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opy Wav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단면적이 변하는 실린더 관에서의 음향, 엔트로피 및 와류 파동 (Acoustic, Entropy and Vortex Waves in a Cylindrical Tube With Variable Section Area)

  • 조규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5-6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로켓 엔진의 고주파 연소불안정 현상이 연소현상과 맞물린 음향학적 현상이라는점과 일반적으로 로켓엔진의 연소실 및 배기노즐이 원통형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단면적이 변하는 원통형 관에서 음향, 엔트로피 및 와류 파동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엔트로피 및 와류파동이 음향파동에 미치는 영향을 수학적으로 해석 및 계산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음속 노즐에서 음향파동의 반사계수를 계산해 봄으로서 엔트로피 및 와류파동이 음향파동의 반사율을 강화 혹은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최대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한 비선형 불규칙 파고의 확률분포함수 (Probability Distribution of Nonlinear Random Wave Heights Using Maximum Entropy Method)

  • 안경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04-210
    • /
    • 1998
  • 최대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강한 비정규분포과정의 특성을 갖는 비선형 불규칙 파고의 확률밀도 함수를 유도하였다. 파랑의 파고가 쇄파고(또는 수심)에 의해 제한되고 파고의 1, 2차 모멘트만 주어졌을 경우, 유도된 확률밀도함수는 $H_{b}$ (쇄파고), $H_{m}$(평균파고), $H_{rms}$(파고의 제곱평균평방근)의 매개변수로 폐합형(closed form)으로 표시된다. 파고의 3차 이상의 모멘트가 주어진 경우에는 최대 엔트로피를 갖는 확률밀도함수의 매개변수를 구하기 위해서 비선형 적분 방정식 계를 Newton-Raphson 방법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구하였다. 최대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유도된 파고의 확률밀도함수를 비정규분포의 특성이 강한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실측자료는 폭풍시 중간수심과 천해에서 측정된 쇄파고에 가까운 자료로서 강한 비선형 불규칙 파랑의 특성을 지니며, 이 경우에도 유도된 확률밀도함수가 측정된 파고의 막대그래프와 잘 일치하였다. 강한 비선형 불규칙파의 특성을 갖는 파랑의 파고일 경우에도 파고의 1, 2차 모멘트만으로도 파고의 분포를 잘 나타낼 수 있었다. 최대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구해진 파고의 확률분포함수는 해안구조물의 설계파를 결정하는 극치파고분포와 파고의 통계적인 특성을 추정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가스터빈 연소기에서 엔트로피파에 대한 고찰 (Review of Entropy Wave in a Gas Turbine Combustor)

  • 김대식;윤명곤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8-35
    • /
    • 2018
  • Entropy waves(or hot spots) in a gas turbine combustor are generated by irregular heat release from flames, then can be coupled with acoustic waves when they are accelerated at the exit of the combustor. This coupling mechanism between the entropy and the acoustic waves is generally known to be one of the triggers for combustion instability, which is commonly called "indirect" combustion noise. This paper reviews the fundamental theories on generation, propagation, and coupling with acoustic field of entropy waves and recent research results on the indirect combustion noise for gas turbine combustors.

Shannon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한 가보 웨이블렛 최적 형상의 선정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Gator Wavelet Shape Factor Using the Shannon Entropy Concept)

  • 홍진철;김윤영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76-181
    • /
    • 2002
  • The continuous Gabor wavelet transform (GWT) has been utilized as a useful time-frequency analysis tool to identify the rapidly-varying characteristics of some wave signals. In the application of GWT,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Gabor wavelet with the optimal shape factor by which the time-frequency distribution of a signal can be accurately estimated. To find the signal-dependent optimal Gabor wavelet shape factor, the notion of the Shannon entropy which mesures the extent of signal energy concentration in the time-frequency plane is employ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esent entropy-based scheme, we have applied it to the time-frequency analysis of a set of elastic bending wave signals generated by an impact in a solid cylinder.

  • PDF

단면적이 변하는 실린더 관에서의 음향, 엔트로피 및 와류 파동 (Acoustic, entropy and vortex waves in a cylindrical tube with variable section area)

  • ;조규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3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로켓 엔진의 고주파 연소불안정 현상이 연소현상과 맞물린 음향학적 현상이라는 점과 일반적으로 로켓엔진의 연소실 및 배기노즐이 원통형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단면적이 변하는 원통형 관에서 음향, 엔트로피 및 와류 파동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엔트로피 및 와류파동이 음향파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해석 및 계산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유한수심에서의 불규칙파의 파고 분포 (Distribution of Irregular Wave Height in Finite Water Depth)

