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bacter cloaca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3초

Phytase를 생산하는 Enterobacter cloacae의 분리 및 효소 생산의 배지 최적화 (Isolation of Enterobacter Cloacae Producing Phytase and Medium Optimization of Its Production)

  • 송민동;김영훈;양시용;김대영;김창원;정원형;권문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8-83
    • /
    • 2001
  • 본 연구는 phytic acid를 myo-inositol과 무기태인으로 분해시키는 효소인 phytase 생산균주의 분리 및 효소생산의 배지최적하에 관한 것이다. 1차로 calcium phytate를 기질로 함유한 phytase screening 배지를 이용하여 phytase 생산을 나타내는 균주 35가지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sodium phytate를 기질로 하여 재현성 있는 phyt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12가지를 선발하였다. 12개의 균주 중 BHI broth에서 배양한 조효소액의 phytase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YH100을 선발하여 주사현미경 관찰, 16S rRNA sequence 분석, GC conten(mol%) 조성, 지방산 분석, API 20E kit를 이용한 test 결과 Enterobacter cloacae로 동정되어, 이 균주를 Enterobacter cloacae YH100이라 명명하였다. Enterobacter cloacae YH100에 의한 phytase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 조성을 파악한 결과 glucose 2.0%(w/v), peptone 1.0%(w/v), beef extract 1.0%(w/v), KCI 0.1%(w/v), sodium phytate 0.1%(w/v)로 나타났다.

  • PDF

Enterobacter cloacae MG82에 의한 Crystal Violet의 탈색특성 (Decolorizing Characteristics of Crystal Violet by Enterobacter cloace MG82.)

  • 정민선;지원대;김병홍;정영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9-274
    • /
    • 1998
  • Triphenylmethane계 염료 탈색균인 E. cloacae MG 82를 이용한 crystal violet의 탈색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내의 용존산소의 양이 많을수록 crystal violet의 탈색과 E. cloacae MG82의 균생장이 좋았다. 균생장 중기의 세포 군에서 crystal violet의 탈색능이 가장 활발하였고 염료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균생장과 탈색능이 억제되었으며, 균생장이 가능한 crystal violet의 최고 농도치는 375 $\mu$M이었다. E. cloacae MG82는 crystal violet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없었고, 균생장 및 염료의 탈색에 또 다른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였다.

  • PDF

오미자 물추출물의 세균증식 억제효과 (Growth Inhibition of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ullion on the Bacteria)

  • 지원대;정민선;정현채;최웅규;정원환;권대준;김성영;정영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9-95
    • /
    • 2001
  • 한약재 중에서 항균성 물질을 찾고자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실험균의 생육에 대한 항생제와 보존료의 영향을 조사하였고, 각종 한약재 물추출물의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오미자 물추출물은 모든 실험균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생장 저해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별 항세균능을 살펴본 결과, 0.2%이상 첨가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Escherichia coli W3110과 Enterobactey cloacae MG82 및 Salmonella typhimurium의 증식을 크게 억제할 수 있었다.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있어서 Escherichia coli W3110의 평균 비증식 생장속도는 0.514 (hr ̄)이었고, Enterobacter cloacae MG82는 0.381(hr ̄)이었고, Salmonella typhimurium은 0.489(hr ̄)이었다. 오미자 추출물을 0.2% 첨가할 경우 Escherichia coli W3110과 Enterobacter cloacae MG82 및 Salmonella typhimurium의 평균 비증식 생장속도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1.26배, 2.23배, 1.50배 감소하였으며, 최소 저해 농도는 0.25%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Enterobacter cloacae MG82에 대해 가장 큰 증식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배추김치즙의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Enterobacter cloacae에 대한 항균작용 (The Antibacterial Ac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on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nterobacter cloacae)

  • 서화중;서유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51-1356
    • /
    • 2003
  • 배추김치의 항균작용을 실험한 본 연구에서 1개월간 발효된 배추김치즙 시료(염분 2.8%, 산도 1.34%, PH 4.1)를 2% 함유한 보통 한천 배지에서 실험군의 집락수 억제율은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이 가장 낮은 63%이었고 Enterobacter cloacae ATCC 13047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은 각각 72%, 76%이었고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은 가장 높은 90%를 보였다.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는 배추김치즙 함량이 6%에서 100%발육 억제효과를 보여 실험균 중 배추김치즙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약했으나 동일한 배추김치즙 시료농도(6%)에서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 Enterobacter cloacae ATCC 13047,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는 각각 89%, 90%, 91% 의 집락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배추김치즙 함량 10%에서 모든 실험군의 집락가100%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실험결과 1개월간 충분히 발효된 배추김치에는 어떤 식중독균도 생존할 수 없을 것으로 밝혀졌다.

