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5초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위한 유해단어필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rmful Word Filtering System for Edu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 김응곤;김치민;임창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34-343
    • /
    • 2003
  • 본 논문은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정보제공 활동 시점에 발생하고 있는 정보화 역기능 현상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인터넷 게시판에서 유해단어 필터링에 의한 정보윤리 교육 기법을 제안한다. 인터넷 게시판에서 유해단어 필터링 기법은 초ㆍ중등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에서 나타나는 부적절한 행동과 상대방에 대한 성적 모욕, 욕설의 사용, 상대방 비하 등에 관련된 유해단어를 추출하여 유해단어 사전을 구축하고 필터링하는 방법이다 필터링 된 결과에 따라 글 쓰는 시점에서 정보윤리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 기법을 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에 적용한 결과 유해단어 사용과 부적절한 쓰기에서 90% 이상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인터넷 역기능 예방을 위한 정보통신 윤리 교육용 웹 콘텐츠 설계 (The Design of the Information &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Web Contents for Prevention of Internet reverse functions)

  • 이윤배;김혜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04-1612
    • /
    • 2011
  • 청소년들에게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정보통신 윤리 의식을 갖도록 함으로써 순기능을 최대화시키고 동시에 역기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은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가능한 웹의 장점인 웹 기반 교육콘텐츠를 통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웹을 통한 윤리교육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이 정보통신에서의 기본인 윤리 의식과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언제 어디서나 윤리 교육이 가능한 웹 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설계하고 이 교육 과정을 비교 분석한다.

실패에 관한 다양한 관점과 공학교육에서의 함의 (Various Perspectives on the Concept of Failure and its Implic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한경희;윤일구;이강택;김태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12-19
    • /
    • 2014
  • Failure is an important part of engineering practice. Engineers utilize all of their competences and resources in order for their products or processes to meet the initial intention and purpose, and not to fail. However, the technological products sometimes end up with failure. The failure, in many cases, is related to non-technological factors or systems, not just limited to technological factors. Moreover, the evaluation of failure is performed by a variety of agents, including consumers, civic groups, government as well as professional groups. Thus, this study raises an issue that the existing concept of failure, which focuses on the operation of function, is not sufficient enough to properly cover the success or failure of technology required by the modern society. In the recent trends of engineering, new concepts and methods have been developed by expanding the traditional concept or introducing a new perspective of failure, so that engineering failure can be better understood i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a methodology of how the failure of engineering can be utilized and properly combined in the major education, design education and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Also,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to train engineers who can lead the society with responsibility as well as professional competence.

JSEE(일본공학교육협회)와 일본의 공학교육 (JSEE and the Engineering Education in Japan)

  • 하지메후지타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78-89
    • /
    • 2006
  • 20 세기말 10년 동안의 경제 침체는 고용과 교육 시스템을 포함한 사회 구조에 여러 가지 극심한 격렬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일본의 대학은 연구 활동에 노력을 기울였지만, 교수들은 공학 교육에 필요한 교수법의 개발에는 별로 노력하지 않았다. 그러나 18세 인구가 감소하면서 대학의 태도 변화가 요구되었다. 대학 교육은 더 이상 엘리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젊은이들 사이에 아주 대중화되고 있다. 또한 WTO와 APEC과 같은 조직의 설립에 따른 산업사회의 '세계화(globalization)'의 영향을 받았다. 일본공학교육인증원(JABEE)은 1999년에 국내외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2005년에 워싱턴협약(Washington Accord)의 정회원이 되었다. 일본 기술사법(Professional Engineer Law)도 JABEE와 연계되어 개정되었으며, 사회 구조의 변화와 함께 공학 윤리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일본공학교육협회(JSEE)는 JABEE를 지원하는 활동을 통해서 일본 공학 교육의 개혁에 공헌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일본 공학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들과 일본의 공학 교육을 재편하기 위한 JSEE의 역할을 기술한다.

