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Ac fraction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5초

Antioxidant Effect of Juglans mandshurica Bark Gallotannins

  • Si, Chuan-Ling;Bae, Young-S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1-4
    • /
    • 2007
  • The bark of Juglans mandshurica Maxim. was collected, extracted with acetone-$H_2O$ (7:3, v/v), fractioned with n-hexane, $CH_2Cl_2$ and EtOAc, then each fraction was freeze-dried to give some powders. A portion of the EtOAc (28.4 g) fraction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eluting with a series of MeOH-$H_2O$ and EtOH-hexane mixture. Four gallotannins, gallic acid (1), ellagic acid (2), 1,2,4,6-tetra-O-galloyl-${\beta}$-D-glucose (3) and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4), have been isolated from the EtOAc fraction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chemical evidence and spectrometric analysis such as NMR and M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n each fraction and the isolated gallotannins were evaluat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 PDF

Ellagitannins from Bark of Juglans mandshurica

  • Kwon, Dong-Joo;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480-485
    • /
    • 2009
  • Juglans mandshurica bark was collected and extracted with 70% aqueous acetone. The extracts were concentrated and then sequentially fractionated using n-hexane, $CH_2Cl_2$, EtOAc, and $H_2O$ to be freeze dried. A portion of $H_2O$ fraction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using aqueous methanol to isolate (S)-2,3-HHDP-D-glucopyranoside (1). Some of EtOAc fraction was also treated on a Sephadex LH-20 column using aqueous methanol and EtOH-hexane mixture to purify pedunculagin (2). The structures of these two epimeric ellagitannin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tools, NMR and MS.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Constituents Extracted from Leaves of Talipariti hamabo

  • Xu Hui Liang;Jung Eun Kim;Nam Ho Lee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2호
    • /
    • pp.145-149
    • /
    • 2023
  • Talipariti hamabo is a plant growing around salt marshes in the Lava Coast region of Jeju Island, Korea. In this study, the extract of T. hamabo leaves was investigated for the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their active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In the anti-inflammatory tests using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inhibited the nitric oxide production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Moreover, the EtOAc fraction re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6) as well as prostaglandin E2. In the anti-oxidative studies with DPPH and ABTS+ radicals, potent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EtOAc and n-butanol fractions. Upon the anti-bacterial tests using Staphylococcus epidermidis, EtOAc and n-butanol fractions exhibited good activities. Through the phytochemical studies on EtOAc fraction, three components were isolated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oleic acid (1), p-hydroxyphenethyl-trans-ferulate (2), nicotiflorine (3). Based on these results, the extract of T. hamabo leaves can be developed as natural resources for cosmetic applications.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 임재웅;이규봉
    • 한국조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리학회 2001년도 하계정기학술세미나
    • /
    • pp.29-41
    • /
    • 2001
  • 본 연구는 매실을 천연 항균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매실을 물과 methanol로 추출 한 extracts를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MeOH extract를 용매별로 분획한 각각의 fractions으로 paper disc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fractions을 비탁법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액체 배지 상에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변패균인 M. leteus는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에 의해서 저해 되었고 또한 $H_2O$ 획분과 CHCl$_3$ 획분도 저해활성을 보였다. 한편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uOH 획분 100ppm 첨가 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했다.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은 B. cereus, B. subtilis와 S. epidrimidis에 대해서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 cereus는 BuOH 획분 100ppm, B. subtilis는 EtOAc 획분 100ppm, S. epidrimidis는 EtOAc 획분 100ppm에서생육을 하지 못했다. G(-)세균은 매실성분에 의해서 저해를 받지만 G(+)세균에 비하여 저항성이 컸다. E. coli는 EtOAc 획분 500ppm에서 미약한 생육을 하엿으며 S. typhimurium는EtOAC 획분, BuOH 획분 모두 1,000ppm에서 생육을 전혀 하지 못했으며 P. vulgaris는 BuOH 획분 100ppm, V. parahaemolyticus는 BuOH 획분, EtOAc 획분 100ppm에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효모중 S. cerevisiae IF1950은 EtOAc 획분 500ppm에서 50%의 저해를 받았으며 S. cerevisiae ATCC4105는 1,000pm의 EtOAc fr. 에서 50%의 저해를 하였다. 항곰팡이 실험에서는 A. niger에서만이 아주 미약한 저해를 보였다.

  • PDF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e. et Zucc.)

  • Yoon Jae-Ho;Yang Deok-Chun;Song Won-Seob
    • Plant Resources
    • /
    • 제8권3호
    • /
    • pp.188-193
    • /
    • 2005
  • In order to discern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food product or ingredient of a new medicine, the leaf parts and fruit parts of Prunus mume was partitioned with various solv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Whe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MeOH extracts of leaf parts and fruit parts of Korea and China was compared, all of them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in EtOAc fraction. In case of Korean Prunus mume leaf parts showed that quantity required for $RC_{50}$ to be $27.04{\mu}g$ in EtOAc fraction and in case of China Prunus mume leaf parts, it was $23.31\;{\mu}g$ which is similar to that of ${\alpha}$-tocopherol ($22.14\;{\mu}g$) and showed the highest activation. In case of Prunus mume fruit parts MeOH extract, Korean fruit showed $29.16\;{\mu}g$, and Chinese fruit showed $31.21\;{\mu}g$ in EtOAc fraction and thus Korean fruit extract showed a higher activity of antioxidant than the Chines fruit extract. When the antioxidative activity between the fruit parts and leaf parts of Prunus mume was compared, the leaf parts showed a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 PDF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lerodendrum trichotomum Leaf Extracts)

