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tial Amino Acid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3초

잣 종자(種子)의 아미노산(酸), 지방산(脂肪酸), 비타민 분석(分析) (Analysis of Amino Acid, Fatty Acid, and Vitamin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eeds)

  • 한상섭;황병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45-351
    • /
    • 1990
  • 잣종자의 영양분(營養分) 함량(含量)을 알기위하여 일반분석(一般分析), 아미노산(酸) 분석(分析), 지방산(脂肪酸) 분석(分析), 비타민 분석(分析)을 행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 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분석(一般分析)에서 잣종자에 함유(含有)된 수분(水分)은 4.4%, 조단백질(粗蛋白質)은 18.3%, 조지방(粗脂肪)은 67.3%, 조섬유(粗纖維)는 4.7%, 회분(灰分)은 2.2%, 가용성(可溶性) 무질소물(無窒素物)은 3.1% 였다. 2. 아미노산(酸)은 모두 18종(種), 즉 lys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cysteic acid, tryptophan 등이 분석(分析)되였으며 이중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성분(成分)은 glutamic acid 였다. 3. 필수(必須) 아미노산(酸) 10종(種) 즉, arginine, histidine,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ryptophan 등이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지방산(脂肪酸)은 모두 13종(種) 즉, myrist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ic acid, 9 icosenoic acid, 9, 11-icosenoic acid, 8, 11, 14-icosatrienoic acid, 그리고 알 수 없는 2종(種)의 8읍 지방산(脂肪酸)등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지방산(脂肪酸)은 linoleic acid 였다. 5. 비타민 A, $B_1$, $B_2$, E, niacin 등 5종(種)의 비타민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이중 가장 많은 것은 비타민 E 였다.

  • PDF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 김철호;이정화;이명렬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74-180
    • /
    • 2010
  • 매생이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매생이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6.27%, 조단백질 27.66%, 조지방 1.68%, 조회분 10.69% 및 탄수화물 53.70%를 함유하였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3,259.97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isoleucine, valine, alanine 순으로 검출되었고,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2.33%로 나타났다. 매생이의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heptadecano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DHA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지방산 중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86.66%이었다. 유기산은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였으며, formic acid, furmaric acid 및 male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0.021 mg/100 g과 0.001 mg/100 g이었다. 무기질은 Mg이 703.5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Na, K, Fe 순이었고 Zn, Mn, Cu의 함량은 미량이었다. 이상의 결과 매생이는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을 비롯한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매생이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민자주방망이버섯(L. nuda)의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Lepista nuda)

  • 이양숙;김종봉;신승렬;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75-381
    • /
    • 2006
  • 민자주방망이버섯의 식품 영양학적 기능적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영양 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90.90{\pm}0.09%$, 탄수화물 $4.38{\pm}0.07%$, 조단백질 $3.70{\pm}0.03%$, 조회분 $0.55{\pm}0.04%$ 그리고 조지방이 $0.47{\pm}0.01%$로 분석되었다. 환원당의 함량은 636.17 mg이었고 유리당은 galactose(51.98 mg), trehalose(22.48 mg), maltose(8.48 mg), mannose(7.96 mg), 그리고 arabinose(6.52 mg) 등의 순으로 모두 97.42mg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질은 K와 Mg가 각각 103.10 mg과 56.01 mg으로 다른 것에 비하여 함유량이 높았다. 민자주방망이버섯의 구성아미노산은 총 310.39 mg이었고, 이 중 필수아미노산이 111.50 mg이었으며, valine(25.40 mg), leucine(22.52 mg), lysine(21.34 mg) 등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비필수아미노산은 총 198.89 mg이었으며, glutamic acid(60.72 mg), aspartic acid(30.17 mg), alanine(29.72 mg) 등의 함량이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총 220.86 mg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이 36.21 mg으로 isoleucine(21.57 mg), threonine(11.20 mg)의 함량이 높았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은 184.65 mg으로 glutamic acid(42.78 mg)와 aspartic acid(32.44 mg) 등의 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은 총 187.85 mg으로서 hydroxyproline이 121.50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citrulline(15.58 mg), ornithine(15.41 mg), $\alpha$-aminoisobutyric acid(11.23 mg)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땅콩품종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Varietal Difference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anuts)

