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tial Oil Composi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5초

수목 정유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I ) - 침엽수 잎 정유의 항균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Woody Essential Oils( I ) -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Coniferous Needles -)

  • 이성숙;강하영;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48-55
    • /
    • 2002
  •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편백, 화백의 잎 정유를 사용하여 수목 정유의 항균활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항진균활성은 배지점적법을 이용하여 목재부후균인 Gliocladium virens, Tyromyces palustris, Trametes versicolor를, 비부후성 열화균인 Rhizopus stolonifer를, 수목병원균인 Phomopsis albobestita, Endothia nitschkeii, Melanconis juglandis에 대하여, 그리고 항세균활성은 paper disc법과 탁도측정법을 이용하여 그람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faecalis, Bacillus subtilis 및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은 편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소나무와 잣나무로 목재부후균에 대해서는 소나무가 잣나무보다 높은 활성을, 수복병원균에 대해서는 잣나무가 소나무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화백 잎 정유가 가장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세균활성은 항진균활성과 달리 소나무 잎 정유가 편백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이 잣나무 그리고 화백의 순이었다. 이러한 정유에 따른 항균 스펙트럼의 차이는 각 정유의 성분 변이와 이러한 성분들의 미생물에 대한 작용특이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들깻잎의 방향성 정유성분의 화학적 조성과 함량 비교 (Chemical Composition and Comparison of Essential Oil Contents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HARA Leaves)

  • 김석주;강은영;서은원;곽태식;김재우;김은혜;서수현;송홍근;안종국;유창연;정일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2-254
    • /
    • 2008
  • 들깻잎 신품종 도입을 위해 재배된 30계통의 선발 품종의 정유성분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0 품종 모두 40가지 이상의 정유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고 상위 3순위의 주요 성분들이 강원도 횡성군 동산면에서 재배된 15 품종은 D104 (56%), D107 (67.6%)을 제외하고 $71{\sim}86%$까지 차지하고 있었고 강원대학교 교내 포장에서 재배된 15 품종은 S114 (63.8%), S140 (68.3%)를 제외하고 $77{\sim}88%$까지 함유하고 있었다. 30 품종 모두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정유 성분이 75%를 넘지 않았고 다양한 성분 조성을 갖고 있어 다양한 화학형을 보였으나 정확한 품종 분류를 위해서는 GC/MS를 통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perillaketone의 함량을 줄이고 대신 다른 향기 성분이 증가된 잎 들깨 도입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본정보로서 부합된다고 판단된다.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Chrysanthemum sibiricum, and Cytotoxic Properties

  • Lee, Kyung-Tae;Choi, Jong-Won;Park, Jong-Hee;Jung, Won-Tae;Jung, Hyun-Ju;Park, Hee-Juh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33-136
    • /
    • 2002
  • GC-MS data on the volatile oil (CS-oil) of Chrysanthemum sibiricum herb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2-methoxythioanisol, (+)-camphor, geraniol, citral, thymol, eugenol, ${\beta}-caryophyllene$ oxide, ${\beta}-caryophyllene$, ${\beta}-eudesmol$, juniper camphor together with an unknown substance using the mass spectral library and literature data. CS-oil exhibited significant cytotoxicities on HL-60 $(IC_{50}\;12.5\;{\mu}g/ml)$ cell and mild on HepG-2 cell $(IC_{50}\;102.4\;{\mu}g/ml)$, though the antioxidant ability was found not to be potent $(IC_{50}\;97.2\;{\mu}g/ml)$. However, the component eugenol showed potent antioxidant ability but mild cytotoxicity. Methyleugenol with no phenolic OH showed less potent cytotoxic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than eugenol suggesting that phenolic OH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cytotoxic and antioxidant abilities. The oil-pretreatment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bromobenzene in the rat. Therefore, it was demonstrated that CS-oil could be a cytotoxic agent with antioxidant properties.

Variation in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among different genotypes of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 Ju, Hyun Ju;Bang, Jun-Hyoung;Chung, Jong-Wook;Hyun, Tae Ky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2호
    • /
    • pp.127-131
    • /
    • 2021
  •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Pfc), a herb belonging to the mint family (Lamiaceae), has been used for medicinal and aromatic purposes.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EOs) obtained from five different genotypes of Pfc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we identified three groups: PA type containing perillaldehyde, PP type containing dillapiole, and 2-acetylfuran type.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EO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 compared classification results generated by PCA and HCA based on antimicrobial activity value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ajor compounds obtained from EOs of Pfc are responsible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Chemotypes of Pfc plants are essentially qualitative traits that are important for breeders.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potential information for breeding Pfc as an antimicrobial agent.

