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nvironmental safety criteria

Search Result 34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합성형 교량에서 전단연결재에 대한 정적실험 및 강도식의 제안 (Static Test and Suggestion of Shear Strength Equation on Shear Studs in Composite Bridge)

  • 이성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43-5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강주형과 바닥판의 합성에 사용되는 전단연결재에 대한 연구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는 설계기준과 연구사례를 분석하고 교량 바닥판에 작용하는 각종 수직하중으로 인해 강주형과 콘크리트 슬래브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전단력을 전달하는 이 연결재를 설치한 밀어내기 시험체에 대하여 전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시험을 통하여 철근 대신 FRP 철근이 배치된 Steel strap 바닥판의 전단열재 평가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제안식은 도로교설계기준의 전단연결재 허용강도 대비 약 3배의 안전율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DIN 기준과 Viest 평가식과 비교하면 5%정도의 오차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성능중심의 공동구 평가 기준 개발 (Developments of performance-based evaluation criteria of utility tunnel)

  • 변요셉;성주현;조계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15-724
    • /
    • 2022
  • 최근 기반시설관리법('20.10) 시행으로 전기, 통신, 상수도, 난방 시설과 같은 필수적인 라이프라인(Life-Line)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공동구의 중요성이 높아진 실정이다. 현행 공동구 유지관리 체계는 사고예방적인 안전성 위주의 평가방식으로 관리되고 있어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동구 시설물에 대한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안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을 통해 성능평가 항목이 도출되었고, 계층화 분석법(AHP)기법을 통해 각 항목들에 대한 가중치가 산정되었다. 향후, 현장적용을 통해 수정 및 보완을 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공동구 성능평가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전해설비의 전기방폭 기준 만족을 위한 비방폭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Hazardous Method for complying with the Explosion Proof Criteria of the Electrolysis)

  • 김용규;한신탁;박종범;공병찬;박계준;정승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75
    • /
    • 2022
  • 최근 수전해설비의 운전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수소 누출로 인한 화재 및 폭발 가능성 및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관계법령 및 기술기준에 따라 수전해 시스템에 설치되는 모든 전기기에 전기방폭 형식인증 제품을 사용하거나 적절한 방법에 따른 비폭발위험장소화 절차를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전해설비의 일반적인 운전조건을 고려하여 KS C IEC 60079-10-1 및 KGS GC101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구분 및 범위 산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비폭발위험장소화를 달성하기 위해 임계농도인 폭발하한 25 % 미만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적정 환기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자연환기만 적용할 경우에는 수전해설비가 폭발위험장소로 구분되고, 이를 강제환기를 통해 비폭발위험장소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환기량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상 LiDAR를 활용한 접도사면 위험평가에 따른 GIS관리 (GIS Management on Risk Evaluation of a Road Slope Using Terrestrial LiDAR)

  • 장용구;곽영주;강인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D호
    • /
    • pp.169-175
    • /
    • 2006
  • 최근, 사면붕괴는 산악지역에 접해있는 국도변에서 자연재해로 발생하고 있다. 산악지역의 급속한 도로개설, 확장 등 경제 개발로 인하여 사면붕괴와 관련된 사고로 직결된다. 따라서, 국도 안전관리와 국도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면점검의 지속적인 관리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접도사면의 유지관리에 따른 재래적 Face mapping과는 차별화된 GIS기법을 적용하였다.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사면전문가 관점에서 사면 Face mapping을 통한 정확한 외형적 분석결과를 취득하였으며 그 결과를 외적 안정성 평가의 기준으로 붕괴발생 사면정보로 활용할 수 자료로 변환하였다. 또한, 현재 운영 중인 도로절토사면관리(CSMS) 데이터베이스 뿐 만아니라 업무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인터넷 GIS 기반의 도로 위험 평가, 관리 기법을 개선하였다.

