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competency group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울산지역 치과위생사의 실무능력 관련요인 분석 (The Study of Factors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Dental Hygienist)

  • 이가령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55-163
    • /
    • 2005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실무능력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규명하기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이고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6월부터 7월까지 총 87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7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무능력은 장에 의해 개발된 실무능력에 관한 행동지표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3개 영역의 실무능력을 4개의 실무능력군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총 실무능력간의 관련성은 SPSS 11.5 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에 따른 실무능력은 과학적 실무능력군과 심미적 실무능력군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실무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2.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인경우가 기혼인경우보다 윤리적 실무능력군을 제외한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학력과 근무지에 따른 실무능력에서는 전문대졸이 대학 재학 이상보다 4개의 실무능력군에서 실무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근무지에 따라서는 윤리적 실무능력군을 제외한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 치과의원이 높게 나타났으나 별다른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4. 월 급여에 따른 실무능력은 월급여가 높을수록 과학적 실무능력군과 심미적 실무능력군에서 실무능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 경력에 따른 실무능력은 경력이 높을수록 과학적 실무능력이 높게 나타난 반면 다른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는 별다른 유의성이 없었다. 6. 같이 근무하는 구성원에 따른 실무능력을 살펴보면 치과위생사만 근무하는 경우보다 간호조무사와 같이 근무하는 경우 과학적 실무능력군에서 높은 실무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 PDF

근로자건강센터 직원의 핵심역량 요구 및 역량수행 (Core Competency Requirements and Implementation of the Workers Health Center Employees)

  • 김희걸;이연숙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4-424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ascertain the requirements and implementation of core competencies for employees of the a workers' health center.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a four-step process: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expert opinions, and a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mong 119 employees of the National Workers' Health Center.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eleven core competencies and 37 sub-competencies were derived in three areas: Competence as a social worker, competence to perform duties, and competence for maintaining expertise. The key demands for core competencies were "health consultation" and "understanding of small businesses.". They responded that they needed to "maintain an ethical attitude" and "consult on workers' health.". The largest score difference between core competency requirements and competency implementation was "collaboration with the community.".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mpetencies not only for competencies with high core requirements, but also for relatively low competencie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employees of the Workers' Health Center to effe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crises such as COVID-19.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역량에 대한 보유수준 분석 및 전직지원방안 연구 (A Study on Outplacement Countermeasure and Retention Level Examination Analysis about Outplacement Competency of Special Security Government Official)

  • 김범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33호
    • /
    • pp.51-80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 역량에 대한 특정직 경호공무원들의 보유수준 조사를 통한 전직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특정직 경호공무원 중 전직관련 대상자로서 40대 이상 5급 사무관 이상 전직 유경험자인 전직 성공자와 전직 실패자, 전직 희망자인 전직 예정자 600명을 대상으로 지식역량군의 전문지식, 전직관련 지식, 자기이해, 조직이해, 기술역량군의 직무기술역량, 직무수행기술, 문제해결기술, 혁신기술, 커뮤니케이션기술, 조직관리기술, 위기관리기술, 경력개발기술, 인적네트워크 활용기술, 태도 및 감정역량군의 긍정적 태도, 적극적 태도, 책임감, 직업정신, 헌신적 태도, 친화력, 자기조절능력, 가치 및 윤리역량군의 윤리의식, 도덕성 등 4개 역량군 22개 하위역량의 보유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유효한 설문 응답자 153명의 4개 역량 군 22개 하위역량 항목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 현재 보유수준 값이 4.0이상인 전문지식, 긍정적 태도, 책임감, 윤리의식, 도덕성 역량 등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갖추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그 외 역량에 대해서는 보통이하 점수로 다소 낮게 나타나, 이들 역량들에 대해서는 아직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 강화를 위한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성공적인 전직지원방안으로서는 전직에 대한 인식과 개념을 재정립하고 현실을 직시할 수 있도록 눈높이를 낮추어야 하며, 전직에 필요한 역량으로서 다소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역량들에 대해서는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개발 및 강화 노력이 요구된다. 제도적 차원에서 이러한 전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퇴직 전 중 후 전직 교육훈련 강화 및 현 교육훈련체계 반영, 수요자 중심의 온-오프 상 교육훈련시스템 운영, 학습조직화 등 전직교육훈련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후 간호역량과 전공만족도의 차이 (A comparative study Nursing competency and Major satisfaction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 김은재;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37-243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후 간호역량과 전공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로 자료수집은 2019년 2월 18일부터 4월 23일까지 간호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8주간 임상실습 전·후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paried t-test, 피어슨 상관관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임상실습 후 간호역량은 실습 전보다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t=-1.73, p=.084), 간호역량의 하위요인 중 교육능력(t=-1.97, p=.050)과 윤리적 실무능력(t=-209, p=.038)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t=-2.45, p=.015). 임상실습 후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일반만족, 관계만족 및 인식만족이 간호역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식만족이 간호역량을 9.9%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편 및 전공만족도 중 인식만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Assessing Needs for Practical Training in Intensive Care Unit to Enhance Nursing Education: A Focus Group Interview

