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oria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7초

양안시이상-폭주과다 교정의 임상사례 (Binocular Dysfunction-Case Study of Vision Therapy in Convergence Excess)

  • 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01-106
    • /
    • 2007
  • 본 연구는 폭주과다의 경우 시기능 훈련이 융합버전스와 안정피로 증상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폭주과다를 가진 대상자는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내사위가 있으며, 수평방향의 복시, 눈의 긴장, 안정피로, 흐림 등의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실험방법으로는 그 중 폭주과다를 가진 대상자를 1명 선택하여 시기능 훈련과 플러스 가입도를 처방하여 시기능 훈련을 7주 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7주 후 많은 효과가 있었는데, 즉 폭주과다의 경우 시기능 훈련은 증상을 경감시키고, 융합 범위를 증가시키고, 내사위를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므로 양안시이상에서 시기능 훈련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사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 굴절이상,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의 일치에 따른 연구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ntity of Phoria: I. A study of effects to the quantity of Phoria by the refractive error and the conformity to the optical center and the pupillary center)

  • 김정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61-370
    • /
    • 2004
  • 정확한 사위량 측정을 위한 전제조건이 되는 굴절이상의 완전교정과 광학중심점과 동공중심점의 일치가 선행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위량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근시성 굴절이상안 120명을 대상으로 동공중심거리, 장용안경의 광학중심점거리, 안경장용 상태의 사위량을 Von Graefe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검사대상자의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점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고 굴절이상도를 완전교정한 상태에서의 사위량을 각각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굴절이상도가 미교정되고 광학중심점과 동공중심점이 미조정 된 안경을 장용하고 측정한 사위량과 굴절이상도를 완전교정하고 광학중심점과 동공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측정한 사위량은 완전교 정시 정위는 10.0%에서 12.5%로 증가하였고, 외사위는 67.5%에서 62.5%로 감소, 내사위는 22.5%에서 25.0%로 증가하였다. 2. 평균 광학중심점 거리는 31.7024mm, 동공중심점 거리는 평균 31.4881mm로 안경의 Optical Center Distance가 동공중심거리보다 약 0.2143mm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3. 동공중심점과 광학중심점이 일치된 안경과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이 불일치된 안경을 장용한 사람은 각각 37.5%, 62.5%로 조사되었다. 4. 미교정된 근시안 가운데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이 일치한 사람을 대상으로 근시도를 완전교정하고 사위를 측정한 결과 근시도를 미교정했을 때 보다 외사위량은 53.33%가 감소하였고, 내사위량은 20.0%가 증가하였다. 5. 근시도를 완전교정하고 광학적중심과 동공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측정한 외사위량은 구안경 장용시보다 $1.11{\Delta}$ 감소하였고, 내사위량은 $0.39{\Delta}$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검정결과 매우 유의하였다(p<0.05).

  • PDF

거리에 따른 내사위 환자의 변화 (Variation According to Distance of Esophoria patients)

  • 홍수학;성정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7-52
    • /
    • 2003
  • 19세에서 26세 사이의 안과 질환이 없는 시력 1.0 이상인 안경광학과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37명(31.62%)이 내사위로 나타났다. 그 내사위 환자 중 25명(67.57%)이 $3{\Delta}$ 이하였으며, 나머지 12명(32.43%)이 $1{\Delta}$ 이상이었다. 내사위 환자의 평균사위량은 원거리에서 $2.96{\Delta}$, 근거리에서 $1.08{\Delta}$으로 나타났고, 또한 원근거리의 사위량 연화에 있어서, 원거리 때와 근거리 때의 사위량에 변화가 없는 환자는 3명(8.10%), 내사위량이 증가한 환자는 8명(21.62%), 사위량이 줄어들거나 오히려 외사위로 나타난 환자는 26명(70.27%)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근거리 때 내사위량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온 것은, 내사위 환자의 경우 근거리시에 폭주부담이 작기 때문에 그러한 결과가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거리 때 실성상대폭주력에서 기대치를 보인 피검사자는 흐린점 7명(18.92%), 분리점 16명(43.24%), 회복점 12명(32.43%)이였고, 허성상대폭주력에서 기대치를 보인 피검사자는 분리점 7명(18.92%), 회복점 13명(35.14%)이였으며, 또한 근거리 때 실성상대폭주력에서 기대치를 보인 피검사자는 흐린점 8명(21.62%), 분리점 7명(18.92%), 회복점 22명(59.46%)이였고, 허성상대폭주력에서 기대치를 보인 피검사자는 흐린점 2명(5.40%), 분리점 8명 21.62%), 회복점 12명(32.43%)으로 나타났다.

