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Friendly Dredg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4초

낙동강 유역의 친환경 하천 준설을 위한 환경창 수립 방안 (Environmental Windows Setting Method for Environmental-Friendly River Dredging in Nakdong River Basin)

  • 정안철;김성원;김민석;정관수
    • 환경정책연구
    • /
    • 제14권4호
    • /
    • pp.45-61
    • /
    • 2015
  • 국내의 하천 환경은 4대강 사업 이후로 많은 변화가 예상되며, 이 과정에서 하천관리기법 역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준설이 그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지만 준설은 2차 환경피해의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서 준설의 사회 환경적으로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미국의 환경창 제도를 한국에 적용시켜보았다. 자료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통계학적 기법을 이용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낙동강 강정고령보 하류부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1개월 동안 준설하는 경우에는 3월에 수행하는 것이 최적으로 나타났으며, 8개월 동안 준설하는 경우에는 8월에 수행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홍수기를 고려했을 경우에는 8개월 동안 준설에 대해서 10월에 시작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창 제도와 같이 비구조적 방법은 친환경 준설장비를 개발하는 등의 구조적 방법보다 제도만 잘 정비된다면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친환경 준설장비를 개발하면서 소요되는 막대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환경창을 준설규정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창의 국내 적용은 하천준설에 대한 연구가 미비했던 국내에 기초자료로써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연안준설 및 준설토 해양투기 해양환경평가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Dredging and Ocean Disposal of Coastal Sediment in Korea)

  • 이대인;박달수;엄기혁;김귀영;조현서;김종규;서영교;백근욱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3호
    • /
    • pp.131-141
    • /
    • 2009
  • We studied improvement in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related management systems of coastal sediments that are dredged inshore but disposed offshore. After reviewing and diagnosing the existing assessment procedures and problems, we recommend to design the core assessment items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assessment byenhancing the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 (QA/QC) and verification processes. We proposed eco-friendly disposal plan for dredging sediment such as reuse system in land development was explored. A marine environmental database system was established to support the assessment processes. Guidelines for marine research and modelling were proposed for improving assessment of dredging and disposal of coastal sediment. Also, applying of screening and scoping for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reviewed.

준설시 커터헤드 주변의 수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round the Cutter-Head along the Dredging)

  • 채동석;박재현;김영도;이만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88-5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준설시 발생하는 환경적 요인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하여 준설실험을 통해 발생하는 부유물의 이동특성을 해석하기 위해서 PIV를 활용하였으며, 커터헤드 주변의 유속장의 특성을 흡입시와 비흡입시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유속장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커터헤드 바깥쪽으로 크기가 감소함을 볼 수 있었으며, 흡입시에 비하여 비흡입시 유속장의 크기가 감소하는 비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바탕으로한 난류강도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흡입시 비흡입시에 비하여 난류강도의 크기가 크게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흡입 에너지에 의하여 z축 방향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iber Mat 의 Sand Mat 대체가능성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experimental estimation of substitutability of Fiber Mat for Sand Mat)

  • 이송;정용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0-285
    • /
    • 2005
  • At present, there are several problems related with sand mat which is used as a way to accelerate consolidation settlement, act like an underground drainage layer and increase trafficability simultaneously. First of all, the unbalance oft he demand and supply of sand is th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which makes not only price advance of sand but also delays a term of total construction work. Secondly, the damage of ecosystem and scenery is triggered by thoughtless sand dredging or mining. So, the need that the sand for sand mat should be replaced with a new environmental friendly material has been increased. Fiber mat may be one of the proper materials that suits the need. Therefore, we intended to compare the drainage properties of sand mat with those of fiber mat by experimental model tests. On the basis of the test results, fiber mat took shorter period of consolidation than sand mat and it's amount of settlement showed a little bit bigger than the other. In conclusion, the substitutability of fiber mat for sand mat could be placed highly in view of drainage efficiency. Furthermore, when Fiber mat is used, it has an advantage that spoil soil of the construction site or nearby site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rafficability in addition to a role of drainage layer.

