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al Cancer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5초

The RUNX1 Enhancer Element eR1: A Versatile Marker for Adult Stem Cells

  • Chuang, Linda Shyue Huey;Osato, Motomi;Ito, Yoshiaki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2호
    • /
    • pp.121-125
    • /
    • 2020
  • The identification of adult stem cells is challenging because of the heterogeneity and plasticity of stem cells in different organs. Within the same tissue, stem cells may be highly proliferative, or maintained in a quiescent state and only to be activated after tissue damage. Although various stem cell markers have been successfully identified, there is no universal stem cell marker, which is exclusively expressed in all stem cells. Here, we discuss the roles of master developmental regulator RUNX1 in stem cells and the development of a 270 base pair fragment of the Runx1 enhancer (eR1) for use as stem cell marker. Using eR1 to identify stem cells offers a distinct advantage over gene promoters, which might not be expressed exclusively in stem cells. Moreover, RUNX1 has been strongly implicated in various cancer types, such as leukemia, breast, esophageal, prostate, oral, skin, and ovarian cancers-it has been suggested that RUNX1 dysfunction promotes stem cell dysfunction and proliferation. As tissue stem cells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cancer cells-of-origin and cancer stem cells, we will also discuss the use of eR1 to target oncogenic gene manipulations in stem cells and to track subsequent neoplastic changes.

Unplanned change from double free flap to a chimeric anterolateral thigh flap in recurrent laryngeal cancer

  • Ki, Sae Hwi;Ma, Sung Hwan;Sim, Seung Hyun;Choi, Matthew Seung Su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16-420
    • /
    • 2019
  • Reconstruction method choice in recurrent head and neck cancer depends on surgical history, radiation therapy dosage, conditions of recipient vessels, and general patient condition. Furthermore, when defects are multiple or three dimensional in nature, reconstruction and flap choice aimed at rebuilding the functional structure of the head and neck are difficult. We experienced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recurrent laryngeal cancer requiring reconstruction of esophageal and tracheostomy stroma defects using a chimeric two-skin anterolateral thigh flap with a single pedicle.

식도암 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Quality of Life after Esophageal Surgery for Esophageal Surgery)

  • 김종욱;문혜원;김용희;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310-316
    • /
    • 2006
  • 배경: 식도암 환자에서 환자의 관점에서 본 수술 후의 삶의 질과 기능상의 호전을 연구해서 회복과정의 지침이 되게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식도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250명 중 상담이 가능하며 1년 이상 재발 없이 살아있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은 환자와 직접 또는 전화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질문의 내용은 식사습관, 체중변화, 위식도 역류증, 급성 이동증, 일상생활의 변화 등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남자가 53명(93%) 여자가 4명(7%)로 평균 연령은 $62{\pm}05{\pm}8.7$ (범위 : $37{\sim}94$)이었다. 수술은 43예(75.4%)에서 Ivor Lewis 술식으로 행해졌고 4예(7.1%)에서 위결장공장 문합술 10예(17.5%)에서 Mckeown Operation이 시행되었다. 식사습관은 55명(96.5%)의 환자가 하루 세 차례 이상 식사하였으며 평균 빈도수는 3.5회/일이었으며 51명(89.5%)의 환자가 고형식, 정상식이 가능했고 5명(8.8%)는 유동식만이 가능했다. 술 전과 비교해 32명(56.9%)의 환자가 80% 이상의 식사속도로 먹을 수 있었고 28명(39.1%)의 환자는 술 전 양의 80% 이상을 먹을 수 있었다. 32명(56.9%)의 환자에서 체중이 10% 이내의 적은 변화가 있었으며 25명(43%)의 환자에서는 체중이 술 전보다 증가하였다. 4명(7%)의 환자에서 매 식사마다 위식도역류증이 있었고, 27명(47.4%)의 환자에선 식사 후 적은 역류증이 있었다. 7명(12.3%)의 환자에서 급속 이동증에 의한 식후 설사를 경험했다. 38명(66.6%)의 환자는 정상적인 활동을 하였고 19명(33.3%)의 환자에서 활동의 감소가 있었다. 면담 시점에서 53명(93%) 대부분의 환자가 때때로의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수술 결과에 만족해 하였다. 정동상태에서 보면 50명(88.4%)의 환자가 수면장애 없이 잘 수 있었고 65%의 환자가 정신적으로 안락한 상태였다. 39%의 환자가 성욕을 느낀다고 대답했는데 환자군의 평균 연령이 63세인 것을 감안하면 정상범위에 있다고 할 수 있었다. 결론: 식도암으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을 받은 환자들의 삶의 질은 거의 술 전 상태로 회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립성 골 전이를 동반한 식도편평세포암에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 요법 후 완전관해를 보인 1례 (A Case of Complete Remission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Solitary Bone Metastasis)

