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9초

조미 건조김의 흡습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of Seasoned Dried Laver)

  • 임종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6-483
    • /
    • 1993
  •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조미김의 흡습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조미김과 2종의 흡습제 (silica gel, zeolite)의 등온흡습곡선을 30, 40, 5$0^{\circ}C$에서 포화염용액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온도 및 상대습도 범위내에서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는데 조미김은 4~6시간, silica gel은 20~25시간, zeolite는 43~46시간이 소요되었다. 조미김과 흡습제의 등온흡습곡선은 모두 전형적인 sigmoid형 곡선을 나타냈다. BET식을 활용하여 구한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조미김이 각 온도(30, 40, 5$0^{\circ}C$)에서 5.26, 4.46, 3.49% (d.b.)이었고, silica gel은 17.32, 15.24, 12.89% (d.b.), 그리고 zeolite가 16.87, 14.92, 14.33%(d.b.)로서 조미김에 비해 흡습제가 높은 범위의 단분자층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험온도 범위 내에서 직선적으로 감소함이 발견되었다 포장재의 투습도 역시 온도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는데, 조미김 포장재의 투습계수의 온도의존성은 Arrhenius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분말마의 흡습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Yam Powder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차원섭;박준희;오상룡;조영제;이원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9-235
    • /
    • 2000
  • 현재 마차나 마죽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 마분말을 사용하여 열풍건조, 진공건조, 동결건조를 이용 하여 건조를 행하였다. 각 건조 방법별로 마분말의 물리적 특성치인 공극률은 열풍 건조한 시료가 12.26%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진공건조 31.17%, 동결건조가 4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공 극 면적 역시 동결, 진공, 열풍건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극의 평균지름은 반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에서는 초기 수분함량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적인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다. 또한 총 페놀 함량에서도 동결건조한 것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그 10-2mg 단위로 량에 있어서는 거 의 비슷하였다. 과실이나 야채류의 저장에서 신선도를 판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Ascorbic acid 의 함량은 건조방법별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동결건조 제품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 타내었고 증습에 따라 ascorb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장 적정 수분함량을 구하기 위해 단분자층 수분함량을 구한 결과는 BET식과 GAB식에서 공히 동결건조한 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높은 값을 나타 내었고, 등온 흡습선으로서 두 식의 접합도는 BET식이 건조 방법별로 0.95 이상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 낸 반면 GAB식은 동결, 진공건조의 경우에는 0.99이상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나 열풍건조의 경 우에는 다소 낮은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저장상대습도와 온도에 따른 통고추의 변색 및 흡습특성 (Color Changes and Sorp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Red Pepper with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 김현구;박무현;신동화;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37-442
    • /
    • 1984
  • 건조통고추를 상대습도 11%에서 84%까지 7단계의 상대습도별로 $5^{\circ}C$, $15^{\circ}C$, $25^{\circ}C$, 및 $35^{\circ}C$ 온도구에 저장하면서 통고추의 변색 및 흡습특성을 조사하였다. RH 67% 이상에서는 갈변현상이, RH 84% 이상에서는 곰팡이가 발생하였고 RH 32% 이하에서는 탈색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50% 내외의 RH 조건이 저장에 적합하였으며 탈색도 기준에서 저장 안전 수분함량은 $15.\;65{\sim}\;19.\;62%$ (DB) 였으며 이들 건조통고추의 monolayer value는 $5^{\circ}C$에서 9.23% (DB), $15^{\circ}C$에서 8.42% (DB), 25에서 7. 96% (DB) 및 $35^{\circ}C$에서 7. 52% (DB) 로서 온도가 낮을수록 monolayer value 는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습도에 따라서 평형수분함량을 예측할 수 있는 3차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였다.

  • PDF

Effects of Density, Temperature, Size, Grain Angle of Wood Materials on Nondestructive Moisture Meters

