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ection System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5초

Web buckling behavior of FRP composite box-beams: Governing parameters and their effect

  • Kasiviswanathan, M.;Upadhyaya, Akhil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6권1호
    • /
    • pp.55-75
    • /
    • 2021
  • The lightweight superstructure is beneficial for bridges in remote areas and emergency erection. In such weight-sensitive applications, the combination of fiber-reinforced polymer (FRP) as a material and box-beams as a structural system have enormous scope. This combination offers various advantages, but as a thin-walled structure, their designs are often governed by buckling criteria. FRP box-beams lose their stability either by flange or web buckling mode. In this paper, the web buckling behavior of simply supported FRP box-beam subjected to transverse load has been studied by modeling full box-beam to consider the effect of real state of stress (stress variation in length direction) and boundary conditions (rotational restraint at web-flange junction). A parametric study by varying the sectional geometry and fiber orientation is carried out by using ANSYS software. The accuracy of the FE models was ensured by verifying them against the available results provided in the literature. With the help of developed database the influential parameters (i.e., αs, βw, δw and γ) affecting the web bucklings are identified. Design trends have been developed which will be helpful to the designers in the preliminary stage. Finally, the importance of governing parameters and design trends are demonstrated through pedestrian bridge design.

크로스 브릿지 간격에 따른 캣워크 시스템의 비틀림 거동 평가 (Evaluation of Torsional Behaviour for the Catwalk System on A Suspension Bridge by Cross Bridge Interval)

  • 이호;김호경;김기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371-376
    • /
    • 2015
  • 현수교 주케이블 가설을 위한 임시 구조물인 캣워크의 비틀림 거동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캣워크의 비틀림 변형은 작업원의 안전성과 작업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설계단계에서는 크로스 브릿지의 간격을 조정하여 캣워크의 비틀림 변형이 일정 수준이하가 되도록 고려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캣워크의 비틀림 안전성과 관련된 크로스 브릿지의 설치 간격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석적 접근을 위해 크로스 브릿지를 포함한 상세 부분해석 모델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크로스 브릿지 설치 간격에 따른 영향을 Prefabricated Parallel Wire Strand의 편심하중과 가설이 가능한 풍속 영역에서의 풍하중에 대해 검토를 수행하였다. 검토 결과 크로스 브릿지의 설치 간격이 캣워크의 비틀림 거동에 큰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으며, 검토 대상 교량의 캣워크는 비틀림 변형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충전원형강관을 이용한 모듈러 교각의 휨 거동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Behavior of a Modular Pier with Circular CFT)

  • 마향욱;오현철;김동욱;;심창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25-734
    • /
    • 2012
  • 모듈화된 급속시공 교량 구조물의 하부구조 형식으로 충전 원형강관을 이용한 교각 구조물을 제안하였다. 다수의 충전강관을 연결하여 표준화된 제품으로 생산하여 운반 조립할 수 있는 구조 상세와 연결 상세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상세와 연결상세를 반영한 모듈러 교각의 정적실험을 강축과 약축에 대해서 횡변위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단일 기둥으로 설계한 것에 비하여 모듈러 CFT 교각 시스템이 브레이싱으로 연결된 편심효과로 인해 5.23배 높은 휨강성을 나타내었고 휨강도도 6배 이상 증가하였다.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모듈러 CFT 교각을 프레임으로 모델링하여 응력 및 처짐 검토를 수행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각을 구성하는 기둥간의 간격 조정을 통해서 필요한 내하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모듈러 건축물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발주 방식의 개발 (Development of Project Delivery System in Public Sector for Modular Building)

  • 남성훈;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9-56
    • /
    • 2016
  • 최근 모듈러 건축물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건설산업에서 모듈러 건축물을 활용한 건축공사의 발주는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원인들이 분석되고 있으나 그 중 중요한 것은 모듈러 건축물은 기존 현장중심의 건설생산체계를 공장제작-운송-현장설치 새로운 체계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 공공공사의 기존 발주방식은 전기통신공사업 등 개별법에서 분리발주를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에 모듈러 건축물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새로운 건설생산체계를 수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 발주방식은 모듈러 건축물을 현장중심의 공사로 분리발주(건축 토목, 전기, 통신, 소방 등) 계약할 수밖에 없고, 건축 토목공사의 계약 범위 안에서 모듈러 유닛을 물품으로 구매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러한 분리발주로 인한 모듈러 건축물의 공장제작 비율을 저하시키고 공사비 상승, 품질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서 모듈러 건축물의 장점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애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듈러 건축물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건설생산체계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발주방식을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2층도로용 강구조 덱 시스템의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Steel-Deck System for Two-Story Roads)

