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 O157:H7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9초

차아염소산나트륨이 비가열 엽경채류 중 병원성 대장균 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icacy of Sodium Hypochlorite against E. coli on Various Leafy Green and Stem Vegetables)

  • 김수진;방우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36
    • /
    • 2023
  • 본 연구는 집단급식소에서 제공되는 빈도수가 높은 비가열 및 가열조리 엽경채류에 사용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에 대하여 미생물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비병원성 대장균과 장출혈성 대장균의 칵테일(E. coli O157:H7)을 엽경채류(초기 균수 7-8 log CFU/g)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차아염소산나트륨을 5분간 침지 후 흐르는 물에 3번 씻어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초기 오염물질에 비해 살균효과가 1-2 log CFU/g 저감화하여 대조군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잎채소의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표면적이 클수록, 덜 거칠고 잎이 부드러울수록 살균효과가 높았다. 200 mg/kg으로 처리하였을 때 100 mg/kg에 비해 0.1-0.3 log CFU/g만큼 효과가 더 감소하였으나 농도 증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므로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에서 제시한 기준 이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를 높이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잎채소는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초기 오염도가 높기 때문에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만으로는 안전한 수준의 저감을 달성하기 어려워 생물학적 위험이 잔존한다. 따라서 여름철에 가열하지 않은 잎채소의 대체 조리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안전성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머루 과피와 종자 추출물의 식품 위해성 세균에 대한 항균성 및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cytotoxicity 분석 (Analysis of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 Spoilage and Food-borne Pathogens and Cytotoxicity on Human Cancer Cell Lines of Extracts from Pericarp and Seed of Vitis coignetiea)

  • 원지혜;김미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5-182
    • /
    • 2012
  • In this study, antibacterial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from pericarp and seed of $Vitis$ $coignetiea$, which were extracted with 0.1% HCl-60% ethanol, were analyz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determined by paper disc diffusion method against food spoilage and food-borne pathogens. The pericarp extract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H7, and $Pseudomonas$ $aeruginosa$, and the seed extract represented the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E.$ $coli$ O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cytotoxicity of the $Vitis$ $coignetiea$ extract against human cancer cells was determined using the MTT assay and SRB assay. The pericarp extract represented strong growth-inhibition activity against G361 and Hep3B cells and the seed extract greatly inhibited the growth of HeLa and G361 cells in the MTT assay. In addition, the pericarp extract displayed a hig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the growth of AGS cells and the seed extract greatly inhibited the growth of HeLa, Hep3B, and MCF7 cells in the SRB assay. Especially, the cytotoxicities of the seed extract against HeL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extract against other cancer cells at all test concentrat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xtract from pericarp and seed of $Vitis$ $coignetiea$ possess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nd cytotoxicity.

매실과 리큐르 부산물인 매실박의 항균활성 비교 (Antibacterial Activity of Fresh Prunus mume and Prunus mume Liqueur Byproduct)

  • 박나영;채명희;이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7-81
    • /
    • 2007
  •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매실박)에도 항균활성이 잔존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매실과 매실박을 동결 건조한 분말기 에탄을 추출물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매실박의 항균활성이 생매실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높은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공시 병원성 미생물은 배양 12시간째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배양 24시간째 $10^7CFU/mL{\sim}10^9CFU/mL$을 나타내어 비교적 양호한 성장을 나타내었다. L. monocytogenes ATCC 19115, B. cereus KCCM 11341은 생매실과 매실박 추출물 1% 첨가시 배양 12시간째부터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S. sonnei SG 48, E. coli O157:H7은 배양 24시간째에 검출되지 않았다. Sal. Typhimurium ATCC 14028의 경우, 매실박 추출물 1% 첨가구는 24시간째 $10^2CFU/mL$을 나타내어 배양 시간이 증가할수록 균수가 감소하였으나, 생매실 추출물의 경우 배양 12시간째부터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매실 및 매실박 추출물은 L. monocytogenes Scott A의 성장을 뚜렷하게 억제하였으며, 매실박과 생매실 간의 항균활성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Staph. aureus KCCM 12255와 P. fluorescens ATCC 21541은 배양기간 동안 생매실 또는 매실박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성장이 뚜렷이 억제되었다. 공시 병원미생물에 대해 생매실 추출물은 매실박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매실 리큐르 제조 후 부산물로 나오는 매실박 추출물도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는 뚜렷하였다.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평가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for Raw Materials and Cook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 Establishment)

