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28ELISA%29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희석에 의한 우유 중 $Aflatoxin\;M_1$의 효소면역측정법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Aflatoxin\;M_1$ in Cow's Milk without a Cleanup Procedure)

  • 손동화;임선희;이인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84-1187
    • /
    • 1996
  • 우유 중에 존재할 수 있는 발암성 진균독소의 하나인 $aflatoxin{\;}M_1{\;}(AFM_1)$을 신속,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소혈청알부민에 공유결합한 $AFM_1\;(AFM_1-BSA)$을 토끼에 면역하여 항체를 생산하고 정제하였다. 이 항체의 유사독소와의 교차반응율은 29.9%이하의 비교적 낮은 교차율을 나타냈다. $AFM_1$의 검출을 위하여 확립한 직접경합ELISA (cdELISA)로 우유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AFM_1$을 정제과정없이 ELISA로 분석하는 경우, 우유를 PBS로 40%되게(2:3) 희석하였을 때 양호한 회수율을 보였다. 이 조건하에서 행한 ELISA의 $AFM_1$분석 회수율은 0.3-3.0 ng/ml의 오염농도 범위에서 농도별 회수율로 평균 113%, 그 분산은 8.2%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ELISA system은 우유 중의 0.5 ppb이상의 $AFM_1$을 정제과정없이 손쉽게 분석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백서에서의 혈청내 IgE 항체가의 변동 (Serum IgE levels in rats infected with Parugonimus westermani)

  • 신명헌;류재숙;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97-402
    • /
    • 1991
  • 폐츱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시 탈낭유충은 숙주내 여러조직을 거친 후 폐에 기생하게 되는데 이때 조직반응과 더불어 혈액내 호산구와 IgE 항체가의 변등이 일어난다. 이 실험에서는 백서에 폐흡충을 감염시키고 혈청내 총 IgE와 특이 IgG 항체값을 시간 경과별로 측정하여 감염후 혈청내 항체가의 변증을 관찰하였다. 폐흡충 퍼낭유충 20개를 백서에 경구 감염시키고 시기별(0,1,2,3,4,0,8주)로 IgE의 변동을 avidin-biotin을 이용하여 효소표식 면역검사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측정하였으며 IgG는 통상적인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군의 혈청내 총 IgE치는 감염 3주와 3주 후에 흡광도가 각각 0.18±0.042, 0.18±0.081이었으나, 4주에 0.28±0.151로 급격히 중가하었으며 8주까지 지속적인 상승(0,43±0,055)을 보였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전 실험기간을 통해 0.07∼0.12로 낮은 항체가가 유지되었다. 또한 실험군의 혈청내 IgG 항체는 감염 3주 후에 흡광토 0.20±0,032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8주에 0.31±0.067을 보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비호적숙주인 백서에서 폐흡충의 감염이 IgE 및 IgG 항체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Production of Group Specific Monoclonal Antibody to Aflatoxins and its Application to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Kim, Sung-Hee;Cha, Sang-Ho;Karyn, Bischoff;Park, Sung-Won;Son, Seong-Wan;Kang, Hwan-G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125-131
    • /
    • 2011
  • Through the present study, we produced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aflatoxin B1 (AFB1) using AFB1-carboxymethoxylamine BSA conjugates. One clone showing high binding ability was selected and it was applied to develop a direct competitive ELISA system. The epitope densities of AFB1-CMO against BSA and KLH were about 1 : 6 and 1 : 545, respectively. The monoclonal antibody (mAb) from cloned hybridoma cell was the IgG1 subclass with ${\lambda}$-type light chains. The $IC_{50}s$ of the monoclonal antibody developed for AFB1, AFB2, AFG1 and AFG2 were 4.36, 7.22, 6.61 and 29.41 ng/ml, respectively, based on the AFB1-KLH coated ELISA system and 15.28, 26.62, 32.75 and 56.67 ng/ml, respectively, based on the mAb coated ELISA. Cross-relativities of mAb to AFB1 for AFB2, AFG1 and AFG2 were 60.47, 65.97 and 14.83% in the AFB1-KLH coated ELISA, and 59.41, 46.66 and 26.97% in the mAb coated ELISA, respectively. Quantitative calculations for AFB1 from the AFB1-Ab ELISA and AFB1-Ag ELISA ranged from 0.25 to 25 ng/ml ($R^2$ > 0.99) and from 1 to 100 ng/ml ($R^2$ > 0.99), respectively. The intra- and inter-assay precision CVs were < 10% in both ELISA assay, representing good reproducibility of developed assay. Recoveries ranged from 79.18 to 91.27%, CVs ranged from 3.21 to 7.97% after spiking AFB1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5 to 50 ng/ml and following by extraction with 70% methanol solution in the Ab-coated ELISA. In conclusion, we produced a group specific mAb against aflatoxins and developed two direct competitive ELISAs for the detection of AFB1 in feeds based on a monoclonal antibody developed.

