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bacter intermediu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Enterobacter intermedium 60- 2G의 유기산 생성과 불용성인의 가용화 (Organic acid production and phosphate solubilization by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

  • 김길용;황보훈;김용웅;김효정;박근형;김영철;성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9-67
    • /
    • 2002
  • 강한 인산 가용력을 가진 인산 용해 세균인 균주 60-2G를 잔디의 근권에서 분리하였다. GC-FAME구조와 탄소이용형태 및 16S rRNA의 부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균주 60-2G는 Enterobacter intermedium으로 동정되었다. Hydroxyapatite를 첨가한 배지와 생장 시킨 균주 60-2G는 gluconic acid 와 2-ketogluconic acid 및 소량의 lactic acid를 생성하였다. 균주 60-2G의 생장 기간동안 배지의 pH는 3.8 까지 낮아지는 반면에 배지의 유효 인산 농도는 증가하였다. 배지의 낮은 pH와 유효인산농도의 증가는 역 상관관계이며, 이는 균주 60-2G가 생성하는 유기산에 의한 영향이다. E. intermedium 60-2G 균주는 유기산 생성에 관여하는 glucose dehydrogenase의 co-factor인 PQQ를 생성하였으며, pqq의 부분 염기서열 분석 결과 기존에 보고된 서열과 8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었다.

인산가용미생물, Enterobacterium intermedium 60-2G의 식물 생장 촉진 및 전신저항성 유도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a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um, Enterobactor intermedium 60-2G)

  • 김영철;김철홍;김길용;조백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3-231
    • /
    • 2002
  • 인산가용 미생물인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의 식물생장촉진 능력과 흑성병균인 Cladosporium cucumerinum에 대한 유도전신저항성 능력을 오이와 오이 흑성병균을 모델로 확인하였다. E. intermedium 을 처리한 오이는 물을 처리한 control에 비해 C. cucumerinum에 의한 흑성병의 병징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E. intermedium를 처리한 오이는 식물 생장촉진효과도 보였다. Strain 60-2G은 Fusarium oxysporum와 Magnaporthe grisea을 포함한 여러 식물 병원 곰팡이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인산가용능력을 가진 E. intermedium 60-2G는 식물의 생육을 증진시키는데 관여하는 여러가지 유익한 형질을 가진 아주 유용한 생물적 방제균임을 밝혔다.

각종 화학기질이 분리된 Enterobacter sp. 의 열저항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arious Chemical Substrates on Heat Resistance of Isolated Enterobacter sp.)

  • 정영건;권오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5-400
    • /
    • 1991
  • 식육 및 야생쥐의 장으로부터 식품매개성 질병에 관여하는 Enterobacter를 분리하여 그 특징을 구명하므로 공중위생 및 식품위생학적으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저 본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Enterobacter는 우육에서 1주(E. aerogenes), 돈육에서 2주(E. aerogenes, E. intermedium), 야생쥐의 소장에서 2주(E. aerogenes, E. cloacae)가 동정되어 총 분리된 89균주에 대한 분리율은 5.62%이었다. 분리된 Enterobacter를 각종 화학기질이 첨가된 배지에서 $55^{\circ}C$, 35분간 열처리한 결과, 전반적으로 0.1M glycine, 5% mannitol 그리고 5% sorbitol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열저항성이 강하였고 1% sodium citrate, 1% casein, 10% NaCl 그리고 0.1M cystein이 첨가된 배지에서는 열저항성이 약하였다.

  • PDF

Enterobacter intermedium으로 제조된 인산생물비료가 토양 특성 및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ate Bio fertilizer Produced by Enterobacter intermedium on Rhizosphere Soil Properties and Lettuce Growth)

  • 박범기;나정행;황보훈;이인중;김길용;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4
    • /
    • 2005
  • Enterobacter intermedium은 호기조건에서 glucose를 gluconic acid로 이를 다시 2-ketogluconic acid로 산화시킨다. 리터당 22.5 g의 glucose와 8.3 g gluconic acld, 그리고 40 g 인광석을 포함한 배지에서 배양 10일 후 $1028mg\;L^{-1}$ 의 수용성 인산이 얻어졌으며, 이 배양액을 인산생물비료로 사용하였다. E. intermedium에 의해 인광석이 용해된 인산생물비료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섯 가지 처리구가 사용되었다 (PBF1/3, PBF2/3, PBF3/3, BP 그리고 MF). MF와 BP처리구에서는 인산비료가 10a당 $5.9kg\;P_2O_5$ 기준으로 시용되었으나, PBF1/3, PBF2/3 그리고 PBF3/3처리구는 10a당 $5.9kg\;P_2O_5$ 에 해당하는 인산량의 1/3, 2/3, 3/3에 해당하는 인광석 용해 배양액이 각각 시용되었다. 상추 정식 후 20일, 35일 그리고 50일 후에 성장요소, biomass, 토양효소 활성 그리고 토양 화학성이 분석되었다. 근권의 dehydrogenase 활성과 유효인산농도가 인산생물비료 (PBF1/3, PBF2/3 그리고 PBF3/3)처리구에서 BP 및 MF처리구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았다. 토양 미생물 blomass는 생육초기에 BP 및 MF처리구에 비해 PBF3/3처리구에서 매우 높았다. 모든 결과를 고려할 때, PBF2/3처리구에서는 MF처리구와 비교하여 생체중이 23% 증가하고 인산흡수가 50% 증가하였다. 즉, 인산생물비료는 무기인산비료의 대용으로 사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Cloning and mutational analysis of pyrroquinoline quinone(PQQ) genes from a phosphate - solubilizing biocontrol bacterium Enterobacter intermedium.