  • PDF

모형토조실험에 의한 초연약지반의 표층개량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urface Improvement of High Soft Ground Using Calibration Chamber Test)

  • 방성택;연용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39-46
    • /
    • 2019
  • 준설점토를 활용한 연약지반은 장비주행성 및 진입로의 확보를 위해 시멘트 계 고화재 및 무기질 고화재 등을 활용한 표층고화처리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환경에 유해한 물질의 용출로 인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환경과 기능성을 모두 만족하는 표층고화처리 공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표층처리 공법으로는 조기강도와 장기적인 안정 등을 고려하여 시멘트계 고화재를 이용한 표층고화처리공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지반개량 효과가 크고 경제적 효율성으로 인해 국 내외에서는 시멘트계 고화재를 이용한 표층개량에 대한 연구과 수행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환경과 기능성의 문제가 제기되어 시멘트에서 발생되는 6가크롬(Cr6+), 수은(Hg) 등의 유해물질로 인해 지반오염과 환경문제가 발생되어 다양한 친환경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자연함수비의 준설점토를 시멘트와 친토양고화재를 혼합한 혼합토를 대상으로 동일한 배합조건 및 양생조건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기준으로 표층개량범위 적용 및 실내모형토조시험을 수행하여 초연약지반의 강도특성 및 지지력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갯벌모르타르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mud flat mortar)

  • Yang, Seonghwan;Kim, Huido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89-596
    • /
    • 2015
  • 건설산업의 양적팽창과 함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콘크리트는 건설재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로서 다양한 발전을 해왔다. 하지만 콘크리트를 제작하는데 필수 요소는 골재자원이 점진적으로 고갈되고 있으며 환경문제에 대한 규제의 강화로 인해 골재부족현상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준설토 투기로 인해 버려지는 갯벌을 골재로 치환하여 사용한 친환경 모르타르를 제작하여 그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또한 내화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가열을 한 뒤 잔존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MM1, MM2, MM3의 잔존압축강도는 각각 45%, 95%, 57.7%의 강도를 발현하였으며 MM2의 배합에서 내화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침하로 인한 지하공동 복구재료의 현장적용성 평가 (Filed Applicability Evaluations of Restoration Material for Underground Cavities Formed by Ground Subsidence)

  • 방성택;백승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11
    • /
    • 2020
  • 최근 도심지에서 많이 발생되는 지반함몰은 교통흐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재산적인 손실과 함께 인명피해도 심각하게 발생되는 등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함몰된 지반을 긴급하게 복구하여 추가 피해에 대비하여야 하는데 현재 국내의 지반 함몰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미흡하고 함몰 원인의 정확한 규명 및 재발생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함몰된 지반의 복구방법으로는 함몰된 흙을 재사용하여 되메우기를 하거나 기타 성토재료를 사용하여 되메움 한 후 도로를 포장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지반함몰을 일시적으로 방지하는 방법에 불과할 뿐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볼 수 없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보강된 지반은 되메움재의 불량 및 다짐불량 등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지반함몰이 발생될 가능성을 배제할 없다. 이 연구에서는 지반 침하로 발생된 지하공동의 복구에 활용할 수 있는 복구재료로써 개량된 준설점토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친환경고화재(EHSM) 및 화강풍화토의 혼합비율을 변화시켜 제작한 공시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복구재료의 환경변화에 따른 강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고 각 단계별 시험이 종료되면 강도분석을 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 및 동탄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복구된 지반의 강도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복구된 지반의 개량효과를 검증하였다.

현장조사 결과를 이용한 인공습지 적정 설계 및 유지관리 방안 도출 (Suggestion of Appropriate Design and Maintenance in a Constructed Wetland using Monitoring Results)

  • 이소영;최지연;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28-435
    • /
    • 2015
  • 인공습지는 물순환, 생태, 수질정화, 경관, 심미적 기능 등의 융합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의 고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 조성된 인공습지는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단순 토목, 조경 위주의 습지 조성으로 인공습지의 고유기능 발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습지의 적정 설계, 유지관리 및 사후운영 방안 등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에 조성된 인공습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공습지의 개념 정립 및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환경부 및 기타 기관에서 분류하고 있는 인공습지의 분류체계에 대하여 조사였다. 인공습지 현장조사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43개 지점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현장조사를 실시한 인공습지 중 우수사례로 꼽힌 인공습지는 공통적으로 수변공간 제공, 오염물질 정화기능, 생태서식처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 퇴적물, 시설관리 등의 유지관리가 적절하게 수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습지의 적정 설계 및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