천연 에센셜 오일의 주요 구성물질 분석과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Major Compound Analysis and Assessment of Natural Essential Oil on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 신유현;김현정;이진영;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44-13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산업에 이용 중인 천연 에센셜 오일 8종(라벤더, 티트리, 로즈마리, 주니퍼베리, 편백, 싸이프러스, 시더우드, 파인)을 가지고 물리 화학적 분석과 생리활성 및 항균효과를 실험하였다. 라벤더오일의 경우 에스테르 성분인 linalyl acetate가 48% 함유되어 있었으며, 5,000 ppm의 농도에서 22.36%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티트리 오일의 경우 0.5% 농도에서 43.94%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항균효과 또한 뛰어났다. S. aureus, S. epidermidis, S. mutans, C. albicans 균에 각각 6, 3.5, 6.5, 5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우수한 품질의 에센셜 오일임이 확인되었다. 편백 오일의 경우 pH가 2.64로 가장 산성도가 높았으며, 세스퀴테르펜 성분이 19.20%로 확인되었다. 시더우드 오일의 경우 샘플 중 비중과 굴절률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성분의 99.73%가 세스퀴테르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5,000 ppm 농도에서 39.68% 항산화능을 보였다. 특히 1% 농도에서 P. acnes, P. ovale, C. albicans 균에 각각 3.5, 6, 6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탁월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반면 세스퀴테르펜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교적 항산화능도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산화 성분 유무에 따라 항산화능이 결정된다고 판단되며, 마찬가지로 항균력 또한 테르펜의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균성분의 유무에 따라 항균력이 결정된다고 사료된다.

GC/MS and HPLC/PDA characterization of essential oil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common rue (Ruta graveolens)

  • Chang-Dae Lee;Hak-Dong Lee;Yunji Lee;Hwan Myung Lee;Sanghyun Le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144-152
    • /
    • 2023
  • Tw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medical value of common rue, Ruta graveolens L. (RGL). The results of our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ssays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GL essential oil extract obtained through steam distillation was very low, whereas ethanol (EtOH) extracts of RGL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RGL essential oil was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characterized by GC/MS analysis. Furthermore, EtOH extracts of RGL were obtained under reflux and analyzed by HPLC/PDA. The GC/MS results indicated that the ketone compounds 2-undecanol acetate, nonyl cyclopropanecarboxylate, and 2-nonanone accounted for more than 70% of the composition of RGL essential oil. The HPLC/PDA analyses indicated that the RGL extracts were rich in phenolic compounds such as protocatechuic acid, rutin, psoralen, xanthotoxin, and bergapten, among which rutin was the most abundant. Collectively,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RGL contains high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and could thus be commercialized as a valuable plant-derived antioxidant.

참쑥(Artemisia dubia) 오일의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항균활성 (Anti-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dubia Essential Oil)

  • 김종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96-402
    • /
    • 2012
  • 이 연구에서 참쑥(Artemisia dubia) 오일의 화학적 조성,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및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참쑥 오일로부터 질량 분석기가 장착된 가스 크로마토 그래피(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에 의해 58개의 화합물이 분석되어졌다. 그 오일의 주요한 성분은 각각 camphor (17.18%), germacrene-D (15.70%), trans(${\beta}-$)caryophyllene (6.79%), ${\beta}$-thujones (6.57%), 1, 8-cineole (5.94%) and camphene (5.08%) 순으로 나타났다. 참쑥 오일의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능을 세포독성 감소 방법 [cytopathic effect (CPE) reduction method]에 의해 베로 세포(원숭이 신장세포, Vero cells)에서 평가하였다. 그 오일은 43.7 ${\mu}g/ml$의 50% 저해농도 ($IC_{50}$)와 함께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였다. 또한 그 오일은 100 ${\mu}g/ml$ 이상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그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 TI value)는 2.3 이상이였다. 리바비린(rivabirin)은 그 오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다. 다섯개 미생물(Staphylos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reptococcus pyogenes, Propionibacterium acnes, Candida albicans)에 대한 참쑥 오일의 항균 활성은 페이퍼 디스크 방법(paer disck diffusion method)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그 오일은 5가지 미생물에 대해 8-22 mm의 투명환(clear zone)을 나타내며 항균활성을 보였다. 테스트된 미생물들 가운데 S. pyogenes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C. albicans가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참쑥 오일은 항균 및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유래 질병을 조절하는데 응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땅콩 품질에 관한 연구현황과 금후의 방향 (Review of the Studies on the Qualities in Peanuts)