  • 신원선;홍완수;이경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79-389
    • /
    • 2008
  •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에 대한 미생물적 품질검사를 위하여 2005년 6월${\sim}$7월, 9월${\sim}$10월의 2회로 나누어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11개교에서 원료 식재료와 이를 이용하여 조리한 식품시료(54종 64품목)를 수거하였다. 수거한 시료 중 장내세균은 전처리 채소에서 $0.86{\sim}6.78$ log CFU/g, 육류(돼지고기, 쇠고기, 닭봉)에서 $2.08{\sim}5.18$ log CFU/g, 어류(고등어, 코다리, 동태)에서 $2.20{\sim}4.1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양념된 채소인 생채류와 샐러드에서 $2.99{\sim}5.30$ log CFU/g, 숙채류에서는 $2.45{\sim}4.2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반 가공 식품인 J교의 떡국떡, D교의 두부에서도 각각 0.72와 2.44 log CFU/g의 장내세균이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전처리 야채인 쪽파(1.74 log CFU/g), 비전처리 야채에서 방울토마토(3.70 log CFU/g), 깻잎(3.59 log CFU/g), 쑥갓(3.15 log CFU/g), 미나리(0.20 log CFU/g), 파슬리(3.00 log CFU/g) 등 5건이 검출되었고, 육류는 돼지고기(0.65 log CFU/g), 쇠고기($0.20{\sim}1.50$ log CFU/g), 닭봉(1.78 log CFU/g)에서 검출되었다. 조리된 식품에서는 숙채류인 무청된장무침에서 1건(1.24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다중검출 유전자분석법(Multiplex PCR)을 이용한 유전자분석방법으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 aureus, B. cereus, C. jejuni, V. parahaemolyticus, Shigella spp. 8종을 검출하여 확인한 결과, 8건의 조리된 음식과 식재료 19건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B. cereus의 정량검사 결과, 깻잎 5.46 log CFU/g, 청포묵무침 1.79 log CFU/g, 쪽파(전처리) 3.48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조리식품인 청포묵무침과 코다리조림은 원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조리된 식품에서 B. cereus가 검출되어 조리과정에서의 교차오염으로 판단되었다. E. coli O157:H7은 냉동쇠고기에서 2건이 검출되었고 1건이 API kit로 확인 동정(93.7%)되었다. L. monocytogenes는 유전자분석결과 튀김 1건에서 검출되었으나 전통적인 배지법으로 확인 실험한 결과, 의심집락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C. jejuni는 전처리한 양파에서 검출되었다.

솔잎과 녹차 추출물이 식중독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on the Survival of Pathogenic Bacteria)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6
    • /
    • 2000
  • 솔잎과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액체배지에 0~2%(w/v)첨가하여 5종류의 식중독세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을 $10^{5}$~$10^{6}$ cells/ml 되게 접종하여 35$^{\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 종류와 농도에 따른 각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배양액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각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구하였다. 아울러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과 보존료인 sodium benzoate로서 각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의크기를 비교하였다. 솔잎추출물은 Gram 양성균(L. monocytogenes, S. aureus)과 Gram 음성균중 A. hydrophila에 대하여 0.4~l.6%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E. coli와 S. typhimurium은 솔잎추출물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에 대하여 사멸작용은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녹차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 모두에 대하여 0.2~l.0%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모든 균주를 0.5~2.0% 범위내에서 사멸시키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특히 S. aureus와 A. hydrophila에 대하여 보존료(sodium benzoate)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녹차 에탄올추출물 > 녹차 물추출물 > 솔잎 에탄올추출물 > 솔잎 물추출물의 순이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녹차추출물은 다양한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천연 보존료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다.