  • 이우진;전훈재;김예지;김선영;서민호;최혁순;김은선;금보라;진윤태;이홍식;엄순호;김창덕;류호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53-57
    • /
    • 2013
  • 원격장기 전이를 동반한 식도암 환자에서 아직까지 정립 된 효과적인 치료는 없는 실정이며, 환자의 전신수행능력에 따라 전신 항암화학요법 또는 대증 요법이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진단 당시 고립성 골 전이를 동반한 식도암 환자에서 항암화학방사선 요법으로 완전관해를 이룬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57세 남자가 약 2개월 전부터 시작된 진행하는 연하곤란 및 체중감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 및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5번째 흉추에 고립성 전이를 동반한 식도편평세포암으로 진단되었다. 연하곤란의 완화를 위하여 2달간 항암화학방사선 요법을 계획하였으며, 원발성 식도암 병변에 대한 방사선 조사 범위에 흉추의 골전이 병변이 포함되어 원발성 병변과 함께 흉추에 대해서도 항암화학방사선 요법을 시행하였다. 동시 항암화학요법이 끝난 뒤에 4주기의 추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추적관찰 전산화 단층촬영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에서 이전에 관찰되었던 원발성 식도암, 식도주변의 림프절 병변 및 흉추의 골 전이 병변은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으며, 추적 내시경 조직 검사상암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식도 편평세포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0-14
    • /
    • 2009
  • 목적: 식도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 및 방사선 단독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06년까지 방사선치료를 받은 132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35명은 제2병기 88명은 제3병기 9명은 제4병기 환자였다. 상부 식도암이 18명, 하부 식도암이 33명이었으며 중등부 식도암이 81명이었다. 60명에서는 방사선 단독 치료를 시행하였고 72명은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8명에서는 40 Gy 이하를 조사하였으며 78명에서는 40내지 50 Gy를 조사하였다. 나머지 46명은 50내지 60 Gy를 조사 받았으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는 45 Gy를 조사받았다. 결과: 전체 환자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24% 및 5%이었고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19% 및 8%,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18% 및 2%이었다. 제2병기, 제3 병기 및 제4병기 환자의 2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43% 및 15, 22% 및 2, 0% 및 0% 이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상부, 중등부, 하부 식도암의 2년 생존율은 각각 19, 29, 22%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 13명(22%)은 완전관해를, 40명(67%)은 부분관해를 보였고 7명(12%)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군이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보다 더 나은 2년 생존율을 나타내었다(31% vs 17%). 결론: 식도암에서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치료 방법이었으며 병기 및 방사선치료에의 반응 정도가 유의한 예후인자이었다. 그러나 식도암의 장기 생존율 및 예후가 만족스럽지 못하므로 더욱 효과적인 치료 방법의 개발이 향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한 호흡기 합병증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Surgery for Esophageal Cancer)