  • 이정일;박희운;한의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s01호
    • /
    • pp.64-85
    • /
    • 1988
  • Peanut seeds are characterized by high oils and proteins with good quality, and are utilized as an edible oil source and a protein-rich food products. The end products, being peanut butter, salted seed, confections, roasting stock and other by-products are favored in world-wide because of their unique roasted peanut flavor. As with many other foods, interest in the composition and chemistry of peanut is largely a result of thier use as human food. Thus, a more complete knowledge of thier chemical and food quality and flavor properties is desired. Literatures are reviewed mainly focuc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oil, protein and flavor in peanuts. Chemical properties of protein and oil,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 in peanut seeds are studied extensively in view point of chemical and food nutritional value. But in crop base, the synthesis and genetic studies of the chemicals could not provide valuable informations on the breeding for quality improvement. Some essential amino acids are limiting in peanut seeds and the tocopherols are very important in oil stability and for dietary adequacy ratio in high linoleic acid peanut oil, but it is thought to be quite difficult to improve by breeding technique as their lack information of gene actions. However, the selections of high protein and oil, and some essential amino acids and linoleic acid rich genotypes could be helpful for the quality improving. Research studies are also need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lavor components and consumer perception of peanut flavor.

  • PDF

편백심재오일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Products Using Chamaecyparis Obtusa Heartwood Essential Oil)

  • 최주현;박정현;조윤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11-21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편백심재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친환경 기능성 제품을 상품화하는 것이다. 제조단계는 분쇄, 투입, 전처리, 추출(수증기증류법), 수증기배출, 냉각, 분리, 숙성의 8단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제조법에 의하면, 항균 효과가 우수한 고품질의 편백심재오일을 높은 생산성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오일과 증유액으로 만든 편백심재수 제품 역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고, 피부자극도 임상 테스트에서도 비자극 판정을 받았다. 편백심재수를 상품화하기 위해 판매용 웹사이트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판매 사이트에서 보여주는 디자인과 광고 메시지들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 구매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편백심재오일 추출법의 품질관리기준을 표준화하고, 상품별 오일 조성 비율을 최적화한다면,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의약외품 및 화장품 사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valuation of Anti-Asthmatic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the Lauraceae Family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NCI-H292 Cells

  • Jiyoon, YANG;Su-Yeon, LEE;Hyunjeong, NA;Soo-Kyeong, JANG;Mi-Ji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414-426
    • /
    • 2022
  • The Lauraceae family has commercial uses, such as in the food, pharmaceutical, and perfume indus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asthmatic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the seven species in the Lauraceae family.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from the leaves of seven specie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major constituents of essential oils differed depending on the species, even if they belonged to the same family. The main constituents were camphor (89.09%) in Cinnamomum camphora, linalool (26.91%) in Cinnamomum cassia, 1,8-cineole (23.90%) in Cinnamomum japonicum, d-limonene (10.27%) and β-eudesmol (10.03%) in Lindera obtusiloba, δ-cadinene (13.85%) and α-phellandrene (11.57%) in Machilus japonica, cis-,trans-β-ocimene (13.80% and 12.06%) and elemol (11.46%) in Neolitsea aciculata, and cis-β-ocimene (37.94%) and sabinene (24.91%) in Neolitsea sericea. The anti-asthmatic activity of essential oils was investigated using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NCI-H292 cells.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β and IL-6] and mucus gene (MUC5AC and MUC5B)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essential oils from seven species in the Lauraceae family. Among the seven essential oils, the essential oil from L. obtusiloba had the most superior anti-asthmatic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ssential oil of L. obtusiloba leaves could be used as an agent to suppress mucus hypersecre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