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Perceptio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91초

소비자 관점에서의 패션기업의 이상적 CSR과 실제적 CSR 비교 (Comparison of Ideal versus Actual Fashi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rom a Consumer Perspective)

  • 안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31-644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aps between ideal and actu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by comparing levels of CSR perceptions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differences between CSR perception, perceived quality, and affective trust from a consumer perspective. Data from 315 adult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 nationwide online survey. In order to compare ideal and actual CSR, the study employed the approach of latent means analysis (LMA) and multi-group comparisons within the framework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 of latent means comparis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ptions on fashion CSR across ideal and actual contexts. Only actual economic CSR was evaluated higher than in the ideal context and the effect size of inter-management CSR was the largest among seven domains. Multi-group SEM revealed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ideal and actual CSR structural models that exhibited relationships of CSR perception, perceived quality, and affective trust. The paths from internal management and ethical CSR to perceived quality and from economic and philanthropy CSR to affective trust were different across ideal and actual contexts. Implying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CSR perceptions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qu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marketers narrow the gap between ideal and actual CSR.

빅데이터를 이용한 비건 패션 쟁점의 분석 -한국, 중국, 미국을 중심으로- (Perception and Trend Differences between Korea, China, and the US on Vegan Fashion -Using Big Data Analytics-)

  • 정지운;윤소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804-821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current trends and perceptions of veganism and vegan fashion in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Using big data tools Textom and Ucinet, we conducted cluster analysis between keywords. Further, frequency analysis using keyword extraction and CONCOR analysi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nations' perceptions of veganism and vegan fashion differ significantly. Korea and the United States generally share a similar understanding of vegan fashion. Second, the industrial structures, such as products and businesses, impacted how Korea perceived veganism. Third, owing to its ongoing sociopolitical tensions, the United States views veganism as an ethical consumption method that ties into activism. In contrast, China views veganism as a healthy diet rather than a lifestyle and associates it with Buddhist vegetarianism. This perception is because of their religious history and culinary culture. Fundament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using big data to extract keywords related to vegan fashion in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vegan fashion by comparing perceptions across nations.

낙태죄 허용한계에 관한 규범해석과 사회인식도 (The Study on Legal Analysis of the Abortion Regulations and National Survey)

  • 이인영
    • 의료법학
    • /
    • 제8권2호
    • /
    • pp.205-290
    • /
    • 2007
  • In Korea, abortion in the Criminal Law is an illegal act in exception of limited cases stated in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There are grounds on which abortion may be carried out - though the grounds are very limited and related such as emergency situation of woman's physical health, rape, incest and genetic diseases. The Criminal Law regulates the mother's act of abortion and the doctor's surgical performance of abortion.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prescribes the medical, ethical, and genetic grounds for the legal permission of abortion. Many people tend to abuse of abortion even though they are fully aware of its illegality. The law lead to be inconsistent with its enforceme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roposals about the legal analysis of the Abortion Regulations to reform the existing regulation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s. A national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telephone interview with Korean citizens from August 1th to August 31th in 2005. A total of 1,025 citizens (male: female = 49.2%:50.8%) were randomly sampl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opulation of 17 reg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91.4% of the respondents approved of abortion based on the medical grounds. Second 83.3%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abortion may be carried out based on ethical grounds for example rape. Third, 74.3% were agreed to abortion based on genetic diseases. Forth, 64.7% were approved the abortion that unmarried woman may be carried out. In contrast 45.0% were approved the abortion that girls may be carried out, whereas 46.4% were perceived that the abortion may not be permitted. Fifth, 58.3% were disagreed the permission of abortion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grounds. According to the survey Korean citizens seem to have positive perception on the abortion that may be carried out based on medical, ethical and genetic grounds. Whereas they worried about the abortion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grounds. Now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prescribes the medical, ethical, and genetic grounds for the legal permission of abortion. But this law does not include social and economic grounds. In cases of when the mother has a impossibility to breed her child because of her social situations and financial conditions, we should accepted the legal acceptance of abortion due to social and economic grounds.

  • PDF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韓)·중(中) 소비자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the Formation of Trust: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Korean-Chinese Consumers)

  • 박종철;방광수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4호
    • /
    • pp.101-121
    • /
    • 2012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에 대한 평가와 제품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고 있으며, 나아가 이들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고찰하고 있다. 기존 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는 신뢰의 차원을 세 차원으로 구분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네 차원이 각각의 신뢰차원에 미치는 차별적인 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인식차이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분석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은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경제적 책임활동이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정직성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법률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한국 소비자든 중국 소비자든 기업의 법률적 책임 활동은 정직성 신뢰와 전문성 신뢰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소비자들과 다르게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법률적 책임활동이 호의성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윤리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한국 소비자들의 경우, 기업의 윤리적 책임활동이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기업의 윤리적 책임활동이 전문성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끝으로 기업의 자선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 기업의 자선활동 노력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정직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 모두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 소비자 모두에게서 기업의 자선적 책임활동 노력이 전문성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가치 인식, 환경적 동기 및 지각된 장벽의 영향 분석 (Analyzing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Perception, Environmental Motives, and Perceived Barrie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Vegan Cosmetics)

