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회인가 부담인가? (Is the Accreditation in Medical Education an Opportunity or a Burden?)

  • 정한나;전우택;안신기
    • 의학교육논단
    • /
    • 제22권1호
    • /
    • pp.16-27
    • /
    • 2020
  • The accreditation process (AccP) is both an opportunity and a burden for medical schools-which one it becomes depends on how medical schools recognize and utilize the AccP. In other words, if a medical school recognizes the AccP only as a formal procedure or as a means for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it will be a burden for the medical school. However, if a medical school recognizes the real and positive value of the AccP, it can be both an opportunity and a tool for developing medical education.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AccP is to improve the quality, equity, and efficiency of medical education, along with increasing the options of choice. In order for the AccP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ing agencies and medical schools must first be recognized as part of an "educational alliance" working together towards common goals. Secondly, clear guidelines on the accreditation standards should be periodically reviewed and shared. Finally, a formative evaluation using self-evaluation as a system that can utilize the AccP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medical education must be introduced. This type of evaluation system could be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on among medical schools, academic societies for medical education, and the accrediting authority.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Investiga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in Mathematics Classroom with Immigrant Students)

  • 송륜진;노선숙;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37-6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수학수업의 실태를 파악을 위해 다문화학생이 포함되어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의 수학수업을 관찰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학생들의 삶과 맥락화', '수학적 대화' 범주에서 양적 질적 분석결과 다문화수학교육의 준거에 부합하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범주에서는 양적 분석 결과가 긍정적이었던 반면 질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 학생에 대한 교사의 불평등한 신념과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수학수업의 경우 모든 범주에서 다문화수학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검사 결과는 수학교사가 다문화수학수업의 실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와 교수법 등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한국 사립대학 재정운영의 합리화방안 (A study on Financial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Private Universities in Korea)

  • 이경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5권
    • /
    • pp.139-160
    • /
    • 2000
  • Todays our private universities have been facing with serious survival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of education market, the diminishment of college voluntarists and the increase of education supply. In coming the beginning of the year of 2000, though the equal formula. 'The fixed number of students of universities = The number of graduates of high schools' will he formed, even though the tendency of the fixed number of students of universities is maintained as it is, and it has been expected the unlimited competition would be unvaoidable, so private universities and private junior colleges which are weak in financial power are roaring the crisis consciousness that they may have to close doors before making every effort. Based on such presentation of problem as its study object, the range of study is limitted to the educational financial portion related to higher education field. Especially, the financial portion of private universities of higher educational field is discussed in priority. Besides, the present status of financial condition of our universities was portionally compared with that of in the advanced nations. It is true that pursuing the academic superiority of university education in our country, and attaining object of university as well as developing reflection in future should stand side by side. Therefore, payment of fee, supporting subsidy, etc. is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the financial problem. In our country, the financial allotment is attached too much importance to national universities. This is against the principle of equity to the tax payers, and equality of opportunity, so the level of supporting national funds should be upward formed and supported from 1.0% to higher than 20%. In conclusion, our private universities should adopt as many alternatives of rationalization of finance as possible, such as securing lots of funds and subsidies, and rationalized management of finance, and ensuring financ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after university specialization, etc.

  • PDF

다문화가정 영재의 이슈와 쟁점 (Major Issues and Challenges of Gift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한태희;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53-4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영재와 관련하여 그들의 특성과 교육현장에서의 주요 쟁점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영재교육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하여 탐색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 영재는 현재 소외계층 영재의 한 부분에 속해 있지만 지속적인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인하여 다문화 영재에 관한 보다 심도 깊고 독립적인 정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다문화가정 영재들은 그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공통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데, 문화적 문제, 정서적인 문제, 그리고 부모의 경제적 어려움이 주로 나타나는 문제점들이다. 다문화가정 영재들이 처한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다양한 쟁점 과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요약해보면, 잠재된 다문화가정 영재들의 소외현상 및 기회의 불평등의 문제; 선발 과정 및 평가 도구의 공정성과 평등성에 관한 문제; 교사와의 관계 원만성에 관한 문제; 다문화 영재를 위한 교육정책 정립에 관한 문제; 다문화 영재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문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문제;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영재들의 정체성 연구에 관한 문제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각각의 쟁점을 심도 깊게 논의하고 이와 더불어 향후 우리나라 다문화 영재의 선발과 교육에 관한 학교 현장에서의 시사점과 방향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