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thelial Cell

검색결과 1,826건 처리시간 0.032초

In Vitro Evaluation of Swine-Derived Lactobacillus reuteri: Probiotic Properties and Effects on Intestinal Porcine Epithelial Cells Challenged with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K88

  • Wan, Zhilin;Wang, Li;Chen, Zhuang;Ma, Xianyong;Yang, Xuefen;Zhang, Jian;Jiang, Zong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6호
    • /
    • pp.1018-1025
    • /
    • 2016
  • Probiotics are considered as the best effective alternatives to antibiotic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i for use in swine farming by using in vitro evaluation methods. A total of 106 lactic acid bacterial isolates, originating from porcine feces, were first screened for the capacity to survive stresses considered important for putative probiotic strains. Sixteen isolates showed notable acid and bile resistance, antibacterial activity, and adherence to intestinal porcine epithelial cells (IPEC-1). One isolate, LR1, identified as Lactobacillus reuteri, was selected for extensive study of its probiotic and functional properties in IPEC-1 cell models. L. reuteri LR1 exhibited good adhesion to IPEC-1 cells and could inhibit the adhesion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to IPEC-1 cells. L. reuteri LR1 could also modulate transcript and protein expression of cytokines involved in inflammation in IPEC-1 cells; the Lactobacillus strain inhibited the ETEC-induc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transcripts (IL-6 and TNF-α) and protein (IL-6), and increased the level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Measurement of the permeation of FD-4 showed that L. reuteri LR1 could maintain barrier integrity in monolayer IPEC-1 cells exposed to ETEC. Immunolocalization experiments showed L. reuteri LR1 could also prevent ETEC-induced tight junction ZO-1 disruptio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reuteri LR1 exhibits desirable probiotic properties and could be a potential probiotic for use in swine production.

The Effects of Retinoic Acid and MAPK Inhibitors on Phosphorylation of Smad2/3 Induced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 Lee, Sang Hoon;Shin, Ju Hye;Shin, Mi Hwa;Kim, Young Sam;Chung, Kyung Soo;Song, Joo Han;Kim, Song Yee;Kim, Eun Young;Jung, Ji Ye;Kang, Young Ae;Chang, Joon;Park, Moo Su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1호
    • /
    • pp.42-52
    • /
    • 2019
  • Backgrou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retinoic acid (RA),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MEK signaling play critical roles in cell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A and the role of these signaling molecules on the phosphorylation of Smad2/3 (p-Smad2/3) induced by TGF-${\beta}1$. Methods: A549 epithelial cells and CCD-11Lu fibroblasts were incubated and stimulated with or without all-trans RA (ATRA) and TGF-${\beta}1$ and with MAPK or MEK inhibitors. The levels of p-Smad2/3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For animal models, we studied three experimental mouse groups: control, bleomycin, and bleomycin+ATRA group. Changes in histopathology, lung injury score, and levels of TGF-${\beta}1$ and Smad3 were evaluated at 1 and 3 weeks. Results: When A549 cells were pre-stimulated with TGF-${\beta}1$ prior to RA treatment, RA completely inhibited the p-Smad2/3. However, when A549 cells were pre-treated with RA prior to TGF-${\beta}1$ stimulation, RA did not completely suppress the p-Smad2/3. When A549 cells were pre-treated with MAPK inhibitor, TGF-${\beta}1$ failed to phosphorylate Smad2/3. In fibroblasts, p38 MAPK inhibitor suppressed TGF-${\beta}1$-induced p-Smad2. In a bleomycin-induced lung injury mouse model, RA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GF-${\beta}1$ and Smad3 at 1 and 3 weeks. Conclusion: RA had inhibitory effects on the phosphorylation of Smad induced by TGF-${\beta}1$ in vitro, and RA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GF-${\beta}1$ at 1 and 3 weeks in vivo. Furthermore, pre-treatment with a MAPK inhibitor showed a preventative effect on TGF-${\beta}1$/Smad phosphorylation in epithelial cells. As a result, a combination of RA and MAPK inhibitors may suppress the TGF-${\beta}1$-induced lung injury and fibrosis.