수리시설물 및 농경지 가뭄대응능력 중심의 농업가뭄 취약성 평가 - 태안 지역을 중심으로 -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Focus on Drought Response Capability in Irrigation Facilities and Paddy Fields)

  • 문영식;남원호;하태현;조영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5권5호
    • /
    • pp.13-24
    • /
    • 2023
  •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the amount of rainfall during the summer season in South Korea has been decreasing, leading to an increase in areas affected by frequent droughts. Droughts have the characteristic of occurring over a wide area and being unpredictable in terms of their onset and end, necessitating proactive research to cope with them.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in Taean-gun, Chungcheongnam-do, focusing on irrigation facilities and paddy fields. The assessment criteria were meteorological impact, drought occurrence status, supplementary water supply capacity, and drought response capability, with nine specific indicators selected. The drought response capability was analyzed by applying a scoring system as a key component of the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while the other indicators were quantified using an entropy weighting technique.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showed that Anmyeon-eup and Taean-eup were the safest areas, while Wonbuk-myeon, Nam-myeon, and Gonam-myeon were the most vulnerable.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proactive measures for coping with agricultural drought, an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drought response in different regions.

K-RE100 이행에 필요한 국내해상풍력단지 누적 설치량 전망 연구 (Prospects of Cumulative Installed Power Capacity of Domestic Offshore Wind Projects for K-RE100)

  • 강홍구;김병하;김헌조;양창조;정해창
    • 신재생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44-54
    • /
    • 202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domestic offshore wind farms by reasonably predicting the expected completion time and installed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offshore wind projects in South Korea. Offshore wind power is drastically regarded as a core tool for clean energy transition and industrial decarbonization in the fight against the climate crisis globally. Especially in South Korea offshore wind power is the main tool in partaking in RE100 and K-RE100, and the Korean government aims to install 14.9 GW of offshore wind farms by 2030. However, this seems to have been significantly delayed due to the complex process of obtaining permits for offshore wind power in Korea. Thus, a reasonable prediction of power generation and a timeline for the final construction are imperative. To establish the delay time for permit licenses, classified location factors were included into site analysis. These factors comprised reviews of transmission and military operabili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aritime traffic safety examination, wind resource assessment and an analysis of current offshore wind proj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ajority of offshore wind projects currently being developed in Korea are predicted to be delayed by 3-5 years as they are among the criteria included in key discussion points for obtaining permits. The cumulative installed power capacity and annual power generation after construction are expected to be 37 GW and 97 TWh respectively.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for Aged Apartment Remodeling)

  • 김기현;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8-126
    • /
    • 2007
  • 최근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를 비롯하여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기준, 친환경상품인증기준 등 환경관련 제도 및 규정이 마련되면서 공동주택의 신축 및 리모델링 공사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는 거주자가 사전에 정해진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의견수렴과 사용되는 소재에 대한 요구분석이 신축에 비해 중요하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에 있거나 최근 완료된 리모델링 공사의 시공자는 친환경 소재 적용에 대한 거주자의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이 미비하였고, 친환경상품인증원의 최우수 등급을 받은 친환경 제품을 거주자의 요구에 의해 적용한다기 보다는 공동주택의 홍보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는 친환경 제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친환경 제품의 등급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경우가 있었고 적용되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가 매우 정성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의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리모델링 공사에 적용하여야 한다.

대한산업보건협회 산업보건연구소의 PAT 정도관리 참여결과 (Performance of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in Proficiency Analytical Testing Program)