  • 이정일;박희운;강광희;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24-439
    • /
    • 1990
  • 땅콩 보존품종에 대한 단백질 특성을 조사하여 고단백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아미노산 함량의 품종 및 환경변이를 밝혀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조성 품종육성을 위한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시험하였다. 작물시험장에서 수집한 땅콩 164품종의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5개 지역에서 재배된 9개 장려품종의 아미노산 변이와 분획 단백질의 아미노산 특성 차이를 검토하였다. 1. 공시된 땅콩 164품종의 평균 단백질 함량은 24.5%였으며 최고 28.7%, 최저 19.5%로 9.2%의 변이를 보였다. 2. 초형에 따른 단백질 차이는 적었으며, 립중에 따라서는 소립이 대립중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Spanish type 품종에서 립중에 따른 단백질 차이가 컸다. 3. 품종의 도입지역에 따라서는 대만이나 Philippine 품종들이 단백질 함량이 높았고 국내 육성품종과 일본품종은 낮았다. 4. 단백질 함량과 100립중, 주당협실중 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고, 기름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5.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필수 아미노산과 반아미노산 총량의 차이가 있었으며 aspartic acid도 품종과 지역간 차이가 인정되었고, arginine, lysine, methionine, glutamic acid, glycine, tyrosine은 지역간 차이가 phenylalanine은 품종차이가 있었다. 6. 땅콩 장려품종에서의 제한 아미노산은 isoleucine, methionine, threonine, arginine, lysine이었다. 7. 단백질 fraction별로 볼 때 아미노산은 prolamins, globulins, glutelins, albumin순으로 많았으며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globulins에서 가장 많았다.

  • PDF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유지(油脂) 및 단백질조성(蛋白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Analytical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Oil and Protein in the Seed of Thornless Chinese Pepper Zanthoxylum schinifoilum var. inermis Nakai)

  • 윤한교;김지문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70-176
    • /
    • 1976
  • 야생식용유자원(野生食用油資源)의 개발(開發)을 위하여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을 A. O.AC. 법(法)으로,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및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의 amino 산조성(酸組成)을 GLC법(法) 및 amino acid auto analyzer 로 각각 분석(分析)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적요(摘要)한다 민산초나무의 종실(種實)은 비교적 다량(多量)의 유지(油脂)(47.05%), 단백질(蛋白質)(20.14%) 및 회분(灰分)(3.1%)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영양가(榮養價)가 높은 반식물(飯食物) 또는 식용유(食用油)로 인정(認定)되었다.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에는 극미량(極微量)의 유황(硫黃)(0.02%)과 cyan 화합물(化合物)(0.00005%)이 함유(含有)되였으나 모두 한계량이하(限界量以下)로서 식용유(食用油) 및 생과(生菓)로서 이용이 안전(安全)하다. 종실유(種實油)는 옥도가(沃度價) 145.2로서 건성유(乾性油)에 속(屬)하며 산가(酸價), 감화가, 굴절율(屈折率)등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도 불포화고급(不飽和高級)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 특성(特性)을 나타냈다.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oleic acid(34.8%), linoleic acid(25.1%), linolenie acid(26.1%)등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함량(含量)이 80%이상으로서 식용유(食用油)에 적합(適合)한 것으로 인정(認定)되였다.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에서 17종(種)의 amino산(酸)을 분석정량(分析定量)하였으며,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등 필수(必須) amino산(酸)의 함량(含量)이 비교적 높았고, glutamic acid의 함량(含量)(4.985%)이 특히 높아서 단백질원(蛋白質源)으로서 유용(有用)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Chemical Composition of Thermal Treatment Yam (Dioscorea batatas DECNE.)

  • Kim, Han-Soo;Duan, Yishan;Ryu, Jae-Young;Kim, Sang-Woo;Jang, Seong-H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5
    • /
    • 2015
  • In this study, the thermal treatment yam (Dioscorea batatas DECNE.) was analyzed for its proximate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including mineral, vitami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Thermal treatment yam is mainly consisted of carbohydrate (70.3%) with small amounts of crude protein (15.8%), crude ash (5.1%) and crude fat (1.6%). It was found to be a good source of essential minerals such as K (1100.2 mg/100 g), Mg (99.4 mg/100 g), Ca (54.8 mg/100 g) and Na (44.9 mg/100 g) but Zn (4.8 mg/100 g) and Fe (0.2 mg/100g) content was low. Little amounts of vitamin E (8.3 mg/100g), vitamin C (3.5 mg/100g) and vitamin B1 (2.1 mg/100g) could be found. The amino acid analysis revealed that the yam was superior with respect to serine (1454.2 mg%), lysine (684.6 mg%) and histidine (684.6 mg%). Essential amino acids were calculated to be 2849.3 mg%. The amino acid profiles showed that thermal treatment yam is limiting in isoleucine and phenylaline. Linole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fatty acids with the value of 47.3% followed by palmitic acid (24.7%) and oleic acid (12.7%).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s including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present in big quantities in thermal treatment yam.