  • 이은희;배승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43-1054
    • /
    • 2023
  • 비건 화장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소비자의 환경 및 윤리적 가치 지향이 강화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소비자의 가치 인식과 환경 동기, 그리고 지각된 장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300명의 비건화장품 사용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PLS-SEM 분석을 진행한 결과, 금전적 가치, 사회적 가치, 브랜드 가치, 감정적 가치, 품질 가치, 그리고 환경 지식이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 효과 분석에서는 이미지 장벽과 가치 장벽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성능 지도 분석을 통해, 감정적 가치가 비건 화장품의 구매의도를 강화하는 전략적 결정에 중요한 핵심 요인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비건 화장품 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소비 태도 활성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기여를 제공한다.

영재와 학력우수 아동의 행동특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 (Teachers' Perception of Behavior Characteristics Between Gifted and High Achievers)

  • 이영주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3-302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the gifted(N=210) and the high achievers(N=1l5). The participations in this study were 200 teachers who rated their 325 students' behavior characteristics in 25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U.S.A rating of behavior characteristics in learning style, motivation, creativity, and leaderships by teachers indicated differences in keen observation, rapid insight into cause-effect relationship, a large storehouse of information, language fluency, absorption/task persistent, preference for own learning activities, concerns for moral/ethical issues, and a diversity of interests between groups. No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underlying principles, organization, curiosity, creativeness, motivation, initiating activities in areas of personal interest, directing group activities, and intellectual playfulness/imagination were found in addition to som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 PDF

영재지도교사, 영재학생 및 학부모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Scienced-Gifted Education, Science-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about Science and Scientist)

  • 심병주;윤희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5호
    • /
    • pp.715-72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및 그 학부모의 과학에 대한 인식과 과학자에 대한 외적, 내적 이미지 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교육지원청 초등과학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의 영재지도교사 34명, 영재학생 222명, 학부모 107명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인식 검사와 과학자 이미지 검사(Draw-A-Science-Test)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세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생들은 학부모나 교사에 비해 과학과 사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으며, 과학공부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에 비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과학자에 대한 외적 이미지에 있어서 세 집단 모두 정형화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과학자의 내적 이미지에 있어서는 정서적 윤리적 측면보다 인지적 측면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 중 근면성, 상상력, 타인 염려, 의견 존중, 재미, 예술 감각, 인간 존중, 평화 등의 영역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교사나 학부모의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출처로 영화, 과학 잡지, 위인전 등에서 세 집단 모두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나, 각 집단별 응답 비율이나 경향성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생명공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 (Social Perception on Biotechnology in Korea)

  • 조성겸;윤정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343-369
    • /
    • 2001
  • 생명공학의 사회적 함의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는 일반 시민의 인식과 형성과정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생명공학에 대한 ELSI (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연구의 일환으로 필자는 생명공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지형을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이 조사 프로젝트의 한 부분으로 생명공학에 대한 인지도 수준과 태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찾아보았다. 인식조사는 전국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표본은 유층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조사결과 의료 관련 생명공학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가 많았지만, 유전정보의 사회적 관리 및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해서는 부정적 태도가 긍정적 태도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아니면 더 많았다. 그리고 인지도 수준이 높을수록 태도가 더 명확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민들의 태도는 아직 잠정적인 느낌 수준인 경우가 많으며,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명공학에 대한 사회적 함의에 대한 논의가 보다 건설적이기 위해서는 우선 생명공학에 대한 정보의 생산과 유통이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공공도서관의 ESG경영이 도서관 인식, 이용자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Public Libraries' ESG Management on Its Perception, User Satisfaction, and the User's Intention to Revisit)

  • 정미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03-328
    • /
    • 2024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ESG경영이 도서관 인식, 이용자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25개와 경기지역 6개 등에서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247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ESG경영의 환경과 사회는 도서관 인식과 이용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으며, 도서관 인식은 이용자 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마지막으로 이용자 만족도는 재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ESG경영이 도서관 인식, 이용자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일상적인 삶 속으로 확장된 효과를 다양하게 공공도서관에 반영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의미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ESG경영을 통해 긍정적이고 진정성 있는 만족도를 제공한다면 이용자들의 재이용 의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서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략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의의를 지닌다.

대학생의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과 구매행동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ir Trade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최아라;구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04-315
    • /
    • 2019
  • 공정무역은 공정한 거래, 인권, 환경을 배려하는 무역의 형태로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공정무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젊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공정무역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미래 소비의 주체인 대학생 소비자들의 공정무역 소비역량 특성 및 관여도, 윤리의식에 따른 유형화를 시도하고, 공정무역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 소비자는 일반형, 무관심형, 개인주의형, 공정무역실천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공정무역 상품의 구매경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정무역 관련 지식, 실천의지, 관심도로 나타났다. 결국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공정무역 및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학교 외에서는 언론 및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대학생들이 공정무역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증진할 수 있는 사회적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공정무역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품으로 시장 가치 확보를 위한 품질의 개선 및 소비자의 가격수용도 증진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