  • Pang, Sung-Jun;Jeong, G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40-50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nsity, temperature, size, and grain direction on measurement of moisture contents (MC) of wood materials non-destructively. The MC of different sizes of solid wood, glulam, and CLT from larch (larix kaempferi, $560kg/m^3$) and pine (pinus koraiensis, $430kg/m^3$) were measured using the dielectric type and resistance type meters. The specimens were conditioned in the environmental chamber to b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of 12 % and 19 %. When density setting in dielectric type meter was increased from $400kg/m^3$ to $600kg/m^3$, the MCs of specimen (S-L-100-E) were decreased from 13.4 % to 11.3 %. However, when wood group (WG) setting in resistance type meter was changed from WG1 to WG4, the measured MCs were increased from 9.2 % to 12.3 %. When temperature setting in resistance type meters was changed from 0 to $35^{\circ}C$, the MC was decreased from 17.0 % to 13.0 %. The MCs measured by dielectric type meter for larger specimens (S-L-100-E_11.3 %, G-L-240-E_11.7 % and C-L-120-E_12.8 %) were higher than those of small size specimens (S-L-30-E_8.7 %, G-L-150-E_10.3 %, and C-L-90-E_9.7 %). The MCs measured by resistance type meter for larger specimens (G-L-240-E_11.6 % and C-L-120-E_13.3 %)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small size specimens (G-L-150-E_10.4 %, and C-L-90-E_11.8 %). The resistance type meter was not affected by the grain direction but the dielectric type meter were affected by the grain direction. The MC measured by resistance type meter for G-L-120-E perpendicular to grain direction was 11.5 % and the measured MC parallel to grain direction was 11.3 %. The MC measured by dielectric type meter parallel to grain direction (12.1 %) was higher than that measured perpendicular to grain direction (10.7 %).

Monitoring of Moisture and Dimensional Behaviors of Nail-Laminated Timber (NLT)-Concrete Slab Exposed to Outdoor Air

  • HWANG, Sung-Wook;CHUNG, Hyunwoo;LEE, Taekyeong;AHN, Kyung-Sun;PANG, Sung-Jun;BANG, Junsik;Won, Hyo;OH, Jung-Kwon;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301-314
    • /
    • 2022
  • The moisture and dimensional behaviors of a nail-laminated timber (NLT)-concrete slab composed of an NLT-plywood composite and topping concrete are monitored for 385 days. The slab is developed for using as flexural elements such as floors. The humidity control of wood gently introduces significant fluctuations under the ambient relative humidity into the slab, and fluctuations in the relative humidity result in dimensional changes.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the slab increases from 6.7% to 15.3%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resulting in a width (radial) strain of 0.58%. The length (longitudinal) strain is negligible, and the height (tangential) strain is excluded from the analysis because of abstruse signal patterns generated. Concrete pouring causes a permanent increase in the width of the NLT-plywood composite. However, the width deforms because the weight of the concrete mixture loosens the nail-laminated structure, not because of the significant amount of moisture in the mixture.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effect of the nail-laminated system is demonstrated as the composite strain is lower than the total strain of lumber and plywood, which are elements constituting the nail-laminated structure.

우리나라 남부지역(南部地域)의 목재평형함수율(木材平衡含水率)(EMC)의 계절변동(季節変動)과 그 추정(推定) (Seasonal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Variation and Prediction for Wood in Southern Korea)

  • 문창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6-40
    • /
    • 1981
  • Hailwood와 Horrobin의 흡습(吸濕)과 방습이론(放濕理論)에 따른 $$mw=a{\cdot}[(k_1k_2h)(1+k_1k_2h)^{-1}+(k_2h)_n-k_2h)^{-1}]$$ 의 화학평형식(化學平衡式)에 우리나라 남부지역(南部地域)의 목재평형함수율(木材平衡含水率) 조사자료(調査資料)를 적용(適用)하여 본바 각(各) 평형계수(平衡係數)와 온도간(溫度間)에는 아래와 같은 관계(關係)가 있고 $$k_1=47370272{\cdot}10^{-7}+477345{\cdot}10^{-7}t-502775{\cdot}10^{-8}t^2$$ $$k_2=705940864{\cdot}10^{-9}+16979472{\cdot}10^{-10}t-555336{\cdot}10^{-11}t^2$$ $$W=2233848{\cdot}10^{-4}+694242{\cdot}10^{-6}+185328{\cdot}10^{-7}t^2$$ 지역별(地域別)로는 서울 ${\alpha}=1,900$ 광주(光州) 1,650 진주지역(晋州地域) 1,700으로 합리성(合理性)이 있으나 기타(其他) 지역(地域)은 불합리(不合理)하고 오히려 계절적(季節的)으로 볼때 1월(月) 2월(月) 10월(月) 11월(月) 12월(月)과 3~5월(月) 및 6~9월(月)이 각각(各各) 거의 같은 함수율(含水率)을 갖는 기간(期間)으로 나타나 1월(月) 2월(月) 10월(月)~12월(月)은 ${\alpha}=2,200$ 3~5월(月)이 1,850 6~9월(月)이 1,920으로서 이론적(理論的) 수식(數式)과 잘 부합하는 결과(結果)를 보였다.