  • 이준승;유호겸;오미순;박화미;윤기상;최호춘;정규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13-321
    • /
    • 1996
  • Our laboratoy has been participated in Proficiency Analytical Testing (PAT) program which is operated by the Americal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The program is designed to assist a laboratory improve its analytical performance by providing samples on a quarterly basis, evaluating the results, and providing reports on how well the laboratory performed. Evaluation of the results reported here covers five rounds of the PAT program (round 121~round 125). The way a laboratory is evaluated by PAT program is as follows: 1) There is no overall proficiency rating given to a laboratory. 2) A proficiency rating is given for each type of analyze (i.e., metals, silica, asbestos, solvents) that a laboratory analyzed. 3) Proficiency is rated acceptable ("A") if Z score lies between -3 and +3, and unacceptable if Z score is either higher than +3 ("H") or lower than -3 ("Lo"). Z score = (reported data - reference value) / standard deviation 4) For a laboratory to be rated proficient it must either have had no outliers over the most recent two rounds or of the samples actually analyzed over the past year (past four rounds), 75 % or more of the analyze sample results must be acceptable. According to the above rating criteria of PAT program, performance of metals including cadmium, lead, chromium and zinc, and asbestos sample analyses were rated acceptable ("A"). For silica analyses, all samples except one out of four samples in round 122 was rated high("H") were acceptable showing 95 % of ing 95 % of acceptance rate (19/20) throughout the rounds. Analyses of organic solvents were done on 52 samples in 9 types including methanol(MOH), 1,1,1-trichloroethane(MCM), tetrachloroethylene(PCE), trichloroethylene(TCE), benzene(BNZ), o-xylene(OXY), toluene(TOL), chloroform(CFM), 1,2-dichloroethane(DCE). All samples analyzed were rated acceptable except 2 samples that were rated high; one out of each four MCM and TCE samples in round 121, and one that was low out of four o-xylene analyses in round 122 indicating 94 % of acceptance rate(49/52) throughout the rounds. According to the laboratory rating criteria, our laboratory is rated proficient so far for all types of contaminants.

  • PDF

강합성 하로 철도교의 동적거동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Research on Dynamic Behavior of Steel Composite Lower Railway Bridge)

  • 정영도;고효인;강윤석;엄기하;이성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27-35
    • /
    • 2019
  • 기존의 중-장경간 철도교량에는 주로 강박스 거더교가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강박스 거더교는 교량 아래의 공간확보가 불리하고, 주거더가 얇은 박판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진동에 의한 울림소음이 발생하여 소음에 대한 많은 민원이 제기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강박스 거더교를 대체할 수 있는 장지간 철도교량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개발된 강합성 하로 철도교에 대한 특징을 소개하고, 이 철도교의 주요 적용 지간인 40m와 50m 교량을 대상으로 실제 운행열차인 KTX 하중의 운행속도를 반영하여 상용유한요소프로그램인 MIDAS Civil을 이용하여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해석결과를 분석하여 대상교량의 동적거동 특성을 확인하고 철도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동적성능 기준을 만족하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검토 대상 교량 모두 동적안전성 기준을 만족하였으나 지간 40m의 경우 연직가속도 값이 상당히 크게 나와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단면을 수정하여 연직가속도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하천제방에 대한 내부침식 파괴 연구 : 사례연구 (River Embankment Stability against Hydraulic Piping Failure in Korea)

  • 권교근;한상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C호
    • /
    • pp.33-42
    • /
    • 2006
  • 우리나라 하천 제방은 유래를 알 수없는 오래 된 것이 많고 당시 공학적 배경 없이 주변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방을 축조하였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에 와서는 제체가 노후화 되고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해 제방의 안전이 더욱 크게 위협받으면서 제방단면을 증대시키거나 수리시설을 전폭 재검토하는 등 설계 보완적 측면의 여러 가지 대책방안이 수립되고 있다. 그러나 제방을 신설하거나 기존단면을 보수 또는 단면을 증대함에 있어 재료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아직도 단편적인 설계기준을 전면 적용하거나 획일적인 다짐 시공관리 기준을 적용하는 정도로 그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검토에서는 제체의 재료특성에 주안점을 두어 Sherard(1953)가 제안한 균열 및 파이핑 저항등급을 소개, 이를 실제 파이핑이 발생한 국내 하천제방에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고 유한요소법에 의한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현행 설계기준에 의한 안정검토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검토결과, 두 방법 모두 파이핑이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파이핑 저항등급은 다짐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하고, 입도기준의 경우 주어진 재료의 입도와 제안된 입도기준과의 일치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보여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