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nic Korean Chines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3초

외국인 집단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태도 분석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Foreign Groups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 장보윤;임성택;주동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374-387
    • /
    • 2010
  • This study presum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tereotypical attitude toward foreign groups is critical factor t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422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ted repeatedly seven ethnic groups on thirteen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which consist of four factors; attractiveness-unattractiveness, superiority-inferiority, rationality-irrationality, and aggressiveness-compliance. A series of repeated measure MANOVAs were used to test variability i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ereotypical attitude across foreign groups. They rated Japanese the most positive, but Chinese the most negative, and others more or less positive in overall attitude. Their ratings of each ethnic group also varied across four attitude factors. Japanese and Whites were classified into the most attractive and superior, and moderately rational and aggressive groups. In contrast, Chinese were rated as the most unattractive, inferior, irrational, and moderately aggressive one. Southeast Asians were rated as attractive, compliant, and inferior one. In contrast, Arabians were rated as unattractive, aggressive, and moderately superior one. Finally, North Koreans were rated moderately superior, the most aggressive and irrational one. All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북한춤의 해외전파 :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North Korea's Overseas Transfer Dance - Focusing on Japan and China -)

  • 김채원
    • 공연문화연구
    • /
    • 제22호
    • /
    • pp.185-221
    • /
    • 2011
  • 본 연구는 해외교포사회에 북한춤이 전파되는 과정과 그 발전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 것으로, 해외에 거주하는 민족집단으로서의 재외동포들의 무용문화, 특히 재중, 재일조선인들의 무용문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생각해보았다. 문헌연구 중심으로 살펴본 논점의 결과, 재일조선인사회와 중국조선족자치구의 무용문화의 출발점엔 공통적으로 최승희춤이 있었으며, 두 민족집단은 최승희로부터 직접·간접적으로 춤을 배우거나 작품을 전수받았으며, 최승희가 정리한 조선무용기본을 기초훈련으로 하여 무용을 습득했다. 또한 무용전수 및 훈련기관은 재일조선인사회의 경우 북한의 체계와 같이 무용소조를 따로 두고 그곳에서 무용훈련을 통해 재능있는 인재를 배출하여, 전문예술단에서 활동하게 하는 시스템을 유지해 왔다. 이에 반해 중국조선족자치구는 연변대학과 중앙민족대학내에 무용학과가 배치되어 있어 그곳에서 조선춤을 전수 교육함으로써 재능있는 무용인재들을 배출해 왔으며, 한국의 무용교육체계와 유사한 면을 볼 수 있다. 무용기초훈련과 작품의 경향면에서는 재일조선인사회에서는 북한에서 실천하고 있는 무용기초훈련과 기본훈련을 그대로 전수하고 있으며, 작품도 북한춤을 대표하는 명무나 민속무용을 그대로 전수받아 공연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조선족자치구에서는 최승희가 정리한 조선무용의 기초와 작품을 그녀로부터 직접 훈련받거나 전수받았으나, 최승희의 제자들은 그녀가 세운 무용기초를 발전시켜 중국소수민족의 춤기법 등을 접수하면서 중국조선족만의 무용훈련체계를 세워나가면서 한국춤과의 교류도 성사시켜 북한춤보다는 자유롭게 창작성을 가미한 중국조선족 무용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전수된 시기로 보면, 재일조선인사회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1970년대에 들어서는 직접적인 평양방문을 통해 전수와 교육을 받았고, 1990년대에는 북한무용가를 직접 일본으로 초청하여 무용기초훈련을 교육받음으로써 북한춤에서 볼 수 있는 스펙터클한 양상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하겠으나, 중국조선족자치구에서는 1950년대에 평양과 북경에서 최승희로부터 직접적인 지도를 받았고, 이후에는 북한무용가들로부터의 직접적인 지도보다는 북한예술단의 중국방문을 계기로 무용영향을 받는 한편, 1990년대 이후부터는 한국춤을 흡수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조선족만의 색다른 무용문화를 창조해 왔다. 같은 민족이면서도 살아가는 지역과 그 지역을 구성하는 민족집단의 구성체계 및 정치체제에 따라 북한춤의 전수과정 및 발전양상도 유사하지만 각각의 아이덴티티를 보장하는 독자적인 특색을 지닌 무용문화를 형성하며 발전시켜 왔음을 알 수 있으며, 재일조선인사회의 무용문화는 조총련의 통제하 강제적 문화접변에 의한 무용문화의 변동을, 중국조선족자치구의 무용문화는 자발적 문화접변에 의한 자유로운 차용과 발전으로의 변동을 살필 수 있었다.

