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valent bell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56초

등가 종 모델을 이용한 맥놀이 조절법 (Beat Control Using an Equivalent Ring Model)

  • 김석현;이중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6-519
    • /
    • 2012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an equivalent bell model in order to tune the beat period of a Korean bell. In a Korean bell having a slight asymmetry, each circumferential mode splits into a mode pair which has a slight difference in frequency, and the interaction of the mode pair makes a beat in vibration and sound. An equivalent bell model which consists of an axi-symmetric bell and an equivalent point mass, has the same mode property as in a real bell. The equivalent bell model is constructe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based upon the theory of a revolutionary shell Using the equivalent bell model, the beat period is predicted when the bell thickness is locally decreased to improve the beat property. The predicted result is verified by experiment on a test bell.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to save the time required for tuning the beat period of a large bell.

  • PDF

성덕대왕신종의 등가 종과 맥놀이 주기 조절 (An Equivalent Bell and Beat Period Control in the Sacred Bell of the Great King Seongdeok)

  • 이중혁,;김석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2-475
    • /
    • 2013
  • This study proposes an equivalent bell model for the Sacred Bell of the Great King Seongdeok An equivalent bell model bas the modal property of the real bell and it consists of an axi-symmetric bell body and a point mass, The bell model is constructe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based upon the theory of a revolutionary shell. Using the equivalent bell model. the beat period can be controlled by decreasing the thickness of local area. This study aims at showing a beat period control method for a large bell having the similar size to the Sacred Bell of the Great King Seongdeok.

  • PDF

등가 종 모델을 이용한 맥놀이 주기 조절법 (Beat Period Tuning Method Using an Equivalent Bell Model)

  • 김석현;이중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561-568
    • /
    • 2012
  • 본 연구는 등가 종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종의 맥놀이 주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한국종이 갖고 있는 미세한 비대칭성은 하나의 원주 모드를 미세한 주파수의 차이를 갖는 모드 쌍으로 분리시키는데, 이 모드 쌍의 상호간섭에 의해서 진동과 음향의 맥놀이가 발생한다. 등가 종은 축대칭 종에 등가 집중질량을 부착시킨 미소 비대칭 구조물로, 실제 종의 모드 쌍과 동일한 모드 특성을 갖는다. 등가 종 모델은 회전 쉘 이론을 근거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서 구성된다. 맥놀이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국부적으로 요소 두께를 감소시킬 때, 등가 종을 이용하여 맥놀이 주기를 예측한다. 예측 결과는 시험 종에 대한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확인한다. 본 방법은 대형 종의 맥놀이 주기 조절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등가 종을 이용한 맥놀이 선명성 조절 (Beat Clarity Tuning Using an Equivalent Bell)

  • 이중혁;김석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4-855
    • /
    • 2013
  • As an unique acoustic characteristic of a Korean bell. beat phenomenon is a periodic repetition of strong and weak sounds. Beat sounds good when it is clear and it has a proper period, however, it is not easy to satisfy these two conditions simultaneously. In this study, we propose a beat tuning method to satisfy these two conditions, by using an equivalent bell model. First, we construct an equivalent bell which has the same beat property with the 1st beat of a real bell and we investigate the change of mode pair by finite element analysis, when thickness of the bell is locally decreased at $22.5^{\circ}$ from the striking point. From the analysis result, minimum thickness reduction amount is determined to make a clear and strong beat.

  • PDF

한국종의 진동 맥놀이 투닝법 (Control Method of the Vibration Beat in a Korean bell)

  • 김석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9-360
    • /
    • 2009
  • In this study, we propose a practical method to improve the clarity and the period of the beat in a Korean bell. Proper beating in vibration and sound is very important feature in Korean bell. An equivalent ring theory is applied and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dition of the asymmetry of the bell. The clearity and the period of the beat are improved by attaching a counter mass or decreasing local thickness. This paper shows that the improved the attaching a counter mass or decreasing local thickness. This paper of the beat are improved by attaching a counter mass or decreasing local thickness. This paper shows that the amount and position of the local variation for the required beat condition can be predicted by using the equivalent model, The predicted results are verified by the experiment.