고당으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두충 잎 추출물의 장 상피 세포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Eucommia ulmoides leaves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T-29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이한수;김종민;이효림;고민지;김주희;어현지;김철우;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3-19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AEEL의 고당으로 유도되는 장 상피세포 보호효과 및 L.brevis의 증식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EEL은 우수한 환원력,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고당, H2O2, 및 LPS로 유도된 HT-29 세포에서 우수한 세포 생존율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EEL은 항당뇨 활성을 가진 장내 유익균인 L.brevis의 증식에 효과를 보였으며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인 α-glucosidase 및 최종당화산물 생성에서도 우수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AEEL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 분석한 결과, chlorogenic acid와 rutin 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AEEL이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고당으로 유도되는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장 건강을 보호하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황버섯 및 카레를 첨가한 잡곡밥 추출물의 LLC-PK1 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and Curry-Added Cooked Mixed Grain Rice Extracts on Oxidative Stress-Induced LLC-PK1 Cell Damage)

  • 이정숙;송가락;길정하;정병진;정종성;허태곤;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74-1680
    • /
    • 2014
  • 잡곡밥 메탄올 추출물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LLC-PK1 세포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250{\mu}M$$H_2O_2$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LLC-PK1 세포에 시료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WR, TMR, GR 순으로 $H_2O_2$ 처리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P<0.05). 특히 GRS와 GRK에서 정상군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H_2O_2$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세포 손상에 대한 잡곡밥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내 활성산소(ROS)의 수준과 세포 내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 억제 효과 역시 WR, TMR, GR, GRK, GRS 순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H_2O_2$로 인하여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SOD, CAT와 GSH-px 등의 활성이 감소된 LLC-PK1 세포에 잡곡밥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이들 효소의 활성이 증가했으며 특히 GRK, GRS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LLC-PK1 세포에서 $H_2O_2$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잡곡밥 추출물은 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세포 내 활성산소(ROS)의 수준과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을 억제하며,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항산화 효소유전자 발현에서도 위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잡곡밥 메탄올 추출물, 특히 기능성 물질인 카레가루와 상황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잡곡밥은 LLC-PK1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과 in vitro에서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파브리병의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파브리 마우스와 세포모델에서의 microRNA 발현 분석 (MicroRNA Expression Profiling in Cell and Mouse Models of Fabry Disease to Identify Biomarkers for Fabry Disease Nephropathy)

  • 정남희;박세영;전여진;최윤영;정성철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7-1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파브리병의 마우스 모델과 세포모델을 대상으로 miRNA expression microarray를 적용시켜 질환 모델과 정상 대조군 간의 전체 miRNA의 발현 차이를 조사하였고, 발현량에서 차이를 보인 특정 miRNA를 선별한 후, 해당 miRNA의 표적 유전자의 발현량 변화를 살펴보아 파브리병의 신장병변에 대한 바이오마커 발굴과 발병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icroRNA array 결과, 파브리 마우스 신장 조직의 경우, 1,247개의 분석 대상 miRNA 중 5개가 발현이 증가되어 있으며 3개가 발현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 miR-149-5p의 발현이 파브리 마우스의 신장에서 2배 이상 감소되어 있으며, 특히 35주령 이하의 파브리 마우스에서 이러한 감소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또한 lyso-Gb3를 처리하여 배양한 SV40 MES 13 세포에서도 miR-149-5p의 발현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miR-149-5p의 발현감소는 EMT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miR-149-5p의 생체지표로서의 가능성과 함께 miR-149-5p의 발현감소가 EMT를 통한 파브리병에서의 사구체 섬유화에 관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재생 중인 흰쥐 간의 형태학적 변화 및 PCNA 발현에 미치는 rrhGM-CSF의 영향 (Effects of rrhGM-CSF on Morphology and Expression of PCNA in Regenerating Rat Liver)

