$ without using both methods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The polyesters prepared with various carboxylic aci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and maleic acid was best among them. Also, the effect of reaction time and temperature, C/H (carboxyl group/hydroxyl group) ratio, and type of additive on the crosslinkage of polyester was investigated. Lithium hydroxide or citric acid as additive was used to enhance the crosslinkage of polyester and citric acid was proved to be much more effective than lithium hydroxide. The effect of reaction temperature on the crosslinkage was marginal, but the crosslinkage decreased above $130^{\circ}C$. The crosslinkage was 86% when the polyester was prepared at an optimum condition such as $130^{\circ}C$ and 15 minutes of reaction condition, 1.5 of C/H ratio, $130^{\circ}C$ and 5 hours of curing condition, and 10% addition of citric acid.

Ethylene glycol을 사용한 폐지의 액화 및 액화물로부터 polyester 제조 (Wastepaper Liquefaction Using Ethylene Glycol and Polyester Preparation from the Liquefied Wastepaper)

  • 이동헌;김창준;김성배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51-256
    • /
    • 2010
  • e-ma폐지를 사용하여 액화와 가교단계를 거쳐 polyester를 제조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EG를 사용하여 산 촉매하에서 폐지를 액화하였다. 폐지의 액화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반응시간, 반응온도, 그리고 촉매농도이고 각각 60~120분, $150{\sim}170^{\circ}C$, 그리고 2~4% 범위 내에서 실험하였다. 최적조건은 100분, $160^{\circ}C$, 3%이었고 이 조건에서 액화수율은 67%이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최적조건에서 얻어진 폐지 액화물을 succinic anhydride와 반응시켜 polyester를 제조하였다. 반응시간과 carboxyl기/수산기의 비가 각각 35~50분, 1.5~2.5의 범위 내에서 가교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polyester의 가교도는 80~90%로 반응조건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아미드기를 가지는 개시제를 이용한 [Poly(ethylene glycol)Methyl Ether] Methacrylate의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 glycol)methyl ether] Methacrylate Using an Amide-Based Initiator)

  • 이효경;이선구;백현종
    • 폴리머
    • /
    • 제31권6호
    • /
    • pp.550-554
    • /
    • 2007
  • 최근 ATRP를 이용하여 단백질에 조절된 구조의 고분자를 연결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때, ATRF 개시제는 단백질에 있는 일차아민에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도입할 수 있다. 그런데, 형성되는 $\alpha$-할로 아미드의 경우, 상대적으로 늦은 개시 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원하는 구조의 고분자를 얻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미드기를 가지고 있는 개시제를 이용한 [poly(ethylene glycol)methyl ether] methacrylate(PEGMA)의 ATRP 반응에 대한 적절한 반응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PEGMA는 FEG를 가지로 가지는 단량체로서 고분자로 만들어졌을 때, 물에 잘 녹고 단백질과의 비특이적 상호작용이 적어 단백질과의 결합을 통한 바이오 응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미드기를 가지는 개시제를 이용하여 PEGMA를 성공적으로 중합하기 위한 최적의 중합 조건은 할로겐 교환 반응과 활성 감소제를 사용해서 얻을 수 있었다.

주조된 매크로 다공성 Poly(glycidyl methacrylate-co-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막대를 이용한 카페인과 트립토판의 분리 (Separation of Caffeine and Tryptophan Using Molded Macroporous Poly(glycidyl methacrylate-co-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Rods)

  • 김룡매;염홍원;노경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5호
    • /
    • pp.603-608
    • /
    • 2005
  • 주조된 매크로 다공성 poly(glycidyl methacrylate-co-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막대를 간단한 주형 과정을 거쳐서 실험실 내 튜브모양의 주형인 크로마토그래피 칼럼($4.6{\times}100mm$)을 사용하여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만들었다. 이는 에폭시 그룹이 유도된 일체형 칼럼과 황산을 이용한 에폭시드 그룹의 화학적인 변형과정을 이용하였다. 단량체 및 포로겐(세공을 생성하는 물질)의 비율, 온도 등 중합반응의 조건을 변화시켜서 세공크기를 조절하여 물질의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주조된 일체형 칼럼을 이용하여 카페인과 트립토판을 분리하였으며, 중합원료조성이 일체형 칼럼의 효율과 선택도 그리고 분리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을 통한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Low Molecular-weight Poly (Propylene Carbonate)-Poly (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s through $CO_2$/Propylene Oxide Copolymerization)

  • 이상환;;전종엽;이분열
    • 청정기술
    • /
    • 제17권3호
    • /
    • pp.244-249
    • /
    • 2011
  •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을 통하여 고분자 사슬 내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가 공존하는 저분자량의 블록 공중 합체를 합성하였다. 고활성의 촉매를 사용한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 반응에 단말기로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분자량 조절제로 투입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단말기 한쪽 끝에만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였을 때는 PEG-block-PPC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지고, 단말기 양쪽 끝 모두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였을 때는 PPC-block-PEG-block-PPC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는 $^1H$-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구조 분석을 하였고 GPC를 통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