정보통신 윤리의식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 광주시 중학교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sta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wareness and Improvement - Centered on the Middle School in Gwangju City)

  • 김민정;이성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10-913
    • /
    • 2007
  • 컴퓨터 기술과 통신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맞게 된 정보사회는 인간 생활 전반의 편리함과 풍요로움을 가져 온 반면에 윤리적 문제를 포함한 역기능의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정보통신 윤리의식의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미래사회를 주도할 청소년들이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치관 형성이 되는 청소년기에 불건전 유해 환경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고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의 본래적 가치를 위협함으로써 심각한 도덕적 혼란과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주시 중학생들의 정보 통신 윤리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의식수준을 조사한 후 이를 토대로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위한 교육계는 물론이고 정부와 사회단체 그리고 학부모의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PDF

스마트폰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청소년 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Youth Ethics Education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of Smartphone)

  • 류창수;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805-1810
    • /
    • 2012
  • 모바일 기기들이 급속도로 소비자들에게 확산됨에 따라 위치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위치를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라고 지칭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리 등록된 학생의 이동경로와 유해업소를 학생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스마트폰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학생의 동선을 파악하되 경로를 이탈하는 정도와 유해업소를 출입하거나 우범지역에 머무르는 경우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함으로써 사전에 청소년윤리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한다.

사회적 책임의식 함양을 위한 ENACT 모형 기반 기초설계 교과목의 비대면 수업 운영 사례 (A Case Study of an ENACT Model-based Engineering Design Online Course for Fostering Social Responsibility of Engineers)

  • 김가형;옥승용;이현주;고연주;황요한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3-19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case study of a basic engineering design course using the ENACT model for fostering social responsibility of engineers,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ourse. Since the ENACT model was designed to encourage STEM college students to pursue responsible problem solving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socioscientific issues, we assumed that it would be beneficial for engineering students to foster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engineering-related issues. A total of 49 engineering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included students' course artifacts, reflection papers, and responses to survey questionnair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became more aware of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the program, and began to solve the problems while considering the views of multiple stakeholders. They highly valued the experience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s engaging in the civic activities. They also expressed high satisfaction and feeling of achievement on the course learning. We expect the ENACT model to be an effective teaching guideline that foster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engineering students and furthermore, engineering ethics.

두 문화와 생명윤리, 그리고 생명공학자 윤리 (Two Culture and Bioethics, Professionalism and Ethics of Bio Technology)

  • 이경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4호
    • /
    • pp.307-316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 의견에 대한 가치체계의 근간을 스노우(C. P. Snow)의 '두 문화' 문제 - 과학문화와 인문문화 - 개념을 모티브로, 목적론적 윤리설과 의무론적 윤리설, 전통우생학과 자유주의 우생학 등 가치선택의 다양한 갈래가 공존하고 있음을 논하는데 있다. 또한, 과학과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잘못된 신화'- 과학의 객관성에 대한 신화, 과학과 과학자의 독립성과 자율성, 생명공학 기술의 세계기아 해결 - 를 지적함으로써 과학기술에 대한 적확한 판단을 모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생명공학 기술의 생산주체인 생명공학자에게 연구윤리와 사회적 책임은 물론 개방성, 도덕적 민감성과 상상력, 성찰과 품성의 윤리학을 요구하고 있다.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The Place and Problems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as Consilience Education)

  • 송성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18-25
    • /
    • 2012
  • This paper examines the academic basis,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as consilience education. After paying attention to the lists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including history of technology, technology and society, engineering ethics, economics of technology,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technology policy, I found the academic basis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or innovation studies. And then I monitored how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is managed focusing on the cas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introduced new attempts on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in other universities in Korea. Lastly,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were suggested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lecturers' expertise, the reconstruc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course, and the promotion of relevant academic associations' cooperation.

메타버스를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Ready Player One)'을 통해 살펴본 메타버스 윤리 (Discussing Metaverse Ethics with a Movie on Metaverse, 'Ready Player One')

  • 김성희;이상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665-675
    • /
    • 2022
  • 팬데믹 이후 가상현실 플랫폼을 활용한 메타버스 기술과 사회적 활용이 비대면 환경에서 메타버스를 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메타버스로 인한 사회적 문제, 윤리적 우려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하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을 통해 메타버스의 사회적 기능이 무엇인지, 메타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는 무엇인가?, 메타버스에서 발생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을 통해 살펴본 메타버스 윤리 이슈를 통해, 메타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는 정체성 분열, 메타버스 폭력 및 범죄, 개인정보관리 소홀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메타버스 내 윤리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기술윤리학, 규범윤리학, 분석(메타)윤리학 측면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했다.