  • 조효남;민대홍;김현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통권36호
    • /
    • pp.553-564
    • /
    • 1998
  • 최근도심지의 극심한 교통체증의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2층도로 강구조 덱 시스템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신속한 시공과 콘크리트덱에 비하여 자중의 감소효과가 크고 보다 큰 강도와 효율적인 가설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구조 덱 시스템의 최적설계프로그램을 이용한 2층도로용 강구조 덱 시스템의 가장 합리적인 형식 결정에 관한 연구이다. 최적화의 목적함수는 최소 초기비용으로 정식화하였다. 설계 제약조건은 도로교시방서의 ASD설계기준에 맞추어 정식화하였으며 최적설계과정은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는 박스 또는 플레이트주형에 대한 강구조 덱 시스템의 최적설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에서 개단면 또는 폐단면리브를 갖는 강상판에 대하여 최적설계를 한다. 최적설계 프로그램의 구조해석은 주형에 대하여 격자해석 모델링을 이용하였고 강상판에 대해서는 Pelican-Esslinger법을 사용하였다. 최적화 기법은 SQP를 이용하였다. 적용 예의 각 형식별 강구조 덱 시스템의 최적설계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비용의 효율성을 검토하였고 폐단면리브를 가지는 직선 형상의 박스거더 형식이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판단된다.

  • PDF

Modulation of $GABA_A$ Receptor by Protein Kinase C in Autonomic Major Pelvic Ganglion Neurons

  • ;;;공인덕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9-76
    • /
    • 2008
  •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s the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its actions are mediated by subtypes of GABA receptors named as $GABA_A$, $GABA_B,\;and\;GABA_C,\;GABA_A$, receptor consisting of ${\alpha},\;{\beta},\;{\gamma}\;and\;{\delta}$ subunits is a heterooligomeric ligand-gated chloride channe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gulation of $GABA_A$ receptor by protein kinase C(PKC). Ion currents were recorded using gramicidine-perforated patch and whole cell patch clamp. mRNA encoding the subunits of PKC expressed in major pelvic ganglion (MPG) neurons was detected by using RT-PCR. The GABA-induced inward current was increased by PKC activators and decreased by PKC inhibitors, respectively. These effects were not associated with intracellular $Ca^{2+}$ and GAG (1-oleoyl-2-acetyl-sn-glycerol), a membrane permeable diacylglycerol (DAG) analogue. These results mean that the subfamily of PKC participating in activation of $GABA_A$ receptor would be an atypical PKC (aPKC). Among theses, ${\xi}$ isoform of aPKC was detected by RT-PCR. Taking together, we suggest that excitable $GABA_A$ receptor in sympathetic MPG neuron seemed to be regulated by aPKC, particular in ${\xi}$ isoform. The regulatory roles of PKC on excitatory $GABA_A$ receptors in sympathetic neurons of MPG may be an important factor to control the functional activity of various pelvic organs such as bowel movement, micturition and erection.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of GINZA KABUKIZA

  • Kawamura, Hiroshi;Ishibashi, Yoji;Morofushi, Tsutomu;Saragai, Yasuyuki;Inubushi, Akira;Yasutomi, Ayako;Fuse, Naohiko;Yoshifuku, Manabu;Saitoh, Kouji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33-241
    • /
    • 2016
  • This paper describes the structural solution for the design of a 29-story high-rise tower, which features a large office space above the Kabukiza Theatre. Kabuki is a type of Japanese traditional drama, and Kabukiza is the home building of Kabuki. GINZA KABUKIZA is the fifth generation of the Kabukiza Theatre, the first of which was built in 1889. In order to support 23 stories of office space above the theater - featuring a large void in plan - two 13-meter-deep mega-trusses, spanning 38.4 meters, are installed at the fifth floor of the building. Steelwork is used as a primary material for the structure above-ground, and a hybrid response control system using a buckling-restrained brace and oil damper is adopted in order to achieve a high seismic performance. This paper also describes the erection process of installing hydraulic jacks directly above the mega-truss at column bases, in order to keep the structure above the truss level during construction. The temple architecture of the previous Kabukiza is carefully restored by incorporating contemporary light-weight materials supported by steelwork.