  • 박선아;김보경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5-70
    • /
    • 2024
  • Purpose : The demand for skilled critical care nurses and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practice-readiness gap underscore the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bridging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This would ensure safe, high-quality patient care and a stable workfor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ducational needs of critical care nurses to develop an essential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ddressing the practice-readiness gap they may encounter as new nurses. Methods : The study espoused a qualitative approach by utilizing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in South Korea in April and May 2022. A total of 11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focus groups, each consisting of three to four nurses from intensive care unit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interview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Ethical approval for the study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Results : Nursing education programs in intensive care units should prioritize fundamental nursing competencies such as basic nursing and physical examinations. Participants' critical care nursing education needs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hemes: holistic nursing competency, advancement of practical education, skilled communication, and systematic critical care nursing education. Conclusion : The study's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and guidelines for developing critical and intensive car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for nursing students.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유튜브 리터러시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Youtube Literacy Checklist for Digital Natives)

  • 김형진;정효정;권보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73-284
    • /
    • 2022
  • 유튜브 사용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유튜브를 가장 많은 시간 사용하는 연령대는 10대로 조사되고 있다. 어린이·청소년이 유해한 콘텐츠에 노출되는 것을 막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유튜브 콘텐츠를 건강하게 선택하고 활용하는 역량을 키워내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유튜브 리터러시란 무엇인지 규명하고,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 리터러시 역량의 정의를 구체화하고, 어린이·청소년의 유튜브 플랫폼 활용 안내·지도 시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해외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개념적 정의 및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및 교육자 검토를 통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체크리스트는 미디어 접근, 비판적 이해, 미디어 참여, 윤리적 활용 4개 범주의 10개 역량, 23문항을 포함한다.

자동차 신제품개발 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 분석 (A Study on the Competencies of Automotive Professional Engineers in Korea)

  • 김주영;임세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2-217
    • /
    • 2008
  • 차량기술사들은 자동차산업의 현장에서 신제품기획, 마케팅, 연구개발, 제조 및 관리 등의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한다. 이들의 전문 기술역량은 기업과 조직의 경쟁력을 증진시키는 원동력이다. 이 연구는 차량기술사들의 전문적 업무역량 특성과 중요도를 규명하여 자동차 기술 분야의 자격검정과 공학교육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부 연구문제는 첫째, 전문가(차량기술사, 자동차 관련 전공 대학교수, 자동차 전문가)들은 추론된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별 중요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차량기술사의 업무역량에 관한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 응답자의 소속집단(차량기술사, 자동차공학 전공 대학교수, 자동차 전문가)간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자들은 현직에 근무하고 있는 차량기술사 등 자동차 신제품 개발관련 전문가 협의 및 개인면담을 통해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을 추출한 다음, 차량기술사 108명, 자동차 및 기계공학전공 대학교수 49명, 기업체의 자동차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52명(72%)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에 대한 설문지는 영역 및 항목별로 빈도 및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제동장치설계, 프로젝트진행리더십, 미래예측과 변화관리, 디젤엔진설계, 환경대책, 제품기획과 안전에 대한 기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사총무와 재무회계, 노무관리 등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업무영역평균의 집단별 중요도는 섀시설계영역, 엔진 변속기설계영역, 제품기획 마케팅영역, 자재 물류 품질관리영역, 디자인 차체 의장설계영역, 판매 정비 및 경영지원영역, 소재 및 엔진제조영역, 프레스 및 조립공장 제조 영역 순으로 나타냈다. 자동차개발업무관련 차량기술사의 전문적 업무역량중 고객편익과 안전관련 신기술 응용력, 경쟁력 있는 신제품개발 능력의 중요도가 높았다. 응답집단별로는 교수집단이 타집단 보다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 평가 평균값이 높았고, 다음은 차량기술사, 차량전문가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