  • PDF

검사방법에 따른 수평·수직사위량의 비교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methods of measuring horizontal phoria and vertical phoria)

  • 김혜동;김대년;박은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8
    • /
    • 2003
  • 만 20세에서 28세사이의 남녀 63명(126안)을 대상으로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원거리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프리즘 분리법, 마독스로드 검사법, 편광 검사법 등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원거리 수평 수직사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프리즘 분리법에서의 수평사위는 외사위 32명(51%), 내사위 28명(44%), 정위 3명(5%)이였다. 2. 프리즘 분리법에서의 수직사위는 우안기준 좌안하사위 13명(20%) 우안기준 좌안상 사위 8명(12%), 정위 42명(68%)이였다. 3. 마독스로드 검사법에서의 수평사위는 외사위 31명(49%), 내사위 28명(41%), 정위 4명(7%)이였다. 4. 마독스로드 검사법에서의 수직사위는 우안기준 좌안하사위 12명(19%), 우안기준 좌안상사위 7명(11%), 정위 44명(70%)이였다. 5. 편광검사법에서의 수평사위는 외사위 31명(49%), 내사위 26명(41%), 정위 6명(10%)이였다. 6. 편광검사법에서의 수직사위는 우안기준 하안하사위 3명(5%), 우안기준 좌안상사위 2명(3%), 정위 58명(92%)이였다.

  • PDF

광주지역 근시안경 착용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와 사위 및 단안PD에 대한 조사 (The Examination of Refractive Correction and Heterophoria and Monocular Pupillary Distance on Myopic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aring Glasses in Gwangju City)

  • 황광하;성정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1-75
    • /
    • 2009
  • 목적: 광주지역에서 근시안경 착용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착용안경의 굴절상태와 사위 및 단안PD 상태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방법: 근시안경 착용 초등학생 145명(290안)을 대상으로 사위 및 단안PD 검사 후 자각적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1. 양안 2.00D이상 굴절성부등시에 해당되는 학생은 4명(3%)으로 나타났다. 2. 남학생 저교정 시력 19명 중 부등시는 9명(47%)이며 여학생 저교정 시력 25명 중 부등시는 16명(64%)으로 나타났다. 3.67명의 근시안경 착용 남학생중 동공중심과 안경의 광학중심점이 일치된 안경은 30%(양안),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점이 불일치된 안경은 70%(양안)이다. 78명의 근시안경 착용 여학생의 경우 동공중심과 안경의 광학중심점이 일치된 안경은 23%(양안), 동공중심과 광학중심점이 불일치된 안경은 77%(양안), 동공중심거리와 안경의 광학중심점 거리는 남녀 모두 안경의 광학중심점 거리가 더 크게 나타났다. 4. 사위검사결과 원거리에서 정위가 14%, 외사위는 63%, 내사위는 23%이다. 근거리에서 정위가 10%, 외사위는 76%, 내사위는 14%로 나타났다. 결론: 부정확한 굴절 검사와 잘못된 PD로 안경을 착용하면 안정피로 및 사위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굴절검사와 단안PD를 측정하여 안경을 착용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PDF

토링톤법을 이용한 고 3 수험생들의 사위에 대한 고찰 (Study of Heterophoria Using Torrington Method in Third-year Student High School)

  • 유근창;성정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91-94
    • /
    • 2007
  • 본 연구는 수험생들의 장시간 근업에 따른 굴절이상도와 사위의 분포와 사위량의 평균값 등을 조사하였다. 사위 검사방법은 활용도면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토링톤 사위검사법을 이용하여 광주광역시 소재의 남자 고등학교 3학년 3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검사결과 굴절상태는 정시안이 21.4%, 비정시안이 78.6%로 대부분 근시안이었으며, 정시안에서 정위와 사위의 빈도는 같았고, 비정시안의 경우 근시안에서 74.9%으로 정시안보다 사위빈도가 높았다. 수평사위는 정시안에서 외사위 45.7%, 내사위 4.3%, 근시안에서 외사위 63.5%, 내사위 11.4%로 나타났으며, 수직사위의 분포는 정시안은 5.7%, 근시안은 22.4 %이었으며, 각 사위별 평균치는 내사위의 경우 정시에서 $4.3P{\Delta}$, 근시에서 $3.4P{\Delta}$이었고, 외사위의 경우 정시에서 $8.8P{\Delta}$, 근시에서 $8.0P{\Delta}$를 보였으나, 상사위는 정시에서 $2.2P{\Delta}$, 근시에서 $4.3P{\Delta}$로 근시에서 정시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 PDF

착색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원거리 사위도의 변화 (The Change of the Phoria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 Lens)