  • Han, Song-Hee;Cho, Baik-Ho;Kim, Young-Cheo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4.2-95
    • /
    • 2003
  • E. intermedium 60-2G possessing a strong ability to solubilize insoluble phosphate, has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ctivity against scab pathogen in cucumber,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The phosphate solubilizing activity of 60-2G may be mainly accomplished by production of gluconic acid through a direct extracellular oxidation of glucose by glucose dehydrogenase that required a PQQ cofactor for its activation. A pqq gene cluster conferred Phosphate-solubilizing activity in E. coli DH5${\alpha}$ was cloned and sequenced. The 6,783 bP pqq sequence had six open reading frames (from A to F) and showed 50-95% homology to pqq genes from other bacteria. The E. coli strain expressing the pqq genes solubilized phosphate from hydroxyapatite after a pH drop to 4.0, which paralleled in time the secretion of gluconic acid. To study the role of PQQ in biocontrol traits of E. intermedium, PQQ mutants of 60-2G were constructed by marker exchangee mutagenesis. The PQQ mutants of E. intermedium were lost activities of solubilizing phosphate, growth inhibition of phytopathogenic fungi, and plant growth promo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QQ plays an important role, possibly activation of certain enzymes, in several beneficial bacterial traits of E. intermedium by as yet an unknown mechanism.

  • PDF

식수에서 분리한 대장균군의 생화학적 성상에 의한 균종별 분포 (Biochemical Classification of Coliforms Isolated from Drinking Water)

  • 함희진;안미진;박석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7-232
    • /
    • 1999
  • 세균오염지표인 대장균군의 균종별 분포를 조사함으로써 세균학적 의미를 조사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1997년 6-7월에 서울시 보건환경 연구원에 의뢰된 옹달샘 시료와 지하수 시료를 실험에 사용하였고, 옹달샘 유래 대장균군 112주와 지하수 유래 대장균군 24주를 IMViC test와 API 20E kit(BioMeriux)를 사용하여 균 분리 동정한 후 합계 136균주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대장균군을 분리 동정한 결과 23균종이 분리되었으며, 균종별로는 Esherichia 속균 39주(28.6%), Klebsiella 속균 32주(23.5%), Enterobacter 속균 30주(22.1%), Serratia 속균 19주(14.0%), Citrobacter 속균 6주(4.4%), Kluyvera 속균 4주*3.0%) 그리고 기타 6주 (4.4%)로 나타났다. 분리 균주들의 EMB agar상의 집락 색상은 녹색 금속 광택 50.7%, 분홍색 44.2%, 자주색 5.1%로 나타났고, 형태는 smooth colony 64.7%, mucoid colony 34.6%, rough colony 0.7%로 각각 나타났다. 생화학적 시험결과 lactose broth 에서는 가스를 생성하였으나 KIA에서는 gas를 생성치 않은 균종이 Ent. intermedium, Ser. liquefaciencs, Ser. marcescenes 그리고 Sal. arizoae이었고, H2S를 생성한 대장균군으로는 Kleb. pneumoniae, Kleb. oxytoca, Kleb. ornithinolytica, Ent. sakasakii, Ent. cloacae, Ser. Liquefaciens, Ser. ficaria, Cit. freundii 그리고 Sal. arizoae이었다. 이상의 결과 대장균군 정성시험 양성을 나타내는 대장균군은 대부분이 E. coli, Klebsilla 속균 그리고 Enterobacter 속균이었다. 또한 향후 대장균군 정성시험 시 EMB agar 상에서 녹색 금석성 광택 집락 외에도 분홍색 집락이 주의시되어지며, rough colony는 대장균군 분리에서 제외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생화학적 성상 검토 결과 새로운 형태의 대장균군 출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