반복 횡하중을 받는 유공 PC 기둥 접합부의 구조성능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the Hollow PC Column Joint Subjected to Cyclic Lateral Load)

  • 서수연;윤승조;이우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35-343
    • /
    • 2008
  • 본 연구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멘트 골조 시스템의 시공 성능 향상과 접합부 내진성능 향상을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PC 기둥 부재와 시공 공정을 개발하였다. 이 PC 기둥은 원심력으로 제조되어 내부에 공간이 비워있는 중공관 PC 부재로서, 이 기둥을 활용할 경우, 중공관을 통하여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동일한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안된 PC 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복가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기둥 주철근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계적 이음과 겹침이음을 활용한 2가지 이음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PC 기둥의 띠철근 배근 형태를 고려하여 실물 크기의 4개 실험체를 계획 실험하였다. 반복 횡력 시험 결과, 제안된 HPCC 기둥을 활용할 경우, 현장타설 RC 시스템의 접합부 내진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돔형 공간 구조물의 Rise-span 비에 따른 불안정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stable behavior According to rise-span ratio of dome type space frame)

  • 손수덕;김승덕;강문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제1권1호(통권1호)
    • /
    • pp.75-82
    • /
    • 2004
  • Many researcher's efforts have made a significant advancement of space frame structure with various portion, and it becomes the most outsanding one of space structures. Howev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in and long term of spacing, the unstable behavior of space structure is shown by initial imperfection, erection procedure or joint, especially space frame structure represents more. This kind of unstable problem could not be set up clearly and there is a hug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experiment. Moreover, the discrete structure such as space frame has more complex solution, this it is not easy to derive the formulation of design about space structure. In this space frame structure, the character of rise-span ratio or load mode is represented by the instability of space frame structure with initial imperfection, and snap-through or bifurcation might be the main phenomenon. Therefore, in this study, space frame structure which has a lot of aesthetic effect and profitable for large space covering single layer is dealt. And because that the unstable behavior due to variation of inner force resistance in the elastic range is very important collapse mechanism, I would like to investigate unstable character as a nonlinear behavior with a geometric nonlinear. In order to study the instability. I derive tangent stiffness matrix using finite element method and with displacement incremental method perform nonlinear analysis of unit space structure, star dome and 3-ring star dome considering rise-span $ratio(\mu}$ and load $ratio(R_L)$ for analyzing unstable phenomenon.

  • PDF

Seismic characterization of cold formed steel pallet racks

  • Saravanan, M.;Marimuthu, V.;Prabha, P.;Surendran, M.;Palani, G.S.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7권6호
    • /
    • pp.955-967
    • /
    • 2014
  • Storage racks are used worldwide in industries and commercial outlets due to the advantage of lighter, faster erection and easy alteration of pallet level as required. The studies to understand the behaviour of cold formed steel pallet racks, under seismic action is one of the emerging area of research. The rack consists of perforated uprights and beams with hook-in end connector, which enables the floor height adjustments.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se racks are not well established. This paper presents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3-D single bay two storey pallet rack system with hook-in end connectors, which is tested on shake table. The sweep sine test and El Centro earthquake acceleration is used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cold formed steel pallet racks. Also an attempt is made to evaluate the realistic dynamic characteristics by using STAAD Pro software. Modal analysis is performed by incorporating the effective moment of inertia of the upright, which considers the effect of presence of perforations and rotational stiffness of the beam-to-upright connection to determine the realistic fundamental frequency of pallet racks, which is required for carrying out the seismic design. Finite element model of the perforated upright section has been developed as a cantilever beam through which effective moment of inertia is evaluated. The stiffness of the hook-in connector is taken from the previous study by Prabha et al. (2010). The results from modal analysi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pective experiment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