  • 정진주;허시현;김지현;윤광호;이영준;한규범;김완종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73-80
    • /
    • 2010
  •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는 과립구 및 대식세포뿐만 아니라 상피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자극하는 당단백질이며, 최근 생산된 벼세포 유래 재조합 GMCSF(rrhGM-CSF)는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고 당사슬이 매우 풍부하여 물질의 안정성 혹은 효과의 지속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실험에서는 간 재생 능력이 우수한 흰쥐를 실험모델로 하여 간의 78%를 제거한 후, 간 재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rrhGM-CSF를 처리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형태변화의 차이와 더불어 단백질 발현 분석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PCNA 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rrhGMCSF는 간 재생 속도를 뚜렷이 증가시키지는 못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는 재생 초기에 간 세포판의 붕괴와 재구성 시기를 다소 앞당기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증식 중인 세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핵단백질인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의 간 조직에서의 분포와 발현 정도를 보면 부분간절제 후 12시간과 24시간에서는 PCNA 단백질이 두 그룹에서 조금씩 발현되다가 간 절제 3일과 5일이 경과한 실험군에서 단백질이 높게 발현되었다. 간 재생이 진행될수록 간 조직 전체에서 고르게 PCNA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대조군 보다 실험군에서 반응성이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부분 간절제 후 간 재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rrhGM-CSF가 세포분열을 촉진시키는 인자들 중의 하나로 작용하여 간 재생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RPE-19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Extra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ARPE-19 Cells)

  • 김봉선;최라영;반유진;이준하;김인우;서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65-871
    • /
    • 2022
  • 황반 변성은 현대 사회에서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한 질환 중 하나이다. 황반 변성의 대표적인 원인은 노화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로 널리 알려져 있고 최근 노령화로 인해 발병 연령은 40대부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MH를 이용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능 및 세포 사멸 억제연구를 통해 눈 건강 개선 소재를 개발하였다. 먼저 TMH의 인간 망막색소상피세포 사멸 억제 효능 평가를 위해 MTS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H2O2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약 60%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TMH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사멸을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DH release assay를 통해 세포막 보호 효능을 확인 하였으며 세포 내 ROS 측정을 통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 조절을 통한 항산화 효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포 생존과 사멸에 관여하는 세포 내 신호 단백질인 MAPKs의 인산화 조절, 항산화 효소인 HO-1 발현 조절, 세포 사멸 관여 단백질인 Bax/Bcl-2의 발현 그리고 cleaved caspase-3 단백질 분석을 통해 TMH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그리고 세포 사멸 억제 경로를 확인 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 도출을 통해 TMH의 눈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Nitroquinoline-1-oxide(4NQO)유도 백서 구강암 발암과정에서 Indomethacin 이 Langerhans 세포와 T-임파구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domethacin on Distribution of Langerhans Cells and T-lym-phocytes in 4-Nitroquinoline-1-oxide(4NQO) induced Carcinogenesis at the Palate and Tongue of Albino Rat)

  • 노수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41-61
    • /
    • 199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omethacin on the distribution of Langerhans cells and T-lymphocytes related with immune response of 4-Nitroquinoline-1-oxide induced carcinogenesis at the palate and tongue of albino rat. 54 Sprague-Dawley strain 10 weeks old albino rats, about 150gm weighted, divided into a normal group of 6 rats without treatment, a control group of 12 rats given indomethacin, a carcinogenesis group of 18 whose palatal mucosa were appiled with 4-Nitroquinoline-1-oxide three times a week, and experimental group of 18 rats were treated with indomethacin and whose palatal mucosa were applied 4-Nitroquinoline-1-oxide. All these 54 rats were subjected to be observed as being ATPase stained specimens, specimens for the observation of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and T-lymphocyte stained specimens.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arcinogenesis group, proliferation of epithelial layer and rete peg were observed early period of the experiment and showed parakeratosis, individual cell keratinization, acanthosis, and lymphocyte infiltration from 13th week of the experiment on lightmicroscopically, while experimental group showed less reaction than that of carcinagenesis group. 2. The number of Langerhans cells in normal group rarely changed until 21st week of the experiment, while the Langerhans cells increased markedly from 3rd week of the experiment in control group. 3. The number of Langerhans cells were decreased markedly and persistantly until 21st week of the experiment both in carcinogenesis and experimental groups. 4. Appearance of the T-helper cells and T-suppressor cells were minimal and irregullar in number both in normal and control groups. Thus it is assumed that administration of indomethacin and distribution of Langerhans cells showed close relation. 5. In carcinogenesis and experimental groups, the number of the T-helper cells was apparently inereased than that of the T-suppressor cells, but increasing pattern in experimental group was less than in carcinogenesis group. These cells increased most in the 21st week, decreased from the 23rd week and the appearance of these cells were irregular in general throughout the experiment.