국내 외국인 집중거주지의 유지 및 발달 - 서울시 대림동을 사례로 - (The Sustain Growth of the Foreigners' Residential Concentration in Korea : A Case Study of Daelim-dong, Seoul)

  • 이정현;정수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04-318
    • /
    • 2015
  • 최근 장기체류 외국인이 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들의 집중거주지가 형성되었고 그것이 장기적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견된다. 본 연구는 외국인 집중거주지가 유지되고 발달하는 동력과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국내 외국인 중 가장 수가 많은 중국 국적인의 대표적인 집중거주지인 서울시 대림동을 사례로 그들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주거, 노동, 급양, 교육, 여가, 교통, 공동체 등 존재기본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림동은 모든 존재기본기능을 수행하면서 중국 국적인의 한국 생활을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신규 이주민을 흡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외국인 이주민 집중거주지 형성에 대한 기존 논의는 선진국 출신 외국인에게는 '자민족 단합'을, 개도국 출신 외국인에게는 '이주국에서의 차별'을 주요 요인으로 보았다. 하지만 그 유지와 발달 측면에서는 개도국 출신 외국인의 집중거주지도 자민족 단합이 투영된 존재기본기능을 통해 성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소수민족사회 형성과 사회문화적 적응: 캐나다 밴쿠버의 사례연구 (Formation of the Minority Societies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of the Chinese and Korean Immigrants in Vancouver, Canada)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21권2호
    • /
    • pp.144-181
    • /
    • 1998
  • 이 연구는 캐나다 밴쿠버에 거주하는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생활양식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캐나다의 이민정책을 개관하고, 1996년 인구센서스와 각종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중국인 및 한국인 이민자의 증가추세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김씨 성을 가진 한국인의 숫자를 활용하여 밴쿠버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규모를 추정하는 작업도 시도되었다. 이 논문의 초점은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적응형태를 설명하고, 화교사회와 한인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맞추어져 있다. 이를 위해 소수민족 이민자의 적응형태가 현지사회에의 참여수준과 문화정체성의 강약에 의하여 네가지 범주로 나누어지는 분석틀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민족정체성이 강하며, 고유의 문화적인 전통과 생활양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중국인들의 활발한 현지사회진출에 비해서 한국인 이민자들은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활동영역과 민족적 울타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인들의 사회적 통합 및 문화정체성의 유지와 관련해서는 자발적 결사체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중국인과 한국인들의 장기적인 문화변용의 전망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PDF

교외 지역 아시아인의 거주지 분리에 관한 연구 -뉴욕 웨체스터 사례- (Changing Residential Segregation of Asians in Westchester, New York)

  • 백영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4-791
    • /
    • 2016
  • 최근 아시아인 인구의 교외화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취락 패턴은 과거 이민자들의 격리 과정과는 다른 궤도를 따르며, 또한 소수민족 집단이 집중되는 주거 입지도 상이하여 교외 지역에서 복잡한 민족 모자이크가 재현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뉴욕 시 외곽에 위치한 웨체스터 카운티의 아시아인 소수민족의 거주지 패턴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의 주요 아시아인 민족인 인도인, 중국인, 필리핀인, 일본인, 한국인 등 5개 주요 집단의 거주지 패턴을 2000년과 2010년 센서스 인구 자료에 기초한 지도화와 병행하여 격리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지역 아시아인 민족 집단의 거주지 분리 현상은 분산된 집중화로 특징을 지울 수 있었다. 또한 각 민족 집단의 인구가 집중하는 근린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 PDF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high sodium foods and dish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mong Malaysian subjects

  • Choong, Stella Sinn-Yee;Balan, Sumitha Nair;Chua, Leong-Siong;Say, Yee-How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3호
    • /
    • pp.238-245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a list of 15 commonly available high sodium Malaysian foods/dishes, dis cretionary salt use, and their possible association with demographics, blood pressur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mong 300 Malaysian university students (114 males, 186 females; 259 ethnic Chinese, 41 Indians; 220 lean, 80 overweight). French fries and instant soup noodle were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and most frequently consumed salty food, respectively, while salted fish was least preferred and least frequently consumed. Mal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ake frequency of at least 6 of the salty foods, but the preference of most salty foo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 Ethnic Chinese significantly preferred more and took more frequently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Malaysian foods like asam laksa (a Malaysian salty-sour-spicy noodle in fish stock), salted biscuits and salted vegetable, while Indians have more affinity and frequency towards eating salty Western foods. Body Mass Index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ake frequency of canned/packet soup and salted fish while waist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ference of instant noodle. Also, an increased preference of potato chips and intake frequency of salted biscuits seemed to lead to a decreased WHR. Other than these, all the other overweight/obesity indicators did not seem to fully correlate with the salty food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Nevertheless,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asam laksa seemed to be significant negative predictors for blood pressures. Finally, increased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high sodium shrimp paste (belacan)-based foods like asam laksa and belacan fried rice seemed to discourage discretionary salt use. In conclusi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the high sodium belacan-based dish asam laksa seems to be a good predictor for ethnic difference, discretionary salt use and blood pressures.