  • 이장훈;이정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34-139
    • /
    • 2006
  • 배경: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은 매우 다양하다. 이 중 호흡기 합병증은 환자의 경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이에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1년 8월까지 근치적 식도암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88명 중 수술 중 사망한 1예를 제외한 8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호흡기합병증이 발생한 군(group A, 28예)과 발생하지 않은 군(group B, 59예)으로 나누어 두 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는 Fisher's exact test로 검증하였다 걸과 호흡기 합병증은 28예에서 발생하여 $32.2\%$의 호흡기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다. 환자의 과거력, 수술시간, 문합방법, 술 전 폐기능, 병기, 술전 항암요법의 유무 등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한 군에서 환자의 나이가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1) 경부 문합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23). 수술 직후 상용적인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예는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7). 호흡기 합병증 발생군에서 흉관 거치기간, 재원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p=0.011, p=0.001). 수술 사망은 모두 5예에서 발생하여 $5.7\%$의 수술 사망률을 보였는데 모두가 호흡기 합병증에 의한 것이었고 폐렴이 4예로 가장 많았다. 폐렴이 발생한 환자들의 객담 배양검사에서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폐렴으로 사망한 4예 모두 MRSA 폐렴에 의한 것이었다. 결론: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한 호흡기 관련 합병증이 수술 사망의 주된 원인이었으며 환자의 나이가 많은 경우, 경부문합인 경우가 호흡기 합병증 발생의 위험인자였다. 수술 직후 상용적인 인공호흡기의 사용이 호흡기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MRSA에 의한 병원 감염의 예방이 호흡기 합병증과 수술 사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부식성 식도협착에 대한 식도 재건술(II) (Reconstructive Surgery for Caustic Esophageal Stricture (II))

  • 정승혁;강경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20-426
    • /
    • 1996
  •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1959년부터 1982년까지 24년간 부식성 식도헙 착증에 대한 344 수술례를 보고한 바 있으며,저자등은 1983년 1월부터 1995년 2월까지 69례의 부식성 식도협착증환자에서 결장을이용 한 식도재건술을 시 행하였다. 이중 냠자는 32명, 여자는 37명이 었으며 연령은 4세에서 65세까지 분포하 였으며 평균 연령은 36.4세 였다. 부식제의 종류로는 산성이 37례 (53.7%), 알칼리성 이 31례 (44.9%)였다. 3례 34.3%)에서 암이 합병하여 개홍술을 통한 식도절제술을 동시에 실시하였고 나머지 66례 에서는 식도 절제술을 시 행하지 않고 흥골하 식도 결장 위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64례에서 말단 회장부를 포함한 우 측결장을 순연동운동 방향으로 연결하였고 5례 에서 좌측결장을 이 용하였고 이중 2례는 순연동식, 3례 는 역 연동식으로 연결하였다. 문합부 누출이 가장 흔한 합병증(10례, 14.4%)이 었고 이중 8례 (11.6%)가 경부, 2례 (2.9%)가 회장-결장 문합부에서 있었다 수술 사망율은 2.9% (2례)였고, 사망원인은 패혈증과 종격동염이었다. 생존한 67명에 대하여 6개월에서 12년(평균2.5년)에 걸친 추적 결과 88.1%(59례)에서 정상 식 이가 가능 臼눗\ulcorner7.5% (5례)에서 중등도의 연하 곤란을 보였으며 4.5% (3례)는 입을 통한 식 이 섭 취가 불가능하였다. 결장을 이용한 식도 재건술은 이환율과 사망율이 적정한 만족스러운 술식이며 우 측결장은 지속적이고 기능적 인 대용식도이다.

  • PDF

식도 질환의 외과적 치료 및 분석 (Surgical Treatment and Analysis of Esophageal Diseases)

  • 최영호;조성준;조원민;김광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123-1128
    • /
    • 1996
  • 고려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최근 5년간(1989년 1월∼1994년 7월) 외과적 치료를 시행했던 152례의 식도환자를 대상으로 악성 종양, 양성 종양, 운동성 장애 질환(식도 게실 및 무이완증), 협착, 천공 및 선천성 질환으로 분류 임상분석을 시도하였다. 가장 많았던 질환은 악성종양이며 총 73례로, 전체환자의 48%를 차지하였다. 이중 71%인 52례의 경우에서 식도의 절제 및 재건술을 시도하였고, 나머지 경우에 있어서 위루 성형술, 공장루 성형술 및 식 도관 삽입을 시행하였다. 남녀 비는 남:여 65.8이 었으며, 평균나이는 58.7세였다 이중 합병증으로 인한 병원내 사망례는 5례로 7.8%이며, 합병증으로는 문합부 누출이 가장 많았다. 양성종양은 모두 평활근종으로 6례 (3.9%)였으며, 이중 1례의 경우 흉강경을 이용한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운동성 질환중 식도무이완증(Achalasia)이로(4.6%), 변형된 Hello이 근절개술을 시행하였고, 3례는 Belsey Mark IV 수술을 동반하였다. 게실은 11례 (7.2%)였다 식도협착은 20례 (14.1%)로 대부분이 부식제 섭취에 의한 협착이었으며, 이중 17례에서 위나 대장을 이용한 재 건술을 시행하였다. 식도천공은 20례 (14.1%)였으며 이중 내시경등에 의한 외부손상례가 가장 많았고(15례), 수술방법으로는 천공부위의 일차봉합이 가장 많았고(8례), 6례의 경우 격리 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사망례는 없었다 선천성질환이 6례 (3.9%)였고,나머지 기관-식도루등의 기타질환이 9례(5.9%)였다.