  • PDF

Anti-bacterial Effect of Oenothera lamarckiana Aerial Part Extract

  • Yang, Ji Yeong;Lee, Pyoengjae;Kim, Sa-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3-388
    • /
    • 2020
  • Ingestion of food contaminated with microorganism, if not always, could lead to severe health problem. Preservatives has been added to food to prevent foo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microorganism. But, these have potential to threaten the health. Therefore, much effort has been taken to find the safe materials show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Oenothera lamarckiana aerial part extract against eight bacteria strain. In paper disc assay, extract inhibited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Bacillus cereus and Shigella dysenteriae at 200 μg/disc, but not against Escherichia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Typhi and S. enteritidi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Bacillus cereus and Shigella dysenteriae is 250, 250, 500 and 500 μg/mL, respectively. Compared with reported MIC of other plant resources, O. lamarckiana aerial part extract showed the relatively high anti-bacterial activity. O. lamarckiana aerial part could be suitable for the preservative development. But, it still remains to be studied to evaluate safety and so on.

비열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polystyrene, 소시지 케이싱, 그리고 훈제연어에서의 식중독균 저해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s on Polystyrene, Sausage Casings, and Smoked Salmon Using Nonthermal Plasma Treatments)

  • 이한빛;노영은;양희재;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13-517
    • /
    • 2011
  • PS 필름에 접종된 S. Typhimurium,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를 저해시킬 때 헬륨을 사용한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에는 S. Typhimurium이, 헬륨과 산소를 동시에 사용한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에는 L. monocytogenes가 가장 많이 저해되었다.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는 헬륨과 산소를 함께 사용하여 플라즈마 처리하였을 때 헬륨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큰 저해를 보였다. 헬륨과 산소를 함께 사용한 비열 플라즈마 처리는 L. monocytogenes가 소시지 케이싱이나 훈제연어에 감염되었을 때보다 PS 필름에 감염되었을 때 L. monocytogenes를 더 효과적으로 저해시켜 감염된 재료에 따라 다른 저해 효과를 보여 주었다. 비열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된 가스의 종류와 미생물이 감염된 재료는 그 처리의 항균 효과에 대한 평가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헬륨과 산소를 사용한 비열 플라즈마 처리는 공정 후 포장재에 감염된 L. monocytogenes를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lectorlyzed water as a disinfectan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in vegatables and kitchen apparatus

  • Chang, Tae-Eun;Shin, O-kyu;Jun, Dong-Wha;Lee, Tae-Seek;Kim, Poong-Ho;Shin, Il-Shik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93-94
    • /
    • 2003
  • In recent, there are many report about nonthermal disinfection using electorlyzed water, Also, foodborne illnesses associated with pathogenic bacteria such as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have raised concerns about the adequacy of disinfectants (Kim et at., 2000). Foodborne pathogens in vegetables and kitchen apparatus are not easy to disinfect but also hard to use chemical compounds for disinfection. (omitted)

  • PDF

닭고기에서 병원성 및 변질미생물의 감소를 위한 염소와 유산의 병용처리 효과 (Efficacy of chlorine and lactic acid for reducing pathogenic and spoilage microorganisms on chicken skin)

  • 이철현;변유성;황보원;강호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1-418
    • /
    • 1999
  • In this studies, the ability of chlorine and lactic acid to reduce bacterial population of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examined on artificially inoculated chicken skin. About 10$^{5}$ cells of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were inoculated in chicken skin. The contaminated samples were washed for 1 min with sodium hypochlorite solutions that contained 2, 5, 10, 20 and 50mg/$\ell$ available chlorine and counted number of the agents. Viable population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p$\geq$0.05) between concentration of chlorine and strains of the pathogens. In the samples inoculated with pathogens were washed in 20mg/$\ell$ chlorine and then stored at $^5{\circ}C$ for up to 10 days, the initial counts of psychrotrophs and aerobic plate counts were 4.02 to 4.36 log cfu/$\textrm{cm}^2$ and increased slightly in course of time. But 10 days after, the pathogens were a little reduced from 3.66~4.91 log cfu/$\textrm{cm}^2$ to 2.54~4.66 log cfu/$\textrm{cm}^2$. In the case of washed skin with solution of 20mg/$\ell$ chlorine and 0.5% lactic acid then store at $^5{\circ}C$ for up to 10 days, population of psychrotrophs and aerobic plate counts on chicken skin were markedly reduced immediately after treatment, but the numbers of contaminants were slightly increased after 6 and 8 days. Specifically, numbers of St aureus, S enteritidis, L monocytogenes and E coli O157:H7 were reduced to 0.5, 0.4, 0.3 and 1.15 log cfu/$\textrm{cm}^2$ after 10 days of storage, respectively, on aerobic plate cou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