CTX-M-15형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와 ArmA 동시 생성 Enterobacter cloacae의 출현 (Emergence of CTX-M-15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and ArmA-Producing Enterobacter cloacae)

  • 성지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313-3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세균의 항균제 내성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일개의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Enterobacter cloacae를 대상으로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ESBL) 및 16S rRNA methyltransferase 유전자를 검출하고 항균제 감수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대상균주 중 총 8 균주가 CTX-M-15형 ESBL을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균주들 중 3 균주는 16S rRNA methyltransferase의 한 종류인 armA 유전자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TX-M-15형 ESBL 유전자와 armA 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E. cloacae는 3세대 cephalosporin 계열 및 aminoglycoside 계열의 항균제 뿐 만 아니라 fluoroquinolone 계열의 항균제에도 내성을 보였다. 더구나 이러한 항균제 내성 유전자들은 플라스미드를 통해 다른 세균으로 전달 될 수 있어 다제내성 세균의 출현 및 확산을 촉진 할 수 있다. 따라서 E. cloacae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항균제 내성 유전자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항균제 내성 확산방지를 위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roduction of Biogenic Amines by Microflora Inoculated in Meats

  • Min, Joong-seok;Lee, Sang-ok;Jang, Aera;Lee, Mooha;Kim, Yangh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0호
    • /
    • pp.1472-1478
    • /
    • 2004
  • The effects of microorganisms inoculated in beef, pork and chicken on the production of various biogenic amines (BA) were examined. Acinetobacter haemolyticus, Aeromonas hydrophila subsp. hydrophila, Alcaligenes faecalis subsp. faecalis,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Enterobacter aerogenes, Enterobacter cloacae, Escherichia coli, Lactobacillus alimentarius, Lactobacillus curvatus,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Proteus mirabilis, Proteus vulgaris, Pseudomonas aerugina,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inoculated into beef, pork and chicken and incubated for 24 h at optimum temperatures of each bacterium. In ground beef, total amount of amines (TAA) produced was highest in the sample inoculated with Bacillus cereus, followed by Enterobacter cloacae. In ground pork, TAA was highest in the sample inoculated with Alcaligenes faecalis, followed by Enterobacter cloacae, Proteus vulgaris and Bacillus cereus. TAA of chicken breast was highest in the sample inoculated with Alcaligenes faecalis, followed by Bacillus cereus and Lactobacillus alimentarius while in chicken leg was the sample inoculated with Proteus vulgaris, followed by Enterobacter aerogenes, Enterobacter cloacae and Alcaligenes faecalis. Among biogenic amines produced, cadaverine (CAD) was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putrescine (PUT) and tyramine (TYM), their order being reversed by the kind of microorganism in beef and pork. In chicken breast and leg, CAD level was still the highest but PUT, TYM or PHM was the second highest, depending upon the kind of microorganism inoculated. In total, Alcaligenes faecalis, Enterobacter cloacae and Bacillus cereus were ones that produced a larger amount of BAs regardless of meat sources from different species.

Optimization of Cu, Hg and Cd removal by Enterobacter cloacae by ferric ammonium citrate precipitation

  • Singh, Rashmi R.;Tipre, Devayani R.;Dave, Shailesh R.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3권4호
    • /
    • pp.283-292
    • /
    • 2014
  • Iron precipitating organis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ferric hydroxide precipitate, which acts as strong adsorbent for toxic metal. In this respect four different iron precipitating cultures were isolated from Hutti gold mine surface winze water sample on citrate agar medium. The best isolate was screened out for metal removal study on the basis of fast visual iron precipitation. The selected isolate was identified as Enterobacter sp. based on routine biochemical tests and Biolog GN microplate results and as Enterobacter cloacae subsp. dissolvens by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GenBank accession number EU429448). Influence of medium composition, medium initial pH, the influence of inoculum size, effect of various media and ferric ammonium citrate concentration were studied on metal removal in shake flask experiments.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studied, E. cloacae showed $94{\pm}2$, $95{\pm}2$ and $70{\pm}2%$ of cadmium, copper and mercury removal from a simulated waste in shake flask studies. In lab scale column reactor more than 85% of copper and mercury removal was achieved.