  • 최현수;박성종;이석주;진문석;전진;유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9-343
    • /
    • 201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른 사위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법: 20~40세까지의 남녀 대학생 39명을 대상으로 무착색, 적색, 회색, 갈색, 녹색렌즈 를 각각 20%, 50%, 80%로 농도를 달리하여 착용 후 원거리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사위측정은 완전교정상태에서 포롭터(VT-SE,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프리즘 분리법(Vongraefe technique)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를 정위군, 내사위군, 외사위군으로 나누어서 실험하였다. 정위군에서는 모든 색상과 농도에서 약간의 내사위가 발생하였다. 내사위군에서는 평균 2.07${\Delta}$,BO 이던 사위도가 모든 색상과 농도에서 증가함을 보였고 특히, 갈색렌즈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외사위군에서는 평균 3.82${\Delta}$,BI이던 사위도가 모든 색상과 농도에서 다소 감소함을 보였고 특히, 녹색렌즈에서 평균 2.95${\Delta}$,BI로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같은 색상에서 농도를 달리하여 측정한 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안경렌즈의 색상에 따라 사위도의 변화가 확인되므로 렌즈의 색상을 선택함에 있어 사위도를 고려해야하며 안위이상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색상을 찾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초등학생의 사시에 관한 연구 (Screening Strabismus of Elementary School)

  • 김창식;이학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3-76
    • /
    • 1999
  • 정상적인 초등학교 학생 (8 - 13세) 1306명을 대상으로 사사를 조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사방법은 MIN GLASSES로 차폐 검사 후 이상자를 다시 정밀 조사하였다. MIN GLASSES 사용은 안구 운동의 관찰이 용이하였고, 정밀 검사와의 오차가 0.2%로 아주 작았다. 사시환자는 전체 대상자에서 16명(1.2%)이었고, 연령별분포는 11, 12, 13세에서는 고루 분포하였으나, 10세 1명 그리고 8세, 9세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분포는 전체 남자 654명중 6명(0.9%), 여자 652명중 16명(2.4%)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사시의 종류는 환자 모두가 사위였으며, 외사위 8명, 내사위 7명 그리고 상사위 1명으로 외사위와 내사위가 같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내, 외사위의 성별 빈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약 3배 높게 나타났다. 환자의 시력 검사 결과 굴절이상 약시로 인한 사위환자는 3명이었으나, 색각 검사는 모두 정상으로 조사되었다.

  • PDF

안경 장용자의 수평 유발 사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Horizontal Induced Phoria in Spectacles Wearers)

  • 성덕용;이원진;강성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5-91
    • /
    • 1996
  • 1996년 5월부터 7월까지 대전소재 E안과에 내원한 안경장용자 중에서 프리즘 효과를 유발시킬 목적으로 처방된 사위, 사시용 안경 장용자를 제외한 110명(남자 36명 여자 74명)을 대상으로 안경 렌즈의 광학적 중심점간 거리와 동공간 거리의 차이를 조사하여 장용 안경의 적우 판단 및 양안의 수평 유발 사위량을 조사하였다. 대상자 110명 중 광학 중심점과 동공간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는 9명(8.18%)이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101명(91.82%) 이었다. 또한 광학 중심점간 거리가 동공간 거리보다 큰 경우는 60명(54.55%), 작은 경우는 41명(37.27%) 이였다. 남자의 평균 동공간 거리는 62.44mm였으며, 여자의 평균 동공간 거리는 60.66mm로 남자가 1.78mm 크게 나타났다. 수평 유발 사위는 광학 중심점과 동공간 거리가 일치하지 않는 101명 중에서 유발 내사위가 65명(64.56%), 외사위가 36명(35.65%)이었고, 최대 유발 내사위는 $3.69{\Delta}$, 최대 유발 외사위는 $3.68{\Delta}$였다.

  • PDF

프리즘 분리법과 마독스 로드 검사법을 이용한 사위측정과 경향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tendency of heterophoria using Von Graefe test and Maddox rod test)

  • 오현진;두하영;오승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485-491
    • /
    • 2012
  • 대학생 72명의 사위검사에서 프리즘 분리법과 마독스 로드 검사법으로 측정되어진 수평사위 값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검사방법은 원거리 완전 교정 상태에서 프리즘 분리법, 마독스 로드 검사법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프리즘 분리법에 의한 수평사위 검사에서는 정위 21명(29%), 외사위 36명(50%), 내사위 15명(21%) 이었다. 마독스 로드 검사법에 의한 수평사위 검사에서는 정위 36명(50%), 외사위 26명(36%), 내사위 10명(14%), 이었다. 두 검사의 평균값은 각각 프리즘 분리법 $0.93{\Delta}$ BI, 마독스 로드 검사법 $0.96{\Delta}$ BI이었다. 검사 방법에 따라 수평사위 값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heterphoria 법으로 AC/A비를 측정한 결과 최저 1.0에서 최대 8.8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대상안의 굴절이상 상태와는 유의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