  • 안경모;마이클오찌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8-93
    • /
    • 1994
  • 유한수심에서의 불규칙파에 적용할 수 있는 파고의 확률분포함수를 2가지 해석적 방법으로 유도하였다. 첫번째 방법으로 새로이 유도된 확률분포함수는 Rayleigh 확률분포함수에 대한 직교 다항식을 유도함으로써 급수형태로 표시된다. 유도된 확률밀도함수를 비정규성이 강한 천해에서 측정한 파랑자료와 비교하였다. 확률밀도함수가 자료의 막대그래프와 잘 일치하였으나, 확률밀도함수가 급수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파고가 큰 부분에서 음의 확률값이 된다. 비록 음의 확률값의 크기가 작다 하더라도 파고의 극치분포함수를 구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두번째 방법은 최대 엔트로피 법(maximum entropy method)을 적용하여 파고 분포와 매우 잘 일치하며, 극치파고분포와 파고의 통계적인 특성 등을 추정하는 데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최대 엔트로피 법을 사용했을 경우, 비정규분포 특성을 나타내는 변위의 분포함수와 파고의 분포함수 사이의 함수관계를 구할 수 없었다.

  • PDF

파향스펙트럼 추정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thods Estimating Wave Directional Spectrum)

  • 오병철;심재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9-127
    • /
    • 1990
  • 불규칙 파랑의 파향스펙트럼 추정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파향스펙트럼 추정이론의 근간은 Longuet-Higgins et al.(1963)이 제시한 방법으로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추정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파향스펙트럼을 [0, 2$\pi$]에서의 확률밀도함수로 간주하고 Entropy 법칙을 응용한 Kobune et al.(1986)의 최대 엔트로피법 (MEM)은 Longuet-Higgins et al.의 방법 (LHM)에 비해 파향의 분석능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EM은 파향스펙트럼이 Delta 함수민 경과에는 그 파향스펙트럼을 정확하게 추정하며, 단봉형 스펙트럼의 경과에도 Mitsuyasu의 방향분산계수(spreading coefficient)가 5 이상이면 정도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쌍봉형 파향스펙트럼의 경과에는 두 peak를 이루는 파향의 각도차가 클수록 분해능이 양호하며, peak의 첨예도(peakedness)가 큰 쪽이 평활화(smoothing)되어 이 부분의 에너지 일부가 첨예도가 작은 peak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LHM은 쌍봉형의 경과에도 단봉형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계산시간이 빠른 점을 제외하면 MEM에 비해 분해능이 매우 뒤떨어지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PDF

Passive Millimeter-Wave Image Deblurring Using Adaptively Accelerated Maximum Entropy Method

  • Singh, Manoj Kumar;Kim, Sung-Hyun;Kim, Yong-Hoon;Tiwary, U.S.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14-417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daptive method for accelerating conventional Maximum Entropy Method (MEM) for restoration of Passive Millimeter-Wave (PMMW) image from its blurred and noisy version. MEM is nonlinear and its convergence is very slow. We present a new method to accelerate the MEM by using an exponent on the correction ratio. In this method the exponent is computed adaptively in each iteration, using first-order derivatives of deblurred image in previous two iterations. Using this exponent the accelerated MEM emphasizes speed at the beginning stages and stability at later stages. In accelerated MEM the non-negativity is automatically ensured and also conservation of flux without additional computation. Simulation study shows that the accelerated MEM gives better results in terms of RMSE, SNR, moreover, it takes only about 46% lesser iterations than conventional MEM. This is also confirmed by applying this algorithm on actual PMMW image captured by 94 GHz mechanically scanned radiometer.

  • PDF

Shannon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한 가보 웨이블렛 최적 형상의 선정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Gabor Wavelet Shape Factor Using the Shannon Entropy Concept)

  • Hong, Jin-Chul;Kim, Yoon-Young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초록집
    • /
    • pp.324.1-324
    • /
    • 2002
  • The continuous Gabor wavelet transform (GWT) has been utilized as a useful time-frequency analysis tool to identify the rapidly-varying characteristics of some wave signals. In the application of GWT,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Gabor wavelet with the optimal shape factor by which the time-frequency distribution of a signal can be accurately estimated. To find the signal-dependent optimal Gator wavelet shape factor, the notion of the Shannon entropy which measures the extent of signal energy concentration in the time-frequency plane is employed. (omitted)

  • PDF

Shannon Entropy as an Indicator of the Spatial Resolutions of the Morphologies of the Mode Patterns in an Optical Resonator

  • Park, Kyu-Won;Kim, Jinuk;Moon, Songky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5권1호
    • /
    • pp.16-22
    • /
    • 2021
  • We present the Shannon entropy as an indicator of the spatial resolutions of the morphologies of the resonance mode patterns in an optical resonator. We obtain each optimized number of mesh points, one of minimum size and the other of maximum one. The optimized mesh-point number of minimum size is determined by the identifiable quantum number through a chi-squared test, whereas the satu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Shannon entropies corresponds to the other mesh-point number of maximum size. We also show that the optimized minimum mesh-point increases as the (real) wave number increases and approximates the proportionality constant between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