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lepsy EEG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3초

Epilepsy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febrile seizures

  • Lee, Sang Hyun;Byeon, Jung Hye;Kim, Gun Ha;Eun, Baik-Lin;Eun, So-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2호
    • /
    • pp.74-79
    • /
    • 2016
  • Purpose: Febrile seizure, the most common type of pediatric convulsive disorder, is a benign seizure syndrome distinct from epilepsy. However, as epilepsy is also common during childhood, we ai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that can predict epilepsy in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Methods: The study comprised 249 children at the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who presented with febrile seiz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equent occurrence of epilepsy and clinical factors including seizure and fever-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wenty-five patients (10.0%) had additional afebrile seizures later and were diagnosed with epilepsy. The subsequent occurrence of epilepsy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febrile seizures was associated with a seizure frequency of more than 10 times during the first 2 years after seizure onset (P<0.001). Factors that were associated with subsequent occurrence of epilepsy were developmental delay (P<0.001), preterm birth (P =0.001), multiple seizures during a febrile seizure attack (P =0.005), and epileptiform discharges on electroencephalography (EEG) (P =0.008). Other factors such as the age at onset of first seizure, seizure duration, and family history of epilepsy were not associated with subsequent occurrence of epilepsy in this study. Conclusion: Febrile seizures are common and mostly benign. However, careful observation is needed, particularly for prediction of subsequent epileptic episodes in patients with frequent febrile seizures with known risk factors, such as developmental delay, history of preterm birth, several attacks during a febrile episode, and epileptiform discharges on EEG.

마이크로 콤퓨터를 이용한 뇌파 스파이크의 검출에 관한 연구 (A Microcomputer-based EEG Spike Detection System)

  • 김종현;박상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8
    • /
    • 1981
  • A method of detecting abnormal spikes occuring in the EEG of subjects suffering from epilepsy is studied. The detection scheme is to take the first derivative of EEG and to determine if it exceed some threshold valu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detecting abnormal spikes using microcomputer.

  • PDF

간질 분류를 위한 NEWFM 기반의 특징입력 및 퍼지규칙 추출 (Extracting Input Features and Fuzzy Rules for Classifying Epilepsy Based on NEWFM)

  • 이상홍;임준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27-133
    • /
    • 2009
  • 본 논문은 가중 퍼지소속함수 기반 신경망(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NEWFM)을 이용하여 간질 증세를 가진 사람과 건강한 사람의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로부터 정상 파형과 간질(epilepsy) 파형을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NEWFM에서 사용할 특징입력을 추출하기 위해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WT)을 이용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생성한 웨이블릿 계수들을 주파수 분포와 주파수 변동량을 이용하여 24개의 특징입력을 추출하였다. NEWFM은 이들 24개의 특징입력을 이용하여 정상 파형과 간질 파형을 분류하였을 때 98%의 분류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Computational electroencephalography analysis for characterizing brain networks

  • Sunwoo, Jun-Sang;Cha, Kwang Su;Jung, Ki-Young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82-91
    • /
    • 2020
  • Electroencephalography (EEG) produces time-series data of neural oscillations in the brain,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for investigating both normal brain functions and brain disorders. Quantitative EEG analysis enables identification of frequencies and brain activity that are activated or impaired. With studies o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networks of the brain, the concept of the brain as a complex network has been fundamental to understand normal brain functions and the pathophysiology of various neurological disorders. Functional connectivity is a measure of neural synchrony in the brain network that refers to the statistical interdependency between neural oscillations over time. In this review, we first discuss the basic methods of EEG analysis, including preprocessing, spectral analysis, and functional-connectivity and graph-theory measures. We then review previous EEG studies of brain network characterization in several neurological disorders, including epilepsy, Alzheimer's disease, dementia with Lewy bodies, and idiopathic rapid eye movement sleep behavior disorder. Identifying the EEG-based network characteristics might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disease processes and aid the development of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for various neurological disorders.

잠복성 간질에 대한 항간제 투여의 뇌파상 효과 (Antiepileptic Therapy for Latent Epilepsy)

  • 박충서;변영주;하정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71-75
    • /
    • 1985
  • 1985년 1월부터 10월까지 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 외래를 찾은 두통환자 중에서 뇌파상 중등도 이상의 이상이 있는 환자가 580명이었다. 이들 중에서 간질의 간헐기 뇌파와 유사한 소견을 보이는 162명 환자들을 대상으로 투여한 항간제 및 뇌영양제 등을 단독 혹은 병용 투여한 한 후 치료효과를 분석한 결과 항간제투여군 29예에서 호전이 16예, 무변화가 13예이고, 항간제를 쓰지 않고 뇌 영양제를 사용했던 18예에서는 전예에서 호전을 보았다. 한편 항간제를 사용한 33예와 사용하지 않은 35예에서는 뇌파추적을 하지 못하였다. 수가 적어서 통계학적인 고찰은 하지 않았으며 앞으로 계획석인 계속 연구가 요망된다.

