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Ac fraction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28초

Antifungal activity of pinosylvin from Pinus densiflora on turfgrass fungal diseases

  • Lee, Dong Gu;Lee, Seong Jun;Rodriguez, Joyce P.;Kim, Ik Hwi;Chang, Taehyun;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13-218
    • /
    • 2017
  • The objective was to examine the antifungal activity of Pinus densiflora extract for the control of turfgrass fungal diseases.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various fractions of n-hexane, methylene chloride (Ch), ethyl acetate (EtOAc), and n-butanol from P. densiflora were evaluated against Rhizoctonia solani AG1-1B, R. solani AG2-2IV, Sclerotinia homoeocarpa, R. cerealis, Pythium spp., and Colletotrichum graminicola. The Ch and EtOAc fractions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ythium sp. and C. graminicola in paper disc assay. The effective concentration to produce 50% mycelial inhibition ($EC_{50}$) using five discriminatory concentrations of pinosylvin (1) from the Ch fraction of P. densiflora was evaluated on R. solani AG1-1B, R. solani AG2-2IV, R. cerealis, and S. homoeocarpa. S. homoeocarpa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with the lowest mean $EC_{50}$ value ($8.426{\mu}g/mL$) among the four pathogens. Among the three Rhizoctonia pathogens, R. cerealis had the highest mean $EC_{50}$ value ($99.832{\mu}g/mL$) and R. solani AG2-2IV, with the lowest sensitivity, had the lowest $EC_{50}$ value ($39.696{\mu}g/m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inosylvin (1) from P. densiflora could be a valuable lead compound in the improvement of a novel antifungal agent.

Inhibition of Rat Lense Aldose Reductase by Flavonoids from Dandelions

  • Mok, So-Youn;Lee, Sul-Lim;Kim, Hye-Min;Lee, Jeong-Min;Lee, Dong-Gu;Ahn, Young-Hee;Park, Chun-Geon;Cho, Eun-Ju;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30-1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naturally occurring aldose reductase (AR) inhibitors isolated from Korean native plants. The MeOH extract and stepwise polarity fractions of dandelions were tested on rat lens AR inhibition in vitro. Of these, the EtOAc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dandelions (Traxacum coreanum, T. officinale, and T. ohwianum) exhibited an AR inhibitory activity ($IC_{50}$ values, 2.37, 1.73 and 2.68 ${\mu}g/ml$, respectively). A chromatography of the EtOAc fraction from the leaves of T. coreanum led to the further isolation of two flavonoids identified as luteolin and luteolin 7-O-glucopyranoside. These compounds exhibited strong AR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0.15 and 1.05 ${\mu}M$,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uteolin is a potent AR inhibitor within dandelions and that it could be a useful lead compound in the development of a novel AR inhibitory agent against diabetic complications.

현사시나무 수피에서 분리한 Grandidentatin Isomer의 입체구조결정 (Determination of Stereochemical Structure of a Grandidentatin Isomer from Populus alba × glandulosa Bark)

  • 권동주;김현석;이필호;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14-120
    • /
    • 2009
  • 현사시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기건 시킨 후 70% 아세톤 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순차 추출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분취 TLC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산 가수분해와 $^1H$-NMR, $^{13}C$-NMR, 2D-NMR 및 MALDI TOF-M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grandidentatin A(cis-2-hydroxycyclohexyl 6-O-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로 동정하였다. Grandidentatin A는 현사시나무 수피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문헌에 보고되지 않은 신규화합물이다.

Ergosterol Peroxide from Flowers of Erigeron annuus L.as an Anti-Atherosclerosis Agent

  • Kim, Dong-Hyun;Jung, Sung-Je;Chung, In-Sik;Lee, Youn-Hyung;Kim, Dae-Keun;Kim, Sung-Hoon;Kwon, Byoung-Mog;Jeong, Tae-Sook;Park, Mi-Hyun;Seoung, Nak-Sul;Baek, Nam-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541-545
    • /
    • 2005
  • Flowers of Erigeron annuus L. were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Repeated silica gel and OD S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EtOAc fraction led to the isolation of a sterol, through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using ACAT inhibitory activity measurements. From the physico-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determined to be an ergosterol peroxide (1), which has been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This compound exhibited hACAT-1 and Lp-PLA$_2$ inhibitory effects, with inhibitory values of 51.6 ${\pm}$ 0.9 and 51 .7 ${\pm}$ 1.2%, at a treatment concentration of 0.23 mM.

가지(Solanum melongena L.) 잎으로부터 페놀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 백동렬;이민지;백남인;서경화;이윤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2호
    • /
    • pp.103-106
    • /
    • 2016
  • 가지 잎으로부터 3종의 phenylpropanoid, 1종의 flavonoid glycoside, 그리고 1종의 norsesquiterpenoid glycoside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가지 잎을 80 % MeOH로 추출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물 층으로 계통분획을 실시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에 대하여 $SiO_2$,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5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spectroscopy 및 mass spectrometry의 spectroscopic data를 해석하여 이 화합물들을 caffeic acid (1), chlorogenic acid (2), cryptochlorogenic acid (3), panasenoside (4), 및 (6R,7E,9R)-4,7-megastigmadien-3-one-9-${\beta}$-${\small{D}}$-glucopyranoside (5) 로 각각 동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화합물 3과 4는 가지 잎에서 처음으로 분리, 동정하였다.