  • PDF

신라대종의 맥놀이 조절 (Beat tuning of Silla Great Bell)

  • 김석현;이중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4-201
    • /
    • 2017
  • 신라대종은 성덕대왕신종을 재현하려는 목적으로 제작 되었으며, 동일한 구조와 문양을 갖도록 복원되었다. 가장 어려운 문제는 성덕대왕신종의 소리에 걸 맞는 웅장하고 조화로운 타격음과 끊어질 듯 이어지는 여음의 맥놀이를 재현하는 것이었다. 특히 맥놀이는 주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어 불가능한 미세 비대칭성에 기인하므로, 주조 전에는 그 특성을 예측하거나 제어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주조 후 맥놀이의 조절 작업을 통하여 신라대종의 맥놀이가 강하고 적절한 주기를 갖도록 만드는 방법과 과정을 소개한다. 강한 맥놀이를 만드는 모드 쌍과 당좌의 배치 조건을 구하였고, 적절한 주기를 갖도록 종 내부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감소시켰다. 이 작업은 등가 종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수행되었다. 그 결과 약하고 매우 길었던 초기의 맥놀이는 강하고 적절한 주기의 맥놀이로 만들어졌다.

인공 덤쇠를 이용한 한국종의 맥놀이 조절법 (Beat control method of Korean bells using artificial dumshoi)

  • 김석현;이재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2-200
    • /
    • 2021
  • 한국종은 거시적으로 축 대칭 구조이나, 복잡한 문양과 주조 오차로 인해 미세한 비대칭성을 갖는다. 작은 비대칭성은 하나의 진동모드를 미세한 주파수 차이를 갖는 모드 쌍으로 분리하고, 모드 쌍이 서로 간섭하여 맥놀이를 만든다. 적절한 주기의 선명한 맥놀이는 종소리를 웅장하게 만들고 생동감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 덤쇠를 사용하여 선명한 맥놀이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한다. 설계 단계에서 종의 비대칭성을 압도하는 크기의 인공 덤쇠를 만들어 선명한 맥놀이 조건을 구현하면 주조 후에 주기만 조절하면 된다. 이를 위해 현대에 제작된 대형 한국종의 맥놀이 주기 데이터를 분석하고 등가 종 모델을 이용하여 비대칭성의 크기를 정량화시킨다. 등가 종 모델의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덤쇠의 위치와 크기에 따른 모드 쌍의 이동을 예측하고 선명한 맥놀이를 내는 인공 덤쇠의 설계사례를 소개한다.

링 구조물의 맥놀이의 선명도와 주기 조절법 (Control Method of the Clarity and the Period of the Beat in a Ring Structure)

  • 김석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8-229
    • /
    • 2008
  •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clarity and period of the beat in a ring structure. Ring is an simplified model of a Korean bell, in which beating vibration and sound are very important features. An equivalent ring theory is applied and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equivalent ring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dition of the asymmetric element for the clear and proper period beat. The clarity and the period of the beat are improved by attacking asymmetric mass and decreasing local thickness. Using the equivalent ring, the amount and position of the local variation for the required beat condition are determined and the results are verified by experiment.

  • PDF

등가 링의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맥놀이 조절법 (Beat Control Method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an Equivalent Ring)

  • 김석현;최승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365-37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미소 비대칭 링을 대상으로, 맥놀이의 주기를 조절하는 실용적 기법을 제시한다 미세한 비대칭성은 하나의 링 모드를 근접한 주파수를 갖는 모드 쌍으로 분리시키는데, 이 모드 쌍이 동시에 가진되면 근접한 주파수 성분이 간섭함으로써 진동과 음향의 맥놀이가 발생한다. 단순화된 종형상의 링 시편을 대상으로 모드 쌍 데이터를 정밀 측정하고, 측정된 모드 쌍 조건을 만족하는 등가 링 모델을 만든다. 등가 링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질량을 부착시키거나 두께를 감소시킬 때, 모드 쌍의 조건 변화를 예측하고 맥놀이 주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구조변경에 따른 맥놀이 주기 변화의 예측치와 측정치를 비교하여 제시된 맥놀이 조절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Engineering of a Human Skin Equivalent

  • Ghalbzouri Abdoelwaheb El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5-130
    • /
    • 2003
  • Human skin equivalents, also designated as cultured skin substitute (Boyce and Warden, 2002) or organotypic co-cultures (Maas-Szabowski et al., 1999, 2000, 2003), are three-dimensional systems that are engineered by seeding fibroblasts into a three-dimensional dermal matrix. Such a dermal equivalent is then subsequently seeded with human keratinocytes. After cell attachment, the culture is kept first under submerged condition to allow keratinocyte proliferation. Thereafter, the culture is lifted the air-liquid interface (A/L) to expose the epidermal compartment to the air, and to further induce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During the air-exposure, nutrients from the medium will diffuse through the underlying dermal substrate towards the epidermal compartment and support keratinocyt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Under these conditions, a HSE is formed that shows high similarity with the native tissue from which it was derived (Figure 1) (Bell et at., 1981; Boyce et al., 1988; Ponec et al., 1997;El Ghalbzouri et al..,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