ELISA 법을 이용한 개 톡소플라즈마병의 조기진단에 관한 연구 (Use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r detection of toxoplasmosis in dogs)

  • 서명득;주후돈;이병훈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1-500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the serum antibodies in the experimentally toxoplasma infected dogs and street dogs by use the of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this test was performed on the polystylene microplate by coating with the tachyzoites soluble antigen of T gondii (RH strain), incubated with sera diluted then, added with HPO-conjugated rabbit anti-dog IgG and o-phenylenediamine used as a substrate. Tachyzoites of T gondii harvested from mouse peritoneal cavity were purified by 30, 40 and 50% Percoll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and used as the source of antige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ratio of positive to negative (P/N ratio) was obtained at the level of $l{\mu}g/ml$ protein concentration of antigen with the 1/4000 dilution of the conjugate measured by checker-board titration. It was regarded as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antigen and conjugate. 2. Cut-off value in this IgG ELISA was 0.375 that was determined by mean absorbance (at 492nm) of IFA negative serum added with the dauble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mean{\pm}2S.D.)$. 3. Serum ELISA IgG antibodies to T gondii in the exyerimentally infected dogs were detected firstly at the Week 3 after inoculation and the highest titer was recognized at the Week 4, 5 and 6 after inoculation. 4. Stability of the antigen absorbed in the microplates that were preserved at $4^{\circ}C$ and $-25^{\circ}C$ separately were prolonged up to 3 weeks and 10 weeks at $4^{\circ}C$ and $-25^{\circ}C$, respectively. However the reproducibility was not reliable after the preservation of 4 weeks and longer. 5. Positive rate of the specific antibodies in 312 test sera was 28.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27.8%) and female (29.5%), respectively. 6. The IgG ELISA was proved to be a specific procedure for the detection of antibodies to canine toxoplasma infection and also evaluated as a screening test for the large scale of test samples in laboratory.

  • PDF

경기도 지역 유우의 소백혈병 항체 분포 조사 (Seroepizootiological survey on bovine leukosis of dairy cattle in Kyunggi province)

  • 심항섭;국정희;황영옥;정봉수;김학열;이모란;유성종;강순근;임경애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5-260
    • /
    • 1998
  • Since bovine leukosis caused considerable economic loss to the dairy industry, seroepidemiologi-cal survey on bovine leukosis was carried out for the dairy herds in Kyunggi province. 1. When compared the results of immunodifussion test with those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for 94 dairy herds ser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munodifussion test and ELISA were showen high corresponding rate with sensitivity(97.5%) and specificity(92.6%). 2. In immunodiffusion test for bovine leukosis virus (BLV) antibody in 570 dairy cattle from 30 herds, mean positive rate for BLV antibody was 28.2%. The positive rate by districts were 16.5% in central, 35.4% in east, 17.3% in west, 29.1% in south, 31.6% in north, 43.7% in northeast. 3. When the results of serological studies was analyzed by age groups, the number of positive was increased gradually with the advanced in age of herds. The highest positive rate was found in the age over 6 years. 4. Of 30 dairy herds examined, 5 herds(16.7%) have no reactions against BLV antigen while 15 herds (50%) showed the range of 1∼5 positive cattle and 5 herds(16.7%), the rang of over 11 positive cattle.