  • PDF

Pilocarpine투여(投與) 가토폐장(家免肺臟)의 압력(壓力)-용적곡선(容積曲線) 및 폐포표면활성물질(肺胞表面活性物質)에 관(關)하여 (Effects of Pilocarpine on Pressure-Volume Curve of the Excised Rabbit Lung and Pulmonary Surfactant)

  • 이승정;채수희;이석강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8권2호
    • /
    • pp.49-53
    • /
    • 1974
  • 제 II 형(第 II 型) 폐포세포(肺胞細胞)의 페포표면활성물질(肺胞表面活性物質) 분비기능(分泌機能)이 부교감신경성작용(副交感神經性作用)에 의(依)해서 영향(影響)을 받을 것인지를 구명(究明)하기 위해서 체중(體重) 매(每) kg 당(當) 0.5mg의 pilocarpine hydrochloride를 투여(投與)한 가토(家兎)에서 폐장(肺臟)의 압력(壓力)-용적곡선(容積曲線)및 폐세척액(肺洗滌液)의 표면활성도(表面活性度)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적출가토폐(摘出家兎肺)에 공기(空氣)를 주입(注入) 및 배출(排出)할 때의 압력(壓力)-용적곡선(容積曲線)은 정상(正常) 가토(家兎)의 그것보다 hysteresis현상(現象)이 더욱 심(甚)하였으며 특(特)히 배출곡선(排出曲線)이 좌측(左側)으로 편입(偏入)되어있었다. (2) 정상(正常) 가토폐세척액(家兎肺洗滌液)의 평균최대(平均最大) 및 최소표면장력(最小表面張力) 및 stability index는 각각(各各) 46.6 dyne/cm, 7.4 dyne/cm 및 1.5이었다. (3) Pilocarpine 투여가토폐세척액(投與家肺洗滌液)의 평균최대(平均最大) 및 최소표면장력(最小表面張力) 및 stability index는 각각(各各) 47.5 dyne/cm, 6.1 dyne/cm 및 1.5로서 최소표면장력(最小表面張力)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이상의 실험결과(實驗結果)로 미루어 보아 pilocarpine 투여(投與)에 의(依)해서 제 II 형(第 II 型) 폐포세포(肺胞細胞)의 페포표면활성물질(肺胞表面活性物質)의 분비기능(分泌機能)이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Effects of Particle Size of Barley on Intestinal Morphology,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Pigs

  • Morel, P.C.H.;Cottam, Y.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1호
    • /
    • pp.1738-1745
    • /
    • 2007
  • A growth trial and a digestibility trial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feed particle size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gastric ulceration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pigs fed barley-based diets. Barley was processed through a hammer mill to achieve four diets varying in particle size (average particle $size{\pm}standard $deviation): coarse ($1,100{\pm}2.19\;{\mu}m$), medium ($785{\pm}2.23\;{\mu}m$), fine ($434{\pm}1.70\;{\mu}m$) and mixed (1/3 of coarse, medium and fine) ($789{\pm}2.45\;{\mu}m$). Sixty-four entire male pigs were used in the growth trial and the diets were fed ad libitum between 31 kg and 87 kg live weight. Following slaughter, stomach and ileal tissues were scored for integrity (ulceration or damage) and histological measurements taken. Twenty-four entire male pigs were used in the digestibility trial, which involved total faecal collection. Over the entire growth phase,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between pigs fed diets of different particle size. Pigs fed the coarse and medium diets had lower (p<0.05) stomach ulceration scores (0.20 and 0.25, respectively, on a scale from 0 to 3) than those fed the mixed (0.69) or the fine diets (1.87). The stomachs of all animals fed the fine diet had lesions and stomach ulcerations were present only in this group. Pigs fed the fine diet had thicker (p<0.001) ileal epithelial cell layer with no differences (p>0.05) being observed for villous height or crypt depth. Faecal digestibility coefficients of neutral and acid detergent fibre were the highest (p<0.05) for the mixed diet, intermediate for the fine and coarse diets and the lowest for the medium diet. A similar numerical trend (p = 0.103) was observed for the apparent faecal energy digestibility coefficient. It is concluded that, with barley based diets, a variation in average particle size between $400{\mu}m$ and $1,100{\mu}m$ had no effect on pig performance but the fine dietary particle size affected the integrity of the stomach,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small intestine, thus compromising overall gut health. Our data also demonstrate that changes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during the digestion process, rather than average particle size or particle size variation, are related to apparent faecal digest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