  • PDF

Elevated Serum Neutrophil to Lymphocyte and Platelet to Lymphocyte Ratios Could be Useful in Lung Cancer Diagnosis

  • Kemal, Yasemin;Yucel, Idris;Ekiz, Kubilay;Demirag, Guzin;Yilmaz, Bahiddin;Teker, Fatih;Ozdemir, Melte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651-2654
    • /
    • 2014
  • Background: Lung cancer (LC) is still the primary cause of cancer deaths worldwide, and late diagnosis is a major obstacle to improving lung cancer outcomes. Recently, elevated preoperative or pretreatment 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 (NLR), platelet to lymphocyte ratio (PLR) and mean platelet volume (MPV) detected in peripheral blood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with various cancers, including colon cancer, esophageal cancer, gastric cancer and breast cance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PV, NLR and PLR could be useful inflammatory markers to differentiate lung cancer patients from healthy controls. An investigation was also mad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arkers and other prognostic factors and histopathological subgroups.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ly eighty-one lung cancer patients and 81 age-sexes matched healthy subjects included into the study. Patients with hypertension, hematological and renal disease, heart failure, chronic infection, hepatic disorder and other cancer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he preoperative or pretreatment blood count data was obtained from the recorded computerized database. Results: NLR and PLR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C patients compared to the healthy subjects.( NLR: 4.42 vs 2.45 p=0.001, PLR: 245.1 vs 148.2 p=0.002) MPV value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7.7 vs 7.8).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determined between these markers (MPV, NLR and PLR) and histopathological subgroups and TNM stages. Conclusions: NLR and PLR can be useful biomarkers in LC patients before treatment. Larger prospective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se findings.

Gene Silencing of β-catenin by RNAi Inhibits Proliferation of Human Esophageal Cancer Cells by Inducing G0/G1 Cell Cycle Arrest

  • Wang, Jin-Sheng;Ji, Ai-Fang;Wan, Hong-Jun;Lu, Ya-Li;Yang, Jian-Zhou;Ma, Li-Li;Wang, Yong-Jin;Wei, W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527-2532
    • /
    • 2012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down-regulating ${\beta}$-catenin expression on esophageal carcinoma (EC) cells. Methods: Cell cycle distribution and apoptosis were determined using flow cytometry and annexin V apoptosis assay, respectivel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ultrastructure, while expression of cyclin D1 protein and mRNA was detected by western blot and real-time PCR.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1-2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PCNA labeling index (LI) was determined by immunocytochemistry. Results: Compared with pGen-3-con transfected and Eca-109 cells, the percentage of G0/G1-phase pGen-3-CTNNB1 transfected cells was obviously increased (P<0.0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with regard to apoptosis (P>0.05). pGen-3-CTNNB1 transfected cells exhibited obvious decrease in cyclin D1 mRNA and protein expression (P<0.05) and the ultrastructure of Eca-109 cells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after being transfected with pGen-3-CTNNB1, suggesting that down-regulating ${\beta}$-catenin expression can promote the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The expression of PCNA and the ERKI/2 phosphorylation state were also down-regulated in pGen-3-CTNNB1 transfected cells (P<0.05). At the same time, the PCNA labeling index was decreased accordingly (P<0.05). Conclusion: Inhibition of EC Eca-109 cellproliferation by down-regulating ${\beta}$-catenin expression could improve cell ultrastructure by mediating blockade in G0/G1 through inhibiting cyclin D1, PCNA and the MAPK pathway (p-ERK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