  • 김지혜;송하나;고희철;이주엽;장미경;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0-645
    • /
    • 2017
  • 누리장나무의 잎과 줄기는 예로부터 항고혈압,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항염증 등을 치료하는 민간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누리장나무의 잎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성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누리장나무 잎의 ethanol (EtOH)로 추출물과 이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은 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BuOH) 분획물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OAc 분획물($78.08{\mu}g/mg$)과 BuOH 분획물($77.54{\mu}g/mg$)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각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EtOAc 분획물과 BuOH 분획물에서 높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및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CHCl_3$ 분획물($IC_{50}=4.43{\mu}g/ml$)과 EtOAc 분획물($IC_{50}=5.69{\mu}g/ml$)에서 높게 나타났다. EtOAc 분획물은 RAW 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된 nitric oxide (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IC_{50}=18.87{\mu}g/ml$). 또한, EtOAc 분획물($100{\mu}g/ml$)은 LPS로 지극한 RAW 264.7 세포에서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와 interleukin-6 (IL-6)의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2 (COX-2) 단백질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누리장나무 잎 추출물과 분획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해 준다.

파파야씨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QR 활성 (Antioxidant Capacit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Papaya Seed)

  • 유미희;이성규;임효권;채인경;김현정;이진호;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75-78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파야씨의 메탄올 추출몰과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quinone reductase (QR) 활성을 측정하였다. 파파야씨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74~125.99 ${\mu}g/mg$이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60~32.69 ${\mu}g/mg$으로 나타났으며, ethyl acetate (EtOAc) 분획층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다른 분획층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radicals,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hydrogen peroxide를 이용하여 파파야씨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EtOAc 분획층에서 가장 높은 free radical 억제능을 보였다. 또한 EtOAc 분획층 12.5~50 ${\mu}g/ml$의 농도에서 QR의 유도활성을 조사한 결과, 50 ${\mu}g/ml$의 농도에서 3.3배 정도의 QR 유도능을 보였다. 따라서 파파야씨의 EtOAc 분획층에 존재하는 물질들은 QR inducer 로써의 역할이 기대된다.

호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신피질에서 세포 손상과 지질과산화 방지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Walnut Uuglans sinensis Dode) and Its Protective Effect on Cell Injury and Lipid Peroxidation in Renal Cortical Slices)

  • 배계선;황을철;권채화;김순희;최춘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6-11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호두박 분획층의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기 위해 MeOH, $CH_2Cl_2$, EtOAc, BuOH 그리고 $H_2O$ 분획으로 추출하여 수행하였고, 각 분획층의 산화적 세포손상과 지질 과산화의 방지 효과를 in vitro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호두박의 free radical (DPP보 radical) 소거 활성은 EtOAc층에서 가장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종 억제율과 peroxynitrite $(ONOO^-)$ 소거 활성은 $CH_2Cl_2$층을 제외한 모든 분획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신피질 절편에 t-BHP의 처리 시 LDH의 방출과 지질과 산화를 증가시켰고 이러한 변화는 호두의 MeOH, EtOAc, n-BuOH 분획에 의해서 완전하게 방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두 추출물이 t-BHP에 의한 신장 세포 손상에 효과적이고 이러한 효과는 항산화력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호두 추출물에서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흰민들레 Ethyl Acetate 분획물 및 Flavonoid 화합물의 Hydrogen Peroxide와 Amyloid Beta에 의한 신경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Flavonoids from Taraxacum coreanum against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and Amyloid Beta)

  • 이아영;최지명;이설림;김현영;이상현;조은주
    • 생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3-268
    • /
    • 2013
  • The protective role against oxidative stress under cellular system using C6 glioma cells was studied using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luteolin (1), and luteolin-7-glucoside (2) of Taraxacum coreanum. C6 glioma cells showed low cell viability and high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by the treatment with generator of hydrogen peroxide ($H_2O_2$) and amyloid beta ($A{\beta}_{25-35}$). However, the treatment of the EtOAc fraction attenuated the cellular oxidative stress, resulting in significant elevation of cell viability.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ROS formation was also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the EtOAc fraction. Compounds 1 and 2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fraction, and the protective effect was evaluated. Compounds 1 and 2 led to the increase of cell viability and decrease of production of ROS against oxidative stress by $H_2O_2$ and $A{\beta}_{25-35}$.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EtOAc fraction, compounds 1 and 2 from T. coreanum demonstrat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suggesting the preventive role against neurodegenerative diseases.

쑥부쟁이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Determin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ter yomena (Kitam.) Honda)

  • 김민정;김지현;이상현;조은주;김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02-40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cdot}OH$), 그리고 superoxide radical ($O_2{^-}$) 소거능 실험을 통해 쑥부쟁이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쑥부쟁이는 에탄올로 추출한 뒤, n-hexane, methylene chloride ($CH_2Cl_2$), ethylacetate (EtOAc), 그리고 n-butanol (n-BuOH)로 분획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 모든 추출 및 분획물이 $10-100{\mu}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가장 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쑥부쟁이는 $50{\mu}g/mL$ 농도에서 80% 이상의 $^{\cdot}OH$ 라디칼 소거율을 보였다. 특히 EtOAc 분획물은 $0.03{\mu}g/mL$에서 IC50 값을 나타내어 추출물과 분획물 중 가장 강한 $^{\cdot}OH$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은 $O_2{^-}$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가장 강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쑥부쟁이가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