  • PDF

ELISA에 의한 국내 재래종 산양의 정상상태에서의 혈중 cortisol 농도 (Serum cortisol concentrations on the normal condition in Korean native goats by ELISA)

  • 조규완;허주형;이은석;강정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11-717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ges of serum cortisol concentrations on the normal conditions in Korean native goats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The Korean native goats were 4 to 30 months old and weighted 6.0 to 28kg. The goats were allowed ad libitum access to water and food. To minimize the stress with handing and blood sampling, animals were adapted for 2 weeks before the experiment. After adaptation, intravenouse catheter was inserted left intact a jugular vein of 6 goats and blood samples were done 2~3 days later.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2 groups which was non-catheterized and catheterized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for changes of serum concentration and circadian rhythm of cortisol.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The sensitivity of serum cortisol concentration was $20pg/m{\ell}$. The intra-assay and inter-assay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below 2.5% and 5%, respectively. Serum concentration of cortisol was more higher in noo-catheterized group$(32.84{\pm}16.78ng/m{\ell})$ than catheterized group$(23.20{\pm}10.29ng/m{\ell})$. The difference according to months old in serum concentration of cortisol was the more higber on 4~6 than 7~12 and lowest over 12 months old. A circadian rhythm in the serum concentration of cortisol in Korean native goats was not found significantly with 2 hours sampling intervals.

  • PDF

간흡충 감염 가토의 면역진단에 대한 연구 2. 성충 조항원의 정제 및 발육단계별 항원 분석 (Studies on the Immunodiagnosis of Rabbit Clonorchiasis 2. Immunoamnity purification of whole worm antigen and characterization of egg, metacercaria and adult antigens of Clonorchis sinensis)

  • 이옥란;정평림;남해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73-86
    • /
    • 1988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의 조항원(WWA), 정제항원(ABA)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해 보는 한편, 발육단계별로 충란 항원(EGA)-피낭유충 항원(MEA)-성충 항원(WWA)의 단백질 구성물질의 차이를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로 관찰하고 이들 항원의 유용성을 효소면역반응(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흡충의 조항원으로부터 정제된 항원(ABA)은 항체와 결합한 결합항원(affinity-purified antibody(IgG) binding antigen:ABA)으로서 Ouchterlony 반응으로 간흡충 감염 가토혈청과 4개의 침모대 (WWA는 7개)를 형성하였다. WWA의 major protein들은 분자량 16,300∼18,500 및 28,000∼29,000 dalton의 Polypeptide band였고, ABA는 분자량 18,000∼21,000 및 29,000∼31,000 dalton의 단백질로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ELISA시첩에서 ABA는 WWA에 비해 현저히 민감도가 낮았다. WWA와 ABA에 대한 폐흡충 감염 사람혈청의 ELISA 정사에서 WWA는 Ouchterlony 양성자 8예중 3예에서 교차반응을 나타내었으나 ABA는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흡충의 발육단계별 항원 단백질의 분자량 범위는 WWA 11,000∼80,000, MEA 15,000∼100,000, EGA 15,000∼200,000 dalton이었다. 주류원 단백질의 분자량은 EGA는 각각 36,600 (band No. 22), 38,500(No. 20), 64,000(No. 9), 62,000(No. 10), 54,500(No. 11), 53,000(No. 12) dalton, MEA는 각각 65,600(No. 3), 44,700 (No.7), 43,900(No. 8) dalton, WWA는 각각 16,300∼18,500(No. 31-32), 28,000∼29,000(No. 25), 11,000w13,000 (No. 35) 및 31,000(No. 24) dalton이었다. 즉, MEA와 EGA가 WWA보다 고분자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발육단계별 항원의 항원성은 ELISA 반응으로 볼 때 WWA가 가장 높았고, MEA는 약한 항원성만을 나타내었으며 EGA는 음성이었다. WWA와 간흡충 감염 가토혈청은 감염 4∼6주에 OD>1.0, 12주 이후 항체가의 plateau를 나타내었으나 MEA는 Ouchterlony 반응에서 EGA와 함께 음성반응을 보였다. ELISA에서도 중감염군(12∼20주)에서만 OD>0.6으로 미약한 항원성이 인정되었으며 경감염군은 전감염기간중 OD<0.6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성충 항원이 가장 강력한 함원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이 명백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성충 조항원은 면역진단에 사용할 겹우 타흡충과의 빈번한 교차반응이 예상되므로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은 정제 항원물질을 분리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원발성 폐암환자의 혈청 및 조직에서의 p53단백 표현 (The Significance of p53 Expression in Serum and Tissue from Patients with Lung Cancer)

