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tial Fatty Acid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3초

식물의 산업용 지방산 생산을 위한 오일합성 유전자의 기능과 이용 전망 (Acyltransferases for production of industrial oils in transgenic plants)

  • 김현욱;이경렬;박종석;노경희;김순희;김종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220-227
    • /
    • 2010
  • 식물 종자오일의 지방산은 인간에 필수 지방산을 공급하는 식용 및 생필품 생산에 필요한 다양한 산업원료로 사용된다. 식물 오일의 식용 및 산업용 적합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유전공학에 의한 종자오일의 양과 지방산 조성 변형을 위한 대사조절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식물에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특이지방산의 합성과 종자오일로의 축적은 한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재배가 용이하며 생산성이 높은 오일식물의 acyltransferase가 특이지방산에 대한 기질특이성이 떨어지며 또한 특이지방산에 대한 세포막지질에서 종자오일로 전환시키는 편집기작 (editing mechanism)이 없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최근에 모델식물의 종자오일의 축적에 관여하는 acyltransferase에 관한 유전자들이 클로닝되었고, 특이지방산이 합성되는 인지질에서의 편집기작에 관여하는 acyltransferase 유전자들이 밝혀져 이들 유전자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이지방산을 효과적으로 생산.증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피마자오일의 주성분인 산업용 특이지방산인 리시놀레인 지방산을 오일식물에서 생산하기 위해 이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11개의 acyltransferase 유전자를 피마자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전자들의 도입에 의해 형질전환 식물이 갖고 있지 않은 리시놀레인산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부여하여 종자오일 내의 특이지방산의 생산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Blanching에 따른 갯기름 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 손희경;강수태;정해옥;이재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28-635
    • /
    • 2013
  • 본 연구는 주로 blanching하여 나물로 섭취되고 있는 갯기름나물을 데침 과정에 의한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Blanching에 의해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갯기름나물의 검출된 모든 유리당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어, 총 유리당 함량은 14.8% 감소되었다. 생 갯기름나물에 비하여 데친 갯기름나물의 총 구성 아미노산 및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의 함량은 각각 10.75%와 15.22% 감소되었고, 검출된 모든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다. 총 지방산 함량은 blanching 전후 유의차가 없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37.03% 감소되었고,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Blanching에 의해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20.20%, 8.23% 및 35.59% 감소되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21.84% 감소되었고, 무기질 중 K 함량의 손실이 가장 컸다. 본 연구 결과 갯기름 나물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C, 무기질 등 유용한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blanching에 의해 대부분의 영양성분들이 감소되어 향후 이러한 성분들을 유지할 수 있는 blanching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고압처리가 발아벼의 화학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erminated Rough Rice (Oryza sativar L.))

