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lish Textbook Analysi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내용중심 대학 교양영어교재 사용결과 분석 (College English Education Using a Content-based English Textbook)

  • 박준언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3권2호
    • /
    • pp.233-254
    • /
    • 2003
  •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using a content-based English textbook in teaching English to Korean college students. The textbook reflected the recent trend in EFL/ESL development that subject matters should be taught as part of the language instructio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to college studen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revealed an encouraging result that this new type of ELT college textbook is effective in helping Korean college students prepare for learning their subject areas through English. Based on this positive outcome, a suggestion is made that the current general purpose college English teaching curriculum be shifted toward a content-based specific purpose type to accommodate the increasing demand of learning subject areas through English in colleges in Korea.

  • PDF

표현기능 지도내용 분석을 통한 현행 중학교 영어교과서 평가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evaluation on the basis of the expressive language function analysis)

  • 장복명
    • 영어어문교육
    • /
    • 제5호
    • /
    • pp.123-147
    • /
    • 1999
  • English textbooks play essential roles in the whole English education context, the analytic study on English textbooks is very important in English education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ve functions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on the basis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characteristics and the textbook analysis theories. The results of the expressive language function analysis are as follow: the teaching contents designed for the expressive language functions are not varied, but concentrated on the specific teaching types, and the teaching contents for the expressive language functions are not graded according to the students' development principles stated clearly in the 6th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English textbook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expressive language function analysis show that the 6th curriculum has some problems in itself and the middle school textbooks do not conform to the 6th curriculum principles. Therefore we need to improve the teaching contents for language functions by means of developing various types of teaching language functions.

  • PDF

영어 교재 분석 평가의 사례 (A case study of ELT textbook analysis)

  • 김정민;김해동;박종헌;유재신;이길영;이충현;장수현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4호
    • /
    • pp.233-25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ystematic way of evaluating competing ELT textbook series. Three stages of evaluation procedures were employed: A sample of two sets of English textbook series for young learners were first analysed by five trained textbook evaluators using a checklist.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evaluative discussion was carried out. Third, two independent evaluators conducted impressionistic evaluation on the series. The procedure employed in this materials evaluation process can be adapted in choosing series of textbooks. Since not many studies have dealt the evaluation of textbook series by multiple evaluators,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referred to and applied by materials evaluators in other contexts.

  • PDF

초등학교 3학년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디자인 연구 (Improvement of Elementary English Digital Textbook Design)

  • 김정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2호
    • /
    • pp.383-409
    • /
    • 2013
  • 본 연구는 특정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는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데서 출발하였으며 사용자는 영어 공교육의 시작 학년으로 구체적 사물의 제시에 의한 인지와 이해가 쉬운 초등학교 3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호도가 높은 3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크레스의 시각디자인 문법틀[Gunther Kress, 2006]'에 의해 디자인 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에 의해 수정된 디자인으로 초등학교에서 두 차례의 사례 연구, FGI, 설문, 관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 디자인에 의한 교육 효과에 변화가 있는지 실험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 요소로 수정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만족도가 높았으며, 어린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집중하는 것이 관찰 되었다. 한편 사례 연구 결과 사용자에 맞춘 디자인 요소로 영어 디지털 교과서를 기획하는 것이 교육의 선호도 및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초등학교 3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 디자인 기획에 있어서 디지털 교과서만을 위한 체계적인 디자인 가이드와 사용자 연령의 선호도 및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듈식 해양생산영어 교재 개발 연구 (Developing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for Marine Developing High Schools)