수소생산 증진을 위한 Enterobacter cloacae YJ-1의 배지조성 (Medium Composition of Enterobacter cloacae YJ-1 for Maximizing Hydrogen Production)

  • 이기석;강창민;정선용
    • KSBB Journal
    • /
    • 제20권5호
    • /
    • pp.350-354
    • /
    • 2005
  • 수소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Enterobacter cloacae YJ-1을 이용해 생산성에 미치는 탄소원 농도, 질소원 농도, 금속이온 농도, 아미노산 효과로서 회분식 배양을 통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종 탄소원의 종류에 따라 수소생산을 검토한 결과 glucose 첨가시에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서 glucose 농도를 변화시켜 수소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2\%$(w/v) 농도에서 최대를 보여 975.4 mL/L를 생산하였다. 각종 질소원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질소원은 yeast extract이었으며, 최대 수소생산량은 $1.5\%$(w/v) 농도에서 1651.5mL/L이었다. 금속이온으로는 $Na_2MoO_4$가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나 $0.04\%$(w/v) 농도에서 1753.3 mL/L를 생산하였다. 아미노산은 cystein에서 가장 생산량이 많았으며, 다음은 proline, histidine, alanine 등 순이었다. 회분식 배양의 최적 조건하에 수소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반연속배양을 행한 결과 $3\%$ (w/v) 농도에서 2215.4 mL/L로 가장 높았다. 생산균주의 대사에 관한 물질을 보다 세밀히 조사하고 연속적인 수소생산을 살펴 산업적인 공정개발도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밀누룩으로 제조한 전통탁주의 이상발효 원인 규명: 사례분석 (Microbes causing abnormal Takju fermentation in traditional wheat-based Nuruk: A case study)

  • 윤정현;이장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43-350
    • /
    • 2022
  • 밀누룩과 탁주의 미생물 군집을 NGS로 분석하여 탁주의 이상 발효 원인을 규명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미생물은 알코올 발효 이후 변화하여, 누룩에서는 Aspergillus 속 곰팡이와 Staphylococcus 속 세균이 우세하였고, 탁주에서는 Saccharomyces 속 효모와 Pediococcus, Bacillus, Lactobacillus, Enterobacter 속 세균이 우세하였다. 특이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된 누룩과 탁주 시료는 유산균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미생물학적 환경에서 Bacillus 속과 Enterobacter 속이 기회 감염균인 Bacillus wiedmannii와 Enterobacter cloacae로 확인되었고, B. wiedmannii와 E. cloacae는 각각 유기산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한 밑술 발효 3일과 원료가 첨가된 덧술 발효 1일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탁주의 미생물은 누룩을 포함한 원료 및 발효 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유산균의 부재가 탁주에서 E. cloacae와 B. wiedmannii의 이상 증식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NGS를 통한 미생물 군집 분석은 누룩과 탁주의 미생물 구성과 발효 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전통누룩의 발효 조건 개선 및 고품질 전통주 생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옥수수 가루 발효 과정에서 분리한 미생물에 의한 Folic Acid의 생산 (The Production of Folic Acid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Fermenting Corn Meal)

  • Yoa, Fu-Gen;Marion L. Fields;Hee J.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52-357
    • /
    • 1988
  • 옥수수 가루의 발효 과정에서 folic acid를 생성하는 25균주를 분리하였는데 그 중에서 Bacillus licheniformis와 Enterobacter cloacae가 가장 많이 생산하였다. 최적배양조건은 두 균주가 모두 35$^{\circ}C$에서 5일간 배양했을 때 최대의 생산량을 보였으나 초기 pH는 B. licheniformis의 경우는 pH6.0-8.0에서 거의 변화가 없었고 E. cloacae는 pH 4.0-8.0에서 folic acid 생성량이 거의 일정하였다. 탄소원을 첨가하면 균체내의 folic acid 생성량은 단독 또는 혼합배양에서도 변화가 없었으며 생육배지내의 folic acid 함량은 E. cloacae는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B. licheniformis의 경우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