  • 김민영;이상훈;장귀영;박혜진;윤나라;이연리;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8-203
    • /
    • 2015
  • 본 연구는 발아와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발아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조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화학성분 변화에 미치는 고압처리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30 MPa 압력에서 24시간 고압처리 시 발아 일수에 따라 각각 8.39-9.59% 범위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발아와 고압처리에 의해 총 유리당 함량과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maltose와 fructose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고압처리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고압처리 시 1.57-5.34 mg/g 범위로 대조구인 0.45-5.09 mg/g에 비해 증가하였다.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특이적으로 linoleic acid가 발아 및 고압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아와 고압의 병행처리 시 발아벼의 영양성분이 저분자화 되고 필수영양성분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부가가치의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초피와 산초의 화학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 고영수;한희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7
    • /
    • 1996
  • 야생식량 자원으로서 활용의 여지가 많은 초피와 산초의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조단백질은 초피 과피 및 종자가 각각 11.51%, 13.65%로 산초 과피 및 종자보다 약간 높았다. 조지방은 산초 종자가 37.78%로 가장 높았다. 중성지질의 경우 산초 종자가 61.2%로 가장 높았으며 산초 과피는 36.1%로 가장 낮았다. 당지질은 산초 과피가 59.8%로 가장 높았고 산초 종자가 24.7%로 가장 낮았다. 인지질은 산초 종자가 14.1%로 특히 높아, 초피 종자(2.8%)의 약 4배였다. TG의 chromatogram은 초피과피의 경우 $C_{42}$, $C_{46}$, $C_{48}$, $C_{50}$, $C_{52}$$C_{54}$ 등 6개의 peak가 나타났으며 $C_{42}$의 함량이 높았고, 산초 과피는 $C_{42}$, $C_{46}$, $C_{48}$, $C_{50}$$C_{56}$의 5개 peak가 나타나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C_{42}$, $C_{46}$, $C_{50}$, 이 함유되어 있었다. 초피 종자의 경우는 $C_{42}$, $C_{52}$가, 산초 증자는 $C_{42}$, $C_{50}$이 나타나 4개 시료의 공통적인 TG는 $C_{42}$임을 알 수 있었다. 필수지방산의 총량은 산초 과피가 59.4%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 linolenic acid는 44.5%, linoleic acid는 14.9%였다. 산초과피에서 ${\beta}-sitosterol$만이 동정되었고, 나머지 3개 시료에서는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을 동정하였다. 4개의 시료에 모두 ${\alpha}-tocopherol\;acetate$${\alpha}-tocopherol$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alpha}-tocopherol\;acetate$의 함량은 초피 과피와 종자가 산초 과피 및 종자보다 높았으며, 4개 시료 모두에서는 ${\alpha}-tocopherol$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모든 시료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았고, 환원당은 초피 종자(4.19%)와 산초 종자(2.89%)가 초피 과피와 산초 과피에 비하여 훨씬 높았다. 사포닌은 4개 시료 모두에 함유되어 있었으며, 초피 과피가 7.20%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 중에서는 K의 함량이 모든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초피 과피에 citric acid가 0.078%, ${\alpha}-ketoglutaric\;acid$가 0.696% 함유되어 있었으며, 산초 과피에 ${\alpha}-ketoglutaric\;acid$가 0.475% 함유되어 있었다. 모든 시료에 공통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리 아미노산은 alanine과 glutamic acid였다. 함량이 많은 총 아미노산의 순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valine, leucine의 순이었으며, 산초 종자의 glutamic acid의 함량이 2.39%로 매우 높았다. 4개의 시료중에 공통적으로 함량이 높은 정유성분은 limonene(30.1-66.8%), ${\beta}-phellandrene$, citronellal, cineol 등의 순이었으며 citronellal의 함량이 산초 종자에서 22.0%로서 나머지 시료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isopulegol의 함량은 초피 과피에서 45.2%로서 나머지 시료의 함량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linalool함량도 초피 과피에서 9.5%로 훨씬 높았다. 또한 terpinene-4-o1은 초피 과피 및 종자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았으나, 산초 과피에서는 1.1%, 산초 종자에서는 0.8%의 함량을 보여 주었다.

  • PDF

손상 모발을 위한 EPA 함유 샴푸 개발 (Development of Shampoo Formulated by EPA for the Damaged Hair)

  • 이보름;이옥상;강태진;임성실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6-269
    • /
    • 2011
  • Omega-3 fatty acids are a specific type of unsaturated fat that the body cannot manufacture on its own, so they must be obtained from food which is essential fatty acids (EFAs). Omega-3 fatty acids consist of three types which are a-Linolenic Acid (ALA), Eicosapentaenoic (EL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Especially, EFAs help to prevent skin and hair drying, acne, eczema, prevention from allergies, brittle nails, rashes, and tiny lump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rovement and protection for hair damaged by chemical treatment with omega-3 formulated shampoo. We selected virgin hair sampl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for bleaching once and three times and then damaged hair by changing the number of hair bleaching (twice with interval of 15 minutes). Each bleached hair was treated by five different kinds of shampoo (Control, Horse shampoo, DHA shampoo, EPA shampoo, Omega-3 shampoo mixture). Apart from this, EPA/DHA 2, 5, 8, 10 and 12% shampoo were prepared and treated to hair for comparing rate of progress in damaged hair. To quantify improved condition of damaged hair, we perform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or ultrastructure of damaged hair fraction, measurement of thickness change and BCA Protein Assay for recovery rate of damaged hair. The moisture in hair was measured by Thermal analysis machine. In results, we observed the particle of hair surface damaged by bleaching treatment were well improved with treatment with EPA and DHA shampoo. Also, quantity of protein was lowered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EPA & DHA i.e., 8 and 12 % then compared with horse oil shampoo in three times treatment group. It shows that bleached hair have been recovered by treating rapidly and get protective coat. In conclusion, EPA and DHA shampoo improved damaged hair, especially with EPA / DHA 12% shampoo. Also, EPA shampoo could protect the damaged hair depending on increasing concentration of EPA. Therefore, we conclude omega-3 shampoo could make damaged hair protect and get healthy hair environment.