중국 조선족무용의 역사적 변천과 작품 경향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and Trends in the Dance of Ethnic Koreans in China)

  • 조영;윤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623-634
    • /
    • 2022
  • 중국 조선족 무용은 원형 그대로 전해 내려왔으며, 간혹 인명 또는 지명들이 바뀌면서 일부 무용들이 약간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지만, 한민족의 뿌리에 바탕을 두고 발전시킨 창작무용이다. 따라서 그 유산에는 한민족의 고유한 심리와 정서, 예술적 기호, 창조적 재능이 배어있으면서도 조선족만의 역사와 생활이 반영되어 있는 독특한 형태의 무용예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족 무용의 역사적 변천과 시대별 대표작품들을 통해 조선족 무용의 정체성을 알아보았으며, 한민족의 뿌리를 지니고 있는 조선족무용의 특성을 알아보면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체성 확립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들을 바탕으로 조선족 무용의 개념 및 형성과정을 파악하여 조선족 무용사를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대표작품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무용은 단순한 춤이 아닌 중국 조선족 무용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지키는 것이 현시대에 가장 큰 과업이 아닐까 사료된다.

중국 연변 조선족 농업인 생활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Farmer's Life in Yanbian, China)

  • 최윤지;김경미;이진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3권1호
    • /
    • pp.185-193
    • /
    • 2006
  • The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on the farmer's life in Yanbian, China. The major findings are: 1) The people in farmhouse use wood as a fuel for cooking and the method of cooking is traditional style using their iron pots. The floor heating of the house and cooking food can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Most of the farmer use pump system. 2) Korean traditional foods should be inherited and they usually eat rice. Kimchi, Soy-sauce, and Hot-pepper paste are mostly made at home. 3) Housewives do actively participate in income management. Results indicated that overall Korean immigrants in China maintain their ethnic identity, ethnic language and culture.

  • PDF

20세기 중반 이후 중국 일상 복식의 변화 (Changes in Everyday Wear in China Since the Mid-20th Century)

  • 오단;임은혁;김순영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89-105
    • /
    • 2014
  • This study researched the changes in everyday wear in China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13 Chinese persons who were familiar with the public awareness and donning practices of the Chinese from 1949 to now,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ategorical analysis and subject analysis. First of all, due to the influences of Zhongshan-zhuang, Liening-zhuang and Bulaji, political characteristics were represented the most during the reconstruction time, and during this time, Jieyueling also became famous. Second, during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government used many mechanisms to control people's thought, so Junfu/Junbianfu and sailor shirt were the most common clothing. Third, information from the West began to enter the Chinese market and it started to influence and change the Chinese thinking. Suit, bat wing sleeves, colorful skirt, flares and jeans became more and more popular in the reform and open times. Fourth, during the personality expression time, people not only copied fashion icons' styles, but also created new styles like sexy, cute, ethnic, K-pop, street, and DIY style, in order to show their personality. Finally, during these 60 years, the changes of Chinese everyday wear were characterized by de-politicization, ready-made,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국내 복고주의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 199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ve Featur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trospective Fashion - focusing on 1990s -)

  • 최해주;안은경
    • 복식
    • /
    • 제53권2호
    • /
    • pp.137-151
    • /
    • 2003
  • Fashion photographs from leading monthly fashion magazines in 1990s were analyzed. The types and the formative feature characteristics and the aesthetic values of domestic retrospective fashion were studied.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types of domestic retro fashion were historicism, ethnic, ecology. Retro fashion was expressed through applying and reappearing silhouette, detail. fabric and image of the costumes of the past. 2. Renaissance. Baroque, Rococo styles and the costumes and styles of 1960s and 1970s were mainly applied in domestic fashion. 3. Orientalism was emphasized and Korean traditional styles and Chinese costumes were expressed mainly in domestic fashion. Fashion trends recurrent and intimate to the nature were expressed in patterns, fabrics, dyeing and silhouettes of nature. 4. The formative featur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tro fashion were recurrence, purity. tradition and decoration. As retro fashion applies costumes of the past newly, it supplies unlimited possibilities to the present fashion which seeks versa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