  • PDF

Epilepsy Surgery of the Cerebral Paragonimiasis

  • Lee, Woo-Jong;Koh, Eun-Jeong;Choi, Ha-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9권2호
    • /
    • pp.114-119
    • /
    • 2006
  • Objective : The authors investigate appropriate evaluation and surgical methods in treatment of the cerebral paragonimiasis accompanying epilepsy. Methods : Thirteen patients with the cerebral paragonimiasis accompanying epilepsy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Preoperative evaluation methods included history taking, skin and serologic tests for Paragonimus westermani, neurologic examinations, computeriz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mytal test, PET or SPECT, and video-EEG monitoring with depth and subdural grid electrodes. Seizure outcome was evaluated according to Engel's classification. Results : Surgical methods were temporal lobectomy including lesions in six, lesionectomy in five, and temporal lobectomy plus lesionectomy in two. Postoperative neurological complications were not noticed, and seizure outcomes were class I in 12 patients [92%], class II in one [8%]. Conclusion : In patients with a cerebral paragonimiasis accompanying epilepsy, further evaluation methods must be done to define the epileptogenic zone, and complete resection of the epileptogenic zone with different surgical methods should be performed for seizure control.

BCI에서 기계 학습을 위한 간질 뇌파 특징 선택을 통한 차원 감소 방법 분석 (Analysis of Dimensionality Reduction Methods Through Epileptic EEG Feature Selection for Machine Learning in BCI)

  • 양통;;임창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333-1342
    • /
    • 2018
  • 지금까지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 EEG)는 뇌전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가장 중요하고 편리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뇌전증 뇌파 신호의 파형 특성은 매우 약하고 비 정지 상태이며 배경 노이즈가 강하기 때문에 식별하기가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간질 뇌파의 특징 선택을 통한 차원 감소를 통한 분류 방법의 효과를 분석한다. 우리는 차원 감소를 위해 주 요소 분석, 커널 요소 분석, 선형 판별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차원 감소방법의 성능 분석을 위해 Support Vector Machine: SVM), Logistic Regression(: LR), K-Nearestneighbor(: K-NN), Decision Tree(: DR), Random Forest(: RF) 분류 방법들을 사용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PCA는 SVM, LR 및 K-NN에서 75% 정확도를 나타냈다. KPCA는 SVM과 K-KNN에서 85%의 성능을 보였으며 LDA는 K-NN를 이용했을 때 100 %의 정확도 보여주었다. 따라서 LDA를 이용한 차원 감소가 뇌전증 EEG 신호에 대한 최고의 분류 결과 보여주었다.

뇌성마비아의 간질 발생에 대한 임상연구 (Clinical stud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ssociated with or without epilepsy)

  • 안용주;정혜전;윤석;조의현;정사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29-532
    • /
    • 2006
  • 목 적 : 뇌성마비는 뇌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뇌에 발생한 비진행성 손상으로, 이러한 뇌성마비를 가진 환아의 간질 발생 빈도는 15-90%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렇게 뇌성마비와 간질이 중복 되서 나타나는 경우에 심각한 중복 장애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뇌성마비아 중 간질의 발생아와 비발생아의 특징을 비교하여 장기적인 진료 및 예후의 지표를 삼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부터 2004년까지 9년간 경희의료원 소아과 외래에서 뇌성마비로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9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뇌성마비를 분류하고, 간질의 형태와 발병 당시의 나이, 뇌영상소견과 뇌파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뇌성마비에서의 간질의 유병률은 93명 중 43명으로 46.2%이었으며, 발작의 초 발 연령은 평균 21.5개월로 1세 미만에서 발생한 경우가 21례(48.8%)로 가장 많았고, 1세 미만에서는 영아 연축과 근간대성 발작의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는 강직성-간대성 발작이 44.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뇌영상소견에서 가장 많이 동반된 이상은 뇌 피질 위축으로 간질 발생군과 비간질 발생군에서 각각 22례(23.6%)와 12례(12.1%)였으며, 뇌파 소견에서는 간질 발생아의 전례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뇌성마비아에서 간질이 동반된 경우 어린 나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간질의 형태로는 전신성 간대성-강직성 발작이 가장 많았다. 또한 뇌 영상검사와 뇌파검사에서 뇌성마비아 중 간질 발생아와 비간질 발생아에서 의미 있는 빈도 차이를 보여 조기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EEG신호를 이용한 뇌 신호원 국부화에 관한 연구 (Brain Source Localization using EEG Signals)

  • 정재철;송민;이희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133-136
    • /
    • 2002
  • EEG(Electroencephalography) is generated by electrical activity between neurons in cortical. Waveform of EEG is changed according to body and mental states. Therefore EEG is used to diagnosis of encephalophyma and epilepsy, etc. Also EEG is used to HCI(Human-Computer Interface). This paper describes estimation of orientation and location of dipole sources. The forward model is three-layer spherical head model and current dipole model. Using analytical solution, EEG is generated. Using MNLS(Minimum-Norm Least-Square) method, orientation and location of dipole moment is estimated.

  • PDF

소아에서 급성 복증으로 오진될 수 있는 복성 간질 (Abdominal Epilepsy Misdiagnosed as Acute Surgical Condition in Childhood)

  • 심우신;정풍만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권2호
    • /
    • pp.170-176
    • /
    • 1995
  • 저자들은 발작적인 복통 혹은 주기적인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8~11세의 소아 4명에서 임상 및 뇌파 소견을 종합하여 '복성간질'로 진단하고 항경련제로 치료하여 증상이 호전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소아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작적인 복통 혹은 구토가 계속될 때 복성 간질을 고려하여 뇌파 검사를 시행하고 항경련제의 투여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