사료의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생화학적 변화 I. 성장효과 및 체성분의 변화 (Effects of Dietary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on Growth and Biochemical Changes in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 Growth and Body Composition)

  • 이상민;이종윤;강용진;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9-105
    • /
    • 1993
  • n-3HUFA가 조피볼락의 성장, 영양소축적효율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오징어 간유 및 대두유를 지질원으로 사료에 첨가하여 사료의 n-3HUFA 함량이 $0\~1.5\%$가 되도록 조정하여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장, 사료효율 및 영양소 축적효율 모두 n-3HUFA 무첨가 사료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사료의 n-3HRFA 함량의 증가와 더불어 그 효과가 현저히 개선되다가 $1.2\%$ 이후에는 더이상 개선효과가 없었다. n-3HUFA함량이 높은 실험구의 간지질(비극성 지질) 함량은 감소한 경향을 보였으나 간의 glycogen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HSI 값도 다소 증가하였다. 전어체의 지질함량 및 내장의 지질함량은 모두 사료의 n-3HUFA 함량이 높은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증가는 비극성 지질의 변화 경향과 일치하였다. 간 극성 지질 중의 지방산조성은 사료의 지방산조성에 따라 변화하여, 사료의 n-3HUFA가 증가함에 따라 n-3HUFA와 18:1은 증가하였고, 18:2n-6과 18:3n-3은 감소하였다.

  • PDF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6. 천연 및 양식 가물치의 지질성분 비교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6.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between Wild and Cultured Snakehead, Channa argus)

  • 최진호;배태진;변대석;윤태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9-315
    • /
    • 1985
  • 양식 가물치의 품질을 지질성분면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천연 및 양식 가물치의 지질 조성 및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하고, 양식 가물치의 지방산과 사료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지질 함량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높았으며 부위별로는 내장부가 가식부 보다 훨씬 높았다. 2. 지질 조성은 천연산과 양식산이 다같이 중성지질의 함량이 가장 높고,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중성지질의 조성은 가식부는 TG의 함량이, 내장부는 ES 및 HC의 함량이 높았으며, 인지질의 조성은 가식부 및 내장부가 다 같이 PC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PE 였다. 이런 경향은 천연산과 양식산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 가식부의 중성지질의 지방산 함양은 $C_{14:0},\;C_{16:0},\;C_{18:1},\;C_{20:5},\;C_{22:5},\;C_{22:6}$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높은 반면 $C_{18:0},\;C_{16:1},\;C_{18:2},\;C_{18:3},\;C_{20:4},\;C_{22:4}$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낮았다. 인지질의 경우에는 $C_{16:0},\;C_{18:1},\;C_{22:6}$산은 양식산의 천연산 보다 높은 반면 $C_{16:1},\;C_{18:2},\;C_{18:3},\;C_{20:4},\;C_{22:4},\;C_{22:5}$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낮았다. 4. 불포화도(TUFA/TSFA)와 w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w3 HUFA)은 중성지질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또 인지질은 천연산이 양식산 보다 높았다. 그러나 필수지방산 함양(TEFA)은 중성 및 인지질에서 다같이 천연산이 양식산 보다 높았다. 5. 사료 지방산(B)에 대한 양식 가물치 지방산(A)의 비(A/B)를 보면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및 docosahexaenoic acid 의 A/B비가 $0.35{\sim}2.04$로 아주 낮아, 이들 불포화지방산의 polyene 산의 생합성에 관계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초등학교 급식의 유형(도시형/농촌형)및 식단의 지방 에너지 비율에 따른 주요 영양소의 공급량 및 급원식품 평가 (Amounts and Food Sources of Nutrients of Elementary School Lunch Menus by the Type of Foodservice and the Percent Energy from Fat)