  • 심지현;나현미;이유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273-12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for vocational high school, especially marine production high school. Vocational English is intended to increase English proficiency in the area of specific industry or job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tudy established developed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for marine production high school based on the modular system. The developing process includes analysis for marine production job, marine production high school and current English textbook for marine product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developed English contents which marine production students utilize in not only school but also workplace. Also, this study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effective development and use of the textbook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보편적 학습 설계에 근거한 영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선 방안 (Prospective Changes of English Digital Textbook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 김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674-68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학습 설계 준거를 제시하고 이 준거를 활용하여 현재 실험학교에서 운용되고 있는 영어과 디지털교과서를 분석함에 있다. 보편적 학습 설계 준거를 기준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학년과 학급급간에 의사소통기능별로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디지털 교과서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학습자들 중에 언어적 적성이 있는 학생들에게 친화적인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적성의 학생들은 불리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어휘의 계열성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서 적절하게 복잡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통사적 복잡성은 중학교에서 갑자기 문장당 어휘수가 급격하게 올라가면서 보편적 학습 설계 준거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다.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디지털 교과서는 멀티미디어 자원의 통합이 용이하고 볼륨의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구성할 때에 이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이 가진 언어적 적성 외에 다양한 적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English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 Chang, Bok-Myung;Owada, Kazuhar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56-63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reflect English education policies for improving the English language learners' cultural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ethod of analyzing English textbooks was used because English textbooks are an important tool that most specifically reflects the English policy of a country.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six English textbooks, thre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currently used in Korea and three in Japan. We analyzed nouns/pronouns related to culture presented in the reading section included in each unit, and compare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ty included in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countries experienced cultural diversity through English education and introduced their cultural pride to Western culture to realize the goal of strengthening global capabilities. This textbook analysis results show that English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depend on American/British cultures and norms. The cultural contents of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tend to focus on geography, food and drink, festivals and activities, family and education systems, etc. And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include the cultural sections in each lesson, but they don't suggest how to relate these cultural sections into the learners' real experience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the motives from which both countries develop English education policy and textbooks in the future.

남북한 영어교과서 어휘의 차이 (Vocabulary Difference of South and North Korean English Textbook)

  • 김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07-116
    • /
    • 2020
  • 본 연구는 남북한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어휘를 비교하여 영어어휘의 양적 질적인 차이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남북한 통일 영어교과서에 담을 영어어휘 목록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작업을 진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대에 출간된 남북한 영어교과서로 코퍼스를 구축하여 어휘목록을 추출하고 이들 남북한 영어교과서 코퍼스를 비교하였다. 어휘목록의 추출은 남한 영어교과서의 경우는 7차교육과정 이후 출간된 교과서에서 추출하고 북한 영어교과서의 경우는 김정일정권시대인 2000년대 이후 영어교과서로 코퍼스를 구축하고 그 코퍼스에서 어휘목록을 만들어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서 AntConc 3.5.7을 사용하여 어휘목록을 추출하고 콘코던스를 통해서 어휘목록에 나온 어휘의 사용맥락을 살펴보면서 점검하였다. 이를 통해서 남북한 영어 어휘의 양적 질적 비교를 통해서 그 차이점들을 도출하였다. 양적으로 남북한이 영어교과서를 통해서 학습해야 할 어휘는 양적으로 비슷하게 3000 단어 내외였으나 북한 영어교과서의 경우 전문학술 어휘가 좀 더 많이 나타났다.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따르는 남한과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따르는 북한 영어교과서에는 이와 관련된 어휘의 사용과 의미적 차이가 발견되었다. 아울러, 종교와 문법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영어 I 교과서 삽화 분석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 of English I in the High School)

  • 김하경;박치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622-633
    • /
    • 2014
  •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3년부터 적용된 고등학교 영어I 교과서에 실린 삽화의 문화권 표현의 특징, 내용과의 관련성 및 외형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함으로 삽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보다 더 좋은 교과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삽화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들을 분류하여 4가지의 분석 기준을 고안하였고, 그 내용은 삽화에 나타난 문화권 표현, 삽화의 표현유형, 삽화의 표현기법, 삽화의 언어의 기능별 제시로 구분하였다. 설문 내용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삽화와 교과내용과의 관련성, 삽화의 배치와 구성, 학습자의 학습 흥미도와 인지적 측면, 교수 및 학습 용이성, 언어의 기능과의 연계성으로 제작하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삽화에의 친숙성, 흥미도, 학습 용이성, 선호하는 표현기법과 표현재료로 제작하였다.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교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수 및 학습 용이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삽화개발이 요구되었다.

The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utcomes in the Digital Textbook for Middle School English

  • LEE, Jeongmin;MOON, Jiyoon;CHO, Boram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6권1호
    • /
    • pp.58-83
    • /
    • 2015
  • Digital textbooks draw attention as a new format of educational material, using the advantage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is innovative learning tool requires consideration as a part of successful and effective learning. The main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utcomes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motivation) when using digital textbooks as a learning tool in Middle School English. Both descriptiv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data analyses method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motivation; second,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academic performance; third, self-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motivation. The research results proved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ion on the learning outcomes and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utcomes. These results help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lessons when using a digital textbook in Middle school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