  • 장중현;성순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33-340
    • /
    • 1998
  • 연구배경: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암중에서도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질환이며 흡연, 공해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폐암에서는 다양한 유전학적 변화가 나타나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p53의 유전자 변이와 그에 따른 p53 본래의 종양억제력의 상실은 종양발생에 관련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P53 변이의 확인은 면역조직염색, PCR 분석법과 ESISA 분석 등으로 조사할 수 있다. 방 법: P53의 혈청학적 측정은 69명의 폐암환자와 대조군으로 42명 비폐암 호흡기질환자에서 조사되었다. 혈청 p53 변이단백은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조직 면역화학염색은 p53의 단크론항체를 이용하였다. 결 과: 혈청학적 검사에서 비소세포 폐암의 p53 변이단백은 0.28ng/mL, 소세포폐암은 0.20ng/mL, 그리고 대조군은 0.34ng/mL로서 세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폐암의 임상병기에 따른 p53의 농도에는 어떤 상관성도 발견할 수 없었다. 폐암조직에 대한 p53 면역화학염색상 50%의 양성율을 보였으나 혈청학적 검사와는 어떤 상관성을 볼 수 없었다. 결 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변이 p53단백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는 폐암에 대한 진단적 가치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원발성 폐암의 p53 변이를 확인하기 위한 조직면역화학염색은 50%에서 양성을 확인하였다.

  • PDF

독일 셰퍼드 개에서 Ehrlichia와 Borrelia spp.의 감염 (Ehrlichia and Borrelia spp. Infection in German Shepherd Dogs in Korea)

  • 황철용;서상호;강준구;윤화영;채준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4-210
    • /
    • 2011
  • 국내 독일 셰퍼드로부터 에를리히아증과 라임병에 대한 항체가 조사를 위하여 효소면역측정법을 시용하였으며,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진드기매개성 병원체를 조사하였다. 2005년 10월부터 2006년 9월까지 국내 5개 지방으로부터 291마리 독일 셰퍼드를 선정하였다. 개 에를리히아 항체 조사를 위한 ELISA (Snap$^{(R)}$ 3Dx$^{(R)}$ test kit, IDEXX) 검사결과 전국적으로 7.56%(22마리)의 에를리히아 양성 항체 보균개와 1.72%(5마리)의 보렐리아 양성 항체 보균개로 조사되었다. 이 중 2마리에서는 두 가지 병원체 모두에 대한 양성 항체가 검출되었다. 에를리히아에 대한 양성항체를 지방별로 보면 경기도는 1.28%(78마리 중 1마리), 강원도는 12.64%(87마리 중 11마리), 충청도는 9.76%(41마리 중 4마리), 경상도는 8.93%(56마리 중 5마리), 전라도는 3.45%(56마리 중 5마리)로 조사되었다. Ehrlichia chaffeensis 유전자를 검출한 결과 전국 평균이 3.09%(291 마리 중 9마리), 강원도는 2.41%(291 마리 중 7마리) 그리고 충청도는 0.69%(291마리중 2마리)로 조사되었다.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증폭된 유전자(SNU-EC3과 SNU-EC5)에 대한 유전자염기서열분석결과 한국(Haemaphysalis longicornis 진드기)과 중국 그리고 Arkansas 분리주인 E. chaffeensis와 매우 유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국내에서 사육되는 독일셰퍼드에서 에를리히아증의 병원체와 라임병에 대한 항체가 검출된 것으로 볼 때 임상 진단에 있어서 진드기매개전염병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혈소판감소증이나 백혈구감소증이 있는 경우 그리고 봄부터 가을까지 야외활동을 한 경력이 있는 환자에 대한 감별진단 항목에 반드시 포함시켜야 할 것을 제안한다.

패혈증 증후군환자에서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발생의 예측 지표서의 혈중 Tumor Necrosis Factor-$\alpha$와 Interleukin-$1{\beta}$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1{\beta}$ as Predictable Markers for Development of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Septic Syndrome)