  • PDF

잣나무열처리재의 흡방습성능에 미치는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Hygroscopic Performance of Thermally Treated Pinus koraiensis Wood)

  • 장윤성;한연중;엄창득;박주생;박문재;최인규;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0-18
    • /
    • 2012
  • 최근 만들어지고 있는 거주공간은 단열성능 향상을 통한 냉난방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더욱 기밀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수분의 인위적인 배출과 외부공기의 인위적인 유입이 줄어듦에 따라 건축내장재의 자연조습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된 잣나무의 흡 방습성능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평형함수율과 흡 방습률을 측정하였고, 조도(거칠기)와 미시적 표면형상, 그리고 FT-IR spectrum과 흡방습성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거주공간의 조습성능 정량화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옥내(屋內)의 온도(溫度), 상대습도(相對濕度)와 목재(木材)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의 연중(年中) 변이(變異) (Annual Variation i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Wood in Indoor)

  • 정희석;이남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40-544
    • /
    • 1994
  • 중부 지방에서 옥내의 목재 사용 4장소별로 기후치평형함수율은 온도와 상대습도를 근거하여 계산하고 실측평형함수율은 더그러스 퍼와 상수리나무 등 7수종의 기건 시험편을 1년간 공시하여 측정하였다. 조사된 각 장소의 연간 평균 온도과 상대습도는 아파트 안방이 $23.3^{\circ}C$와 54.9%, 아파트 거실은 $22.4^{\circ}C$와 59.5%, 사무실은 $20.1^{\circ}C$와 57.0%, 단독주택의 거실은 $19.4^{\circ}C$와 64.0%이었다. 년간 평균 기후치평형함수율과 실측평형함수율은 아파트 안방은 각각 10.2%와 9.7%, 아파트 거실은 각각 11.1%와 10.2%, 사무실은 각각 10.7%와 10.4% 그리고 단독주택의 거실은 각각 12.1%와 12.5%이었다. 카사이의 실측평형함수율은 전체 평균치보다 약간 컸었고 버즘나무와 아피통은 약간 적었다.

  • PDF

우리나라 재래종 콩의 수분 흡수 특성 (Hydration Properties of Korean Soybeans)

  • 김종군;김우정;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6-262
    • /
    • 1988
  • 우리나라 콩 중 장려품종(봉의) 및 재래종 품종(KW12, KLS-77005-1 및 B-102)의 수분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콩을 $4-98^{\circ}C$에서 침지하였을 때 $40^{\circ}C$ 이하에서는 침지시간 10시간 동안에 평형상태에 도달하지 않았으나, $60^{\circ}C$이상에서는 3시간정도에서 평형상태에 도달하였다. 콩이 수분흡수속도는 102-B>봉의>KLS-77005-1>KW-12의 순이었다. 콩의 수분증가량은 침지온도에 상관없이 침지시간의 평방근과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수분흡수의 기본기작은 확산현상에 기인하였다. 침지온도 $4-20^{\circ}C$에서의 흡수의 활성화에너지 값은 2,0-2.7kcal/mole, 침지온도 $20-60^{\circ}C$에서는 6.4-6.6kcal/mole이었다. 콩을 $4-60^{\circ}C$에 침지하는 동안 일정한 수분함량에 도달하는 침지시간의 대수값과 침지온도와는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콩의 수화도가 증가할수록 z-값은 감소하였다. 수분함량 50%에 도달하는 z-값은 시료콩 모두 $50^{\circ}C$정도 이었다.

  • PDF

열풍건조시 적입 및 송풍량에 따른 황색종 연초엽의 이화학성 변화 (Effects of Leaf Loading Quantity and Circulating Air Volume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Curing in Flue-cured Tobacco Leaves.)

  • 석영선;노재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8-56
    • /
    • 1992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f loading quantity and circulating air volume during bulk curing on the vari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in flue-cured tobacco.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ontent of sugar in cured leaves was decreased with more circulating air volume and leaf loading quantity at bulk curing. 2. Total nitrogen and protein nitrogen were decreased with less circulating air volume and more leaf loading quantity, while amino nitrogen was increased. 3. The contents of 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increased with more leaf loading quantity and oxalic acid and citric acid had a tendency of being increased in case of high circulating air volume. 4. In general, major aromatic compounds were increased through flue-curing. Relatively high content of solanone in case of lower air volume and less leaf loading were observed, while megastig matrienone was increased when leaf loading was small. 5. The more circulation air volume with leaf loading quantity caused lowering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and higher shatter index, which resulted in poor quality of cured leaves based on quality index, nitrogen number, taste index phillips index, and sugar-nicotine rati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