번식방법(繁殖方法)에 따른 밭고추냉이의 성분비교(成分比較) (Comparison of Chemical Constituents of Upland Wasabia japonica Matsum Grown by Different Propagation Methods)

  • 김상열;박기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94-301
    • /
    • 1997
  • 향신료(香辛料) 및 고소득 작물로 개발가능성이 있는 고추냉이의 번식방법(繁殖方法)에 따른 성분(成分)을 비교(比較)하여 고추냉이 품질평가 및 우수 품종육성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제공(提供)하고자 지폐산(脂肺酸), 아미노산 및 유기산 함양(有機酸 含量) 및 조성(組成)을 조사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지방산 함량 및 지방산조성은 번식방법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잎의 지방산함량이 다른 부위보다 높았고, 지방산조성은 부위와 관계없이 linolen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순이었으며 그 외에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oleic acid, stearic acid, arachidonic acid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2. 총아미노산 함량은 번식방법 비슷하였으나 부위별로는 잎, 근경, 줄기, 화경순으로 높았고, 아미노산조성은 번식방법에 관계없이 각 부위 모두 glutamic acid $(331{\sim}1568mg)$, asparatic acid $(346{\sim}1380mg)$, arginine $(84{\sim}724mg)$, leucine $(49{\sim}1264mg)$의 함량이 많았다. 3. 유기산 조성은 번식방법에 관계없이 비슷하였며 부위에 관계없이 acetic acid $(60.0{\sim}78.2)$가 가장 함량이 많았고 그 다음은 succinic acid $(9.9{\sim}32.0)$, malic acid $(2.9{\sim}7.9%)$로 함량이 많았다.

  • PDF

THE EFFECT OF DIFFERENT CARBOHYDRATE AND NITROGEN SOURCES ON THE UTILIZATION OF AMINO ACIDS IN THE SMALL INTESTINE OF SHEEP

  • Lee, N.H.;Armstrong, D.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3호
    • /
    • pp.165-175
    • /
    • 199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carbohydrate and nitrogen source upon the utilization of amino acids in the small intestine of sheep.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For the quantities of total amino acid-N(TAA-N), essential amino acid-N(EAA-N) and nonessential amino acid-N(NEAA-N) passing at the duodenum and ileum except NEAA-N passing at the ileum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diets. The quantities of NEAA-N passing at the ileum for the diets containing meat and bone meal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diets containing soybean meal. The mean values for the proportionate disappearance apparently digested TAA-N, EAA-N and NEAA-N within the small intestine for four diets were $0.692{\pm}0.0449$, $0.702{\pm}0.0132$ and $0.682{\pm}0.726$, respectively.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duodenal individual amino acid flow between diets with the exception of aspartic acid and glycine. The amounts of each amino acid in duodenal digesta, expressed as a proportion of the amounts ingested for the four diets, were shown that there were net gains of EAA with the exception of arginine and NEAA with the exception of glutamic acid, glycine and praline prior to the small intestine. 3) Within the small intestine, there were no significant losses of each EAA (p>0.05) but significant losses of aspartic acid and glycine of NEAA between diets (p<0.01). The mean values of the proportionate losses of methionine, alanine and lysine within the small intestine were $0.816{\pm}0.04$, $0.767{\pm}0.04$ and $0.732{\pm}0.01$, respectively.

브로콜리 싹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Broccoli Sprouts)

  • 이재준;이유미;김아라;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2-197
    • /
    • 2009
  • 브로콜리 싹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브로콜리 싹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dry basis)을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2.04%, 조단백질 22.04%, 조지방 12.80%, 조회분 6.25% 및 탄수화물 56.87%를 함유하였다. 구성당은 rib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fructose, gluc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 되었다. 아미노산은 lysine 함량이 691.09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다음으로 leuc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phenylalanine, valine 순으로 검출 되었다. 브로콜리 싹의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palmit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arachidic acid, lignoceric acid, behe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은 cis-11,14-eicosatrienoic acid가 가장 높았으며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lac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mal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A와 E의 함량은 각각 0.06 mg%와 0.82 mg%이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K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Mg, Na, Fe 순이었고 Zn, Mn, Cu의 함량은 미량이 었다. 이상의 결과 브로콜리 싹은 필수아미노산 및 필수지방산을 비롯한 항산화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브로콜리 싹의 식품 재료로의 이용화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지며, 브로콜리 싹 분말을 이용한 다양한 조리법의 개발과 더불어 가공식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Expression of Amino Acid Transporter LAT1 During Ameloblast Differentiation

  • Kim, Sang-Bong;Kim, Do-Kyung;Kim, Chun-Sung;Kook, Joong-Ki;Park, Joo-Cheol;Kim, Heung-Jo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143-150
    • /
    • 2009
  • Amino acid transporters play important roles in supplying nutrients to cells. In our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LAT1 and measured the amino acid uptake in ameloblast cultures to further elucidate the roles of this transporter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se cells. RT-PCR, observations of cell morphology, Alizaline red-S staining, and uptake analyses were performed following the experimental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in the cultures. LAT1 mRNA was detectable and found to gradually increase over time whereas LAT2 mRNA was not evident in the ameloblast cultures. Transcripts of 4F2hc, a cofactor of LAT1 and LAT2, were also found to be expressed in ameloblast cultures and increase with time. Amelogenin mRNA was expressed in the early stage ameloblast cultures. L-leucine uptake was observed to increase over 14 days of growth in culture. Our data suggest that LAT1 has a key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ameloblasts and in providing these cells with neutral amino acids, including several essential amino ac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