  • 윤혜정;한영희;현태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0-105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macro- and micronutrient compositions in school lunch menus based on the 'Dietary Guideline' for School Lunches. Ninety-five dieticians in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lunch program(such as type of foodservice, food production system), the information about dietitians(such as age, education, and job history), and the extent of the use of processed foods and frozen foods. Dey were asked to return the questionnaire with the menus including the name and the quantity of every food ingredient offered during a week. A total of 554 lunch menus provided for a week of June 2004 were analyzed. Average nutrient content per meal was as follows; 660kcal, energy; 92.9g, carbohydrate; 26.7g, protein; 21.1g, fat; 287 ${\mu}gRE$, vitamin A: 0.5mg, thiamin; 0.5mg, riboflavin; 29.3mg, vitamin C: 338.2mg, calcium; 3.9mg, iron; and 97mg, cholesterol. Average percentages of energy from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as 56.2%, 16.2%, and 29.0%, respectively. The mean nutrient content per meal was higher in rural-type than in urban-type schools. The weekly menu of 40% of the schools provided <55% of energy from carbohydrate, and 39% of the schools offered lunch that provided ${\geq}30%$ of energy from fat. The micronutrient content was generally high when the percent energy from fat was less than 25%. Our results showed that only 52.6% of the schools provided lunches with the energy composition as in the 'Dietary Guideline' of School Lunches. Whole Milk was the major contributor to fat, saturated fatty acid and cholesterol. We suggest that school foodservices start to provide low fat milk instead of whole milk to reduce fat, saturated fatty acid and cholesterol. If low fat milk is served instead of whole milk, percentage of energy from fat and saturated fat can be reduced from 29% to 25%, and ken 10.2% to 9.1%, respectively, and cholesterol could be reduced from 97mg to 79mg. Efforts to meet 'Dietary Guideline' for School Lunches should be made, especially to reduce fat intake, while maintaining essential nutrient intake at sufficient levels for childen.

Functional Chemical Components in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Impact of Supplementary Feeds

  • Yoon, Chul-Ho;Jeon, Seung-Ho;Ha, Yeon Jo;Kim, Sam Woong;Bang, Woo Young;Bang, Kyu Ho;Gal, Sang Wan;Kim, Il-Suk;Cho, Young-S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1-473
    • /
    • 2020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supplementary fee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roduction of bioactive substances in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The primary feed-oak-fermented sawdust-was supplemented with a variety of substances, including aloe, apple, banana, sweet persimmon (S. persimmon) and sweet pumpkin (S. pumpkin).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were the highest in the control and S. pumpkin group, respectively. Supplementary feeds increased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except in the group receiving S. pumpkin, in which ole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58.2%-64.5%). Free essential amino acids in larvae receiving supplementary aloe were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Lys and His.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BTS and DPPH were higher in all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lthough supplementary feeds led to a decreased crude protein content in the treated larva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treatments generally improved the leve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antioxidative activ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among the supplementary foods tested, aloe is a better resource for P. brevitarsis based on crude protein content, free amino acids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such a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antioxidants.

제주도 용암 해수로 대량배양한 미세조류 멜로시라(Melosira nummuloides)의 성분 특성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icroalga Melosira nummuloides Mass-cultured Using Jeju Lava Seawater)

  • 김윤영;신현아;최정우;김미연;고경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91-101
    • /
    • 2022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Melosira nummuloides mass-cultured using Jeju lava seawater. M. nummuloides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when cultured for 14 days at 17-20℃ and 15,000 lx. Proximate composition of raw-material (RM) and freeze-dried M. nummuloides (FM) showed high ash content (65-72%), while ethanol-extracted M. nummuloides (EM) had low ash and high lipid contents. The predominantly occurring mineral, Si, was 334 g/kg in RM and 269 g/kg in FM, but EM contained only 1.97 g/kg. The ratio of essential amino acids was similar in RM (38.93%) and FM (36.89%) lower in EM (17.83%), but branched chain amino acids required for muscle metabolism was high (63.40%).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EM (34.74%) was 11% more than that in RM (23.81%), and the ratio of omega-6 to omega-3 fatty acids was 1:3.6. Furthermore, the concentration of total chlorophyll was higher by 5.15 times (62.32 mg/g) and that of fucoxanthin by 7.06 times (11.02 mg/g) in EM than in RM (12.11, 1.56 mg/g, respectively). The mass cultivation and filtration of M. nummuloides using lava seawater has high prospects of commercialization as a competitive bio silica, cosmetic and healthy functional food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