  • 고윤석;장윤혜;김우성;이재담;오순환;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52-461
    • /
    • 1994
  • 연구배경: ARDS발생 기전에 있어 TNF-$\alpha$나 IL-$1{\beta}$의 역할은 이들이 폐혈관 내피세포에 작용하여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나 ARDS환자 발생 예측 지표로서의 TNF-$\alpha$ 및 IL-$1{\beta}$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는 부정적이다. 이는 기존연구들이 다양한 질환들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ARDS 발생기전의 다양성이 ARDS환자 발생 예측지표로서의 TNF-$\alpha$의 유용성을 부정적으로 나타나게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저자들은 ARDS 발생이 내독소와 cytokines등에 의한 작용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패혈증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TNF-$\alpha$와 IL-$1{\beta}$의 ARDS 발생의 예측 표지자로서 임상적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패혈증 증후군환자들을 대상으로 ARDS발생군(이하 ARDS군, 16명)과 호흡부전 상태에서 ARDS로는 진행하지않은 급성호흡 부전군(Acute hypoxemic respiratory failure group, 이하 AHRF군, 20명)으로 분류하여 등록시, 24시간 및 72시간후에 채혈하여 ARDS군은 ARDS 발생시에, AHRF군은 동맥혈 산소분압에 대한 폐포 산소분압의 비가 가장 낮은 시점의 TNF-$\alpha$와 IL-$1{\beta}$의 농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ARDS 및 AHRF군에서 쇽 발생군과 비발생군으로 분류하고 쇽 발생시에 측정된 TNF-$\alpha$와 IL-$1{\beta}$를 비발생군의 TNF-$\alpha$ 및 IL-$1{\beta}$의 값과 비교하였다. 대조군은 건강 대조군으로서 1회만 채혈하였다. 결과: 1) 혈중 TNF-$\alpha$의 농도: 본 연구에 사용한 Predicta kit의 TNF-$\alpha$ 농도 측정의 민감도는 평균${\pm}2$표준편차의 하한값이 10pg/mL이며, 특이도는 100%로, ARDS군 16명중 8명이, AHRF군 20명중 12명이 10pg/mL 이상으로 측정되어 두 군사이에서 혈중 TNF-$\alpha$가 10pg/mL 이상 발현된 비율의 차이는 없었다. ARDS 및 AHRF군의 혈중 TNF-$\alpha$의 중앙값 농도는 각각 10.26pg/mL(<10-16.99pg/mL, 사분위수범위, interquartile range), 10.82pg/mL(<10-20.38pg/mL)로서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Fig. 1), ARDS 발생 전후의 혈중 TNF-$\alpha$의 농도도 중앙값이 10pg/mL미만(<10-15.32)pg/mL 및 10pg/mL미만(<10-10.22)pg/mL로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6명중 2명만이 ARDS 발생 전에 비하여 TNF-$\alpha$의 값이 증가되었다. ARDS 및 AHRF군에서 패혈성 쇽이 발생한 환자들(26명)의 TNF-$\alpha$의 농도는 12.53(<10-20.82)pg/mL로서 비발생군(10명) <10pg/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Fig. 2), 전체 생존군(<10, <10-12.92pg/mL)과 사망군(11.80, <10-20.8pg/mL)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8). 2) 혈중 IL-$1{\beta}$의 농도: 본 연구에 사용한 Quantikine kit의 최저 측정치는 0.3ng/mL로서 건강 대조군 10명중 1명을 제외한 모두에서 IL-$1{\beta}$측정치가 0.3pg/mL이하였다. ARDS 및 AHRF군의 검체 중 0.3ng/mL 이하로 측정된 경우는 ARDS, AHRF군에서 각각 1예가 있었다 ARDS 및 AHRF군의 혈중 IL-$1{\beta}$의 농도는 각각 2.22(1.37-8.01)ng/mL, 2.13(0.83-5.29)ng/mL으로서 두 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Fig. 3), ARDS 발생전(2.53, 0.3-8.38ng/mL)과 발생후(5.35, 0.66-11.51ng/mL)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패혈성 쇽 발생군(2.51, 1.28-8.34ng/mL)과 비발생군(1.46, 0.15-2.13ng/mL)사이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비발생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각각 P=0.44, P=0.054)(Fig. 4). 생존군과 사망군의 비교에 있어서는 각각 1.37(0.4-2.36), 2.84(1.46-8.34)ng/mL로서 생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혈중내 TNF-$\alpha$의 농도는 패혈증증후군 환자들에서 패혈성 쇽의 발생과는 연관성이 있으나 혈중내 TNF-$\alpha$ 및 IL-$1{\beta}$의 농도 측정이 ARDS 발생의 예측 지표로서는 임상적 효용성이 적은 것으로 사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