육의감비탕(肉薏減肥湯)의 항비만 효능 및 유효성분 규명 (Identification of Anti-obesity Constituents from Yukeuigambitang)

  • 왕사한;송효남;최원익;박종혁;정용준;강세찬;고성권;방대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1-276
    • /
    • 2012
  • 식품의 원료로 사용가능한 안전한 생약자원 유래의 항비만 소재 개발을 위하여 추출물 단계에서 3T3-L1 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 효과를 나타낸 육의감비탕의 생리활성 성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70% EtOH로 가열추출 후 계통학적인 용매분획법에 의해 분획한 분획물을 대상으로 3T3-L1 세포의 지방분해 억제시험을 실시한 결과 $CH_2Cl_2$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n-Hexane 분획물과 EtOAc 분획물에서도 약한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능이 관찰되었다. 이중 $CH_2Cl_2$ 분획물로부터 각종 chromatography 기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3종의 phenol류 화합물을 GC-mass 화합물사전 검색을 통해 동정 할 수 있었으며 이 중 1종의 화합물을 HPLC를 이용하여 단리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은 육의감비탕을 열추출하는 과정에서 구성하고 있는 생약 중 육계로부터 유래된 유도체인 것으로 추측되며 따라서, 육의감비탕에 포함되어 있는 육계로부터 육의감비탕 조제시 생성되는 물질로 판단된다. 육의감비탕은 선행연구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처방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단리된 화합물외에도 항비만 효과를 지닌 유사한 화합물들이 존재할 것으로 사료되어 향후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황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과피로부터 3종의 저분자 화합물의 단리·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 Low-molecular Compound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Fruit Peel)

  • 이유건;조정용;김찬미;정항연;이동이;김수로;이상현;김월수;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4-1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양배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분자수준에서 밝히고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섭취되고 있는 품종 중의 하나인 추황배를 대상으로 배 과피의 MeOH 추출물을 해리성을 이용하여 용매분획하였다. 얻어진 획분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에 초점을 맞추어 open column chromatography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행하여 3종의 항산화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그 결과, BuOH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1을, EtOAc-산성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2를, 그리고 EtOAc-페놀성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3을 단리하고, 각각 NMR 및 MS 분석을 행하여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3은 각각 2-carboxyl 4(1H)-quinolinone (kynurenic acid, 화합물 1), cis-coumaric acid (화합물 2), 그리고 vanillin(화합물 3)으로 동정되었다. 이 3종의 화합물 모두 본 연구에 의해 배로부터 처음 동정되었다. 본 연구결과가 배의 유용성 및 기능성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용규(Solanum nigrum)에서 HT29 세포에 대한 신규 항암 활성 단일 물질 분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Anticancer Compound from Solanum nigrum)

  • 윤희정;정종헌;현숙경;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4-241
    • /
    • 2014
  • 용규(Solanum nigrum)에 함유된 여러 성분 중 항암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 및 규명하고자 용규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CH_2Cl_2$, EtOAc, n-BuOH, $H_2O$로 유기용매 계통분획 하였다. 이 분획물 중 $H_2O$ 획분이 가장 뛰어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다시 용매별($H_2O$, 40% MeOH, 60% MeOH, MeOH)로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하여 4개의 fraction으로 나누었다. 이 fraction 중 $H_2O$ fraction에서 가장 뛰어난 세포 독성효과를 보였으며 몇 차례의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얻어진 활성 획분을 GC-MS 및 FAB-MS 분석하였다. 분자량이 416이었으며 GC-Mass를 통하여 library search를 행한 결과 분자식 $C_{28}H_{48}O_2$인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으로 확인되었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tomatine과 tomatidine의 HT29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한 결과, tomatine보다는 활성이 낮았으나 tomatidine 보다는 40 ${\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은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되어 있지 않은 물질로, 본 연구에서 최초로 용규에서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을 분리하였고,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고하였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의 정상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및 작용 기전 등의 추가 연구를 통해 천연 생리 활성 물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김치 용매획분이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의 심장, 신장 및 폐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mchi Solvent Fractions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of Heart, Kidney and Lung of Rabbit Fed a High Cholesterol Diet)

  • 전혜년;김현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50-255
    • /
    • 2003
  • 김치의 용매획분중 in vitro에서 LDL 산화억제 활성이 강했고 in vivo에서 지질저하효과가 있었던 디클로로메탄 획분, 에틸아세테이트 획분, 수용성 획분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의 심장, 신장, 그리고 폐에서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과산화물 함량은 심장이 가장 높고 신장이 가장 낮았으나, catalase와 GSBf-px활성은 심장이 낮았고, 신장은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Catalase, GSH-px 및 SOD의 활성은 모든 장기에서 1%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김치 용매획분군에서 낮았고 특히 디클로로메탄 획분군의 항산화효소 활성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이러한 결과는 김치 용매획분은 심장 신장 그리고 폐에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고, 그로 인해 지질 유리기의 생성이 적어, 각 장기에서 유리기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Against Escherichia coli)

  • 장형수;최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3-300
    • /
    • 2007
  • 10종의 한약재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의 E.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소목과 오배자의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은 5 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목단피와 황금등은 10 mg/ml 이상에서 항균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MeOH 추출물에서는 $1.4{\sim}8mg/ml$, EtOH 추출물에서는 $1.2{\sim}12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분획층 중 EtOAc층에서 성장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소목과 오배자 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각각의 추출물을 0, 100, 300 및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을 조사 한 결과 배양 후 24시간에 소목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6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1$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고, 오배자 추출물 무첨가구의 $OD_{620}$값이 0.5인 반면 5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sim}0.2$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질병을 일으키는 E. coli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한약재 추출물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