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 of Crime Prevention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 범죄예방 환경설계 인증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n Authorization System for Domestic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임동현;이경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6호
    • /
    • pp.85-92
    • /
    • 2018
  •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in an apartment complex environmentally designed for domestic crime prevention. The researchers surveyed 267 residents on the community, fear of crime, and crime victimization. They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authorization complex received higher security satisfaction results than the unauthorized complex; residents were less afraid of crime and more active in the apartment complex community. These results differ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fear of crime is not related to a crime victim experience and that the fear of crime is low when there are less households in the apartment complex. Therefor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abroad should not be accepted in a domestic residential environment.

Development of GIS-based Regional Crime Prevention Index to Support Crime Prevention Activities in Urban Environments

  • Seok, Sang-Muk;Kwon, Hoe-Yun;Song, Ki-Sung;Lee, Ha-Kyung;Hwang, Jung-R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1-48
    • /
    • 2017
  • In this study, we proposed GIS-based Regional Crime Prevention Index (RCPI) development method design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with systematic crime prevention activities. The public interest in safe urban environment is increasing rapidly. The government is putting efforts into crime prevention activities to eliminate the criminal opportunities in advance. CPTED is method to prevent crimes in the city by improving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use crime. It is used by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the crime prevention activities centering on the expansion of CCTVs and street lamps and the improvement of street environment. However, most policies were terminated as one-off programs and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effect of such policies on a continuous basis. In order to alleviate issues, this study proposed RCPI as part of crime safety assessment in urban environments. The estimation of RCPI in City A of Gyeonggi-do showed relative differences in 31 districts (dong), indicating that it is also possible to evaluate the crime safety in the local community on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dong, the smallest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urban environments. As a crime map, the RCPI will be used effectively as he reference to suppor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local government in the future.

단독주택의 자연적 감시 확보가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tural Surveillance of Detached House on the Fear of Crime)

  • 신재헌;김상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30-237
    • /
    • 2012
  • 1950년대 이후 범죄에 대한 기존의 예방법에 대한 한계로 인해 기존의 범죄예방과 다른 관점을 가진,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활동(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CPTED는 범죄자의 범죄 특성과 인간의 주변 환경과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CPTED의 요소 일반적으로 자연적 감시, 자연적 접근통제, 영역성, 활동의 지원 등이 있다. 이 중 자연적 감시는 CPTED 기법의 요소로서 자연적인 감시활동이 범죄자의 행동을 감시하여 범죄를 예방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CPTED 연구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단독주택지역이라는 CPTED 특성을 바탕으로 확보된 자연적 감시에 의해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주어 범죄 두려움 감소와 함께 범죄에 대한 피해 경험이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자연적 감시의 확보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하고, 실질적인 범죄가 줄어든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범죄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준공업 지역 내 2개의 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Environment Development for Decreasing fear of Crime - Focused on the Two Complexes in Sub Industry District -)

  • 김대진;홍동진;이효창;하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1-115
    • /
    • 2008
  • The government began to move large scale factories in city out to the suburbs because the city we live in is getting over-populated and becoming a highly congested district. However, because of alteration of use The transfed site of factory became to be mixed and used in residence and factory facility. Lately, as criminal technique and personality become cruel and feral, crime occurrence rose on the one of most important thing that decide resident's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tries to find come fear element which resident feel in sub-industry and improvement item for crime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prevent crime by developing a proper housing environment. The survey was planned to find out factors of resident's awareness of fear about crime through pre-study and analyzed physical surrounding through spot survey. Through these investigation, can mak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importance of lighting plan throughout the city is necessary to decrease fear of crime. Second, active crime prevention activity is required in park and playgrounds.

  • PDF

범죄로부터 안전한 다세대·다가구주택 계획기준 마련을 위한 시범평가 연구 (A Pilot Evaluation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CPTED Criteria of Flat or Multiple Dwelling Houses)

  • 김용국;조영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27-34
    • /
    • 2018
  • Flat or Multiple Dwelling Houses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crime safety. Crime prevention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because crime is 2.6 times higher than in real apart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rime prevention design standards, field survey, and interviews with experts, 27 items of crime prevention design criteria for flat or multiple dwelling house were derived, and ten design criteria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by the expert AHP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pilot evaluation of existing flat or multiple dwelling house, the houses completed after 2015 have relatively high level of crime prevention, but the houses constructed before that are very vulnerable. The policy and system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new housing should be promoted to meet minimum criteria by supplying and educating public officials, architects, and building owners in the short term to provide criteria for flat or multiple dwelling house crime prevention plans. Second, existing housing should be supported with basic crime prevention support projects such as security windows for flat or multiple dwelling house where secur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urban renewal policy is poor. Thir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shall be revised to make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of flat or multiple dwelling house obligatory, and the criteria of flat or multiple dwelling house crime prevention plan should be reflected in the notice of crime prevention building standard.

