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cocus faecali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항종양활성을 지닌 Enterococcus faecalis 2B4-1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nterococcus faecalis 2B4-1 Containing Antitumor Substances.)

  • 박상진;임대석;윤상군;백영진;김창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71-475
    • /
    • 1998
  • 신생아 분변으로부터 장내세균 127균주를 분리하였다. 각각의 균주들의 배양균체를 검정종양세포들에 대해 항종양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종양활성을 나타내는 분리균주는 27균주였고, 그 중 비교적 강한 항종양활성을 보이는 균주는 5균주였으며, 5균주중 위암세포주, SNU-1에 선택적으로 강한 항종양활성을 나타내는 2B4-1 균주를 최종분리하였다. API 20 S system kit를 이용하여 분리 균주 2B4-1을 동정한 결과, Enterococcus faecalis와 99.9%의 % ID value를 나타내었다. 동정된 분리균주 2B4-1과 type strain, Enterococcus faecalis NCTC 775와의 생리생화학적 특성들을 비교해 본 결과, 온도별대 성장률, 내염성, 내산성, arabinose등의 당 이용성 및 통성혐기 상태에서의 생육 등에서는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hippurate hydrolysis test의 음성반응 및 $\beta$-hemolysis test의 음성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Enterococcus faecalis NCTC 775와 2가지의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분리균주 2B4-1은 Enterococus faecalis NCTC 775와는 약간의 특성이 다른 변종으로 확인되어 Enterococcus faecalis 2B4-1으로 동정하였다.

  • PDF

시판 축산물 및 수산물에서 Enterococcus faecalis와 Enterococcus faecium 분포 및 항생제 감수성에 관한 연구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nterococus faecalis and Enterococcus faecium Isolated from Beef, Pork, Chicken and Sashimi)

  • 성창현;천정환;곽효선;김현숙;서건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3-13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256곳의 판매점에서 구입한 축산물 및 수산물에서 Enterococcus faecalis 와 Enterococcus facium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항생제 내성양상과 vancomycin 내성 유전자 보유여부를 검증하였다. 총 256개 시료 중 117개에서 E. faecalis(40.6%)와 E. faecium(5.1%)가 검출되어 45.7%의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축산물은 192개 중 105개 균주가 분리되어 54.7%의 분리율을 나타내었는데 닭고기에서 가장 높은 68.8%의 분리율을, 돼지고기에서 50.0%의 분리율을, 쇠고기에서 45.3%의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횟감어류에서는 18.8%의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균주에 대한 항생제 내성 양상은 10종의 항생제 디스크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Tetracycline의 내성률이 52.1%로 가장 높았으며, erythromycin의 내성률이 27.4%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Ampicillin과 penicillin는 1개의 균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amoxicillin & clavulanic acid에는 모든 균주가 감수성을 보였다. Vancomycin에는 모든 균주가 감수성을 보여 VRE는 검출되지 않았다. 분리된 균주의 vancomycin 내성유전자의 검출은 multiplex PCR을 이용하여 vanA gene과 vanB gene 보유여부를 확인하였다. vanA gene이 검출된 균주는 없었으나, vancomycin에 감수성을 나타내던 9개의 균주에서 vanB gene이 검출되어 VRE균 출현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젖산균의 성장에 미치는 Ge-132의 영향 (Effect of Germanium-132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Park, Seok-Kyu;Lee, Sang-Won;Takafumi Kasumi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06-513
    • /
    • 1999
  • 유기게르마늄(Ge-132, carboxyethylgermanium)에 의한 22가지 젖산균의 성장 효과를 0.01~10mg/m1의 농도로 첨가된 GPYS 액체배지에서 조사하였다. 시험한 대부분의 젖산균은 고농도의 게르마늄에서도 내성이 있었고, 게르마늄의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게르마늄이 10mg/m1의 농도로 첨가된 GPYS배지에서 Lactococcus factis, Lc. cremoris, Lc. diacetilactis, Enterococus faecium 및 Streptococcus faecalis는 2배 이상 생육촉진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Pediococcus pentosareus는 저해를 나타내었다. Lc. lactic와 Lc. cremoris의 경우, 배양액의 점도는 게르마늄이 첨가된 GPYS배지에서 급격히 증가되었지만, 장시간 배양에 의해서는 약간 감소되었다. 그러나 Lc. diacetilactis, E. faecium와 S. faecalis의 경우, 게르마늄의 첨가에 의하여 생육은 현저하게 촉진되었지만, 배양중의 점도는 증가되지 않았다.

  • PDF

Enterococcus faecalis 추출물이 임파구의 IL-2, IL-4, TGF-β1 분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nterococcus faecalis sonicated extracts on IL-2, IL-4 and TGF-β1 production from human lymphocytes)

  • 김현식;이우철;;손원준;이상탁;김철호;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1호
    • /
    • pp.1-6
    • /
    • 2005
  • 근관치료의 실패원인 중 중요한 세균으로 알려진 Enterococcus faecalis는 최근에 중요성이 더해지며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이다. 여러가지 기전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면역반응에 관한 연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Enterococcus faecalis의 초음파 분쇄 추출물을 성인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임파구에 적용시켜서 여기서 분비되는 interleukin-2, interleukin-4,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의 농도를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 faecalis를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한 뒤 초음파 분쇄를 하여 추출물을 얻어냈다. 임파구는 건강한 성인의 말초혈액에서 추출하여 분리하였다. 임파구를 적절한 농도의 mitogen (Phytohemagglutinin: PHA)으로 자극시킨 뒤에 다양한 농도의 E. faecalis 초음파 추출물을 적용시키고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LISA를 이용하여 IL-2, IL-4, $TGF-\beta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Kruskal-Wallis test, Man-Whitney rank sum test (p < 0.05)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결과 PHA로 처리한 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 IL-2, IL-4의 수치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p < 0.05). PHA로 처리한 군중에서 고농도와 중농도의 sonic extract of E. faecalis (SEF)로 처리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서 IL-2 IL-4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5). PHA로 처리한 군중에서 저농도의 SEF로 처리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GF-\beta1$의 농도는 모든 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따라서, E. faecalis의 추출물은 임파구의 IL-2, IL-4의 분비능력을 저하시킨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