노후건축지구의 범죄예방환경디자인 요소 분석 - 대구광역시 안전마을만들기사업 중심으로 - (Analysis of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Elements in Old Building Districts -Focused o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Safety Village Project-)

  • 강경하;손병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01-302
    • /
    • 2021
  • Recently, there has been a large social issue about the environmental sector for safe zones from crime. Since 2010, starting with Seoul, most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ordinances related to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PTED) and are showing active movement. In this study, as part of a method to understand how to use the design elements applied to CPTED, the safety village creation project of deteriorated construction distric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10 project destinations using CPTED, and the CPTED application elements were evaluated by CPT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elements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plan of the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were reviewed. In order to extract the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of the project site, the CPTED guideline appropriate for the sector was used based on the standard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design for crime prevention in Daegu City and the contents of the crime prevention urban design ordinance.

  • PDF

도시내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위치의 공간적 차이 분석 (Spatial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Real Crime and Fear of Crime)

  • 허선영;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4-207
    • /
    • 2011
  • 본 연구는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다르게 나타나는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범죄관련 사례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방법을 정립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시민 참여형 방범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CPSCP)을 개발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 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설계(environmental design)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CP는 향후 시스템을 고도화 하여 U-City의 U-방범시스템으로 활용함으로써 시민이 자기 동네를 자주적으로 스마트 안전도시로 만들어 나가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민간경비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기법의 상호의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dependence of Private Security and Techniques of CPTED)

  • 이정덕;임유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29호
    • /
    • pp.223-249
    • /
    • 2011
  • 현대사회에서 시민들의 안전과 삶의 질적 측면을 적극 고려하는 범죄예방활동은 범죄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효과적인 범죄예방 전략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범죄예방을 위한 정책과 기법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보다 과학적이고 최첨단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오늘날 대표적인 범죄예방의 최첨단 전략이 민간경비영역에 많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경비에 첨단기술이 많아지면서 비용이 상승하고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의문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전략이다. 이는 적은 비용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주위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자연적 감시원리, 접근통제, 영역성, 감시강화 활동의 지원, 유지 및 관리의 원리를 강조하는 다각적인 범죄예방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범죄예방과 관련된 방어공간의 영역설정은 민간경비와 CPTED의 영역과 활동의 영역을 결정지으며, 현실적으로 범죄에 대한 예방과 방어공간을 고려해야 한다. 범죄의 사전적 예방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범죄예방을 위한 접근 시각과 방법을 달리하는 민간경비와 CPTED의 이질적인 측면과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영역에서 어느 정도 중첩이 되는 동질적인 측면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범죄에 대한 공간과 환경적인 접근을 통해 예방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민간경비와 CPTED는 범죄예방활동과 관련해서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한 공간적인 시각과 다각적인 접근을 의미하고, 특정행동에 해당하는 범행과 그 기회를 억제하거나 유인하기 위한 범죄예방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범죄의 사전적 예방이 강조되고 이와 관련된 전략이 요구되는 가운데 민간경비와 CPTED의 상호의존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범죄예방에 대한 접근 방법과 주체 그리고 규모의 다양성, 둘째, 민간경비와 CPTED의 특성과 한계를 고려한 영역 설정, 셋째, 상호의존적인 민간경비의 첨단적이고 과학적인 발전과 범죄예방에 대한 CPTED의 방어공간영역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여 접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VR을 사용한 범죄예방 어플리케이션 (Crime prevention application using VR)

  • 최번성;백건호;황병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639-640
    • /
    • 202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imulation program to learn how to deal with crime situations by realizing a virtual environment using VR. Currently, education on various crimes is increasing year by year, but the crime prevention rate is not decreasing. It was developed to help prevent crime by using VR to experience these problems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reality, learn how to use various tools that have not been used directly, and experience virtual experiences through the metaverse.

  • PDF

조명의 역기능 규명을 통한 스마트 범죄예방 사업 강화에 대한 연구 (Identifying the Dysfunction of Lighting for Smart CPTED Enhancement)

  • 김성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24
    • /
    • 2017
  • 범죄 예방을 위한 환경 재설계 연구자들은 생활환경 가운데 야간에 어두운 공간에 대하여 조명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조도를 높이는 것이 범죄 예방 효과를 높일 것으로 보편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 단순하게 공간의 조도만 높이는 것이 모든 범죄 발생을 억제할 것이라고 보는 것은 실제 상황과는 맞지 않다. 본 연구에서 실제 범죄사건 사례를 분석한 결과, 생활공간에 조명을 설치하여 조도를 높이는 조치가 오히려 범죄를 실행하는데 활용되는 것이 분석되었다. 단순히 조명을 설치하고 조도를 높이는 것만으로 범죄를 억제할 것으로 보는 관점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성범죄는 조도가 높아진 공간을 범행 대상을 관찰하는데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순하게 조도만 